A study on the enjoyment of transmedia and the reconstruction of alternative audiences from a cultural and political perspective

트랜스미디어 향유와 문화정치적 관점에서의 대안적 수용자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Kwon, Hocha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Department of Cinema Studies)
  • Received : 2020.12.15
  • Accepted : 2021.01.16
  • Published : 2021.01.25

Abstract

Media audiences are defined in a complex relationship with a comprehensive media environment, and are structur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oday, with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represented by convergence and transmedia, discussions on audiences are actively developing, and debat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continue. This paper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omplexity and ambivalence of new audiences beyond the binomial confrontational debate, an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mechanisms under which the progressive possibility can be actualized. First, it looks at the changes in today's media environment and contents, and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of audiences in connection with them based on related research. In addition, it examines the debate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new audiences, and explores ways to construct /reconstruct alternative audiences based on Jacques Ranciere's discussion.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utopian and dystopian moments of the transmedia audience were examined, and the necessary works for realizing the former were identified.

미디어의 수용자는 포괄적인 미디어 환경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규정되며,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구성 및 재구성된다. 오늘날 컨버전스나 트랜스미디어 등으로 대변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수용자에 관한 논의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그 문화정치적 성격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 간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항 대립적인 논쟁을 넘어서 새로운 수용자의 복잡성과 양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 진보적 가능성이 발현될 수 있는 조건과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오늘날 미디어 환경과 콘텐츠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맞물려 있는 수용자의 변화 양상을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새로운 수용자의 문화 정치적 성격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자크 랑시에르의 관객의 해방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안적 수용자를 재구성할 방안을 모색해본다. 이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수용자의 유토피아적 계기와 디스토피아적 계기의 성격과 내용을 파악하고 전자를 현실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희경, 남정은. 트랜스미디어 액티비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 데니스 맥퀘일,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양승찬 역, 나남, 2008.
  3. 레프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역, 생각의나무, 2004.
  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논형, 2015.
  5. 에스펜 올셋, 사이버텍스트, 류현주 역, 글누림, 2007.
  6. 자넷 머레이,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한용환 역, 안그라픽스, 2001.
  7. 자크 랑시에르, 해방된 관객, 양창렬 역, 현실문화, 2016.
  8.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2, 천년의상상, 2014.
  9. 헨리 젠킨스, 컨버전스 컬처, 김정희원 역, 비즈앤비즈, 2008.
  10. Jenkins, Henry, et al. By any media necessary: The new youth activism, NYU Press, 2018.
  11. Montola, Markus, et al. Pervasive games: theory and design,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09.
  12. Pratten, Robert, Getting started with transmedia storytelling, CreateSpace, 2011.
  13. Terranova, Tiziana, Network Culture: Cultural Politics for the Information Age, Pluto Press, 2004.
  14. 김희경. 컨버전스와 트랜스미디어 프랜차이즈의 세계. 철학과 문화, 2013.
  15. 신광철. 트랜스미디어의 개념 이해.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 HUINE, 2016.
  16. 윤혜영. 트랜스미디어에 대한 개념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17. 장해라,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향유 방식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8. 전경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19. BROUGH, Melissa M.; SHRESTHOVA, Sangita. Fandom meets activism: Rethinking civic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ransformative Works and Cultures, 2012.
  20. GLENN, Cerise L. Activism or "Slacktivism?": digital media and organizing for social change. Communication Teacher, 2015.
  21. TURNER, Fred. Burning Man at Google: a cultural infrastructure for new media production. New Media & Society, 2009.
  22. 이호영 외, 컨버전스 시대의 트랜스미디어 이용자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23. https://www.slideshare.net/genarobardy/latitude-future-of-storytelling-phase-1 (2020.12.14.)
  24. http://henryjenkins.org/blog/2010/09/avatar_activism_and_beyond.html (2020.12.14.)
  25. https://transmediaactivism.wordpress.com/ (202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