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 Based Classification System for Building Database of Handmade Product E-Commerce

공예품 이커머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공예품 조형 디자인 분류체계 개발

  • 조익현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학과) ;
  • 이사야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학과) ;
  • 김채희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학과) ;
  • 이중섭 (한동대학교 콘텐츠융합디자인학부) ;
  • 이은종 (한동대학교 콘텐츠융합디자인학부)
  • Received : 2021.10.07
  • Accepted : 2021.10.26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As the volume of online e-commerce transactions increases, items diversify and the classification becomes complicated. E-commerce platforms that specialize in dealing only in one area are emerging, and the area is diversifying. Three problems were identified by researching the craft online e-commerce platform, one of the various types of professional e-commerce platforms. First of all, although craft materials are diversified and complex on the platform, the existing craft e-commerce system is fragmented in structure to categorize complex crafts,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present search results that meet various criteria. Second, although appearance is the main reason for purchasing artifacts, it is rare for users to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appearance, so they have to judge and filter each work directly. Finally, the language entered when searching for artifacts by non-technical experts is not reflected in the language used to categorize artifacts in the taxonomic system, so the language used for searching is highly accurat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 and consider complex attributes in the field of technology to meet the search criteria. Properties to be added must include the main appearance in the search for artifac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aims to develop a taxonomic system that can reflect non-experts' search languages in the search of work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온라인 이커머스의 거래량이 증가함에 따라 품목이 다양해지고 그 분류가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전문적으로 한 분야에 대해서만 거래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고, 그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다. 여러 전문 이커머스 플랫폼 종류중 하나인 공예품 온라인 이커머스 플랫폼을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플랫폼 내에서 공예품의 품목이 다양해지고 분류가 복잡해지고 있으나 기존 공예품 이커머스의 분류체계는 다양하고 복잡해진 공예품을 분류하기에는 구조가 단편적이어 서로 다른 사용자가 고려하는 다양한 기준을 충족하는 검색결과를 정확히 제시하기 어렵다. 두 번째로, 공예품의 경우 외형이 구매동기의 주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외형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드물어 사용자가 작품 하나하나를 직접 눈으로 판단하며 필터링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예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가 공예품을 검색할 때 입력하는 언어가 분류체계에서 공예품을 분류하는 언어에 반영되지 않아 검색시 사용되어야하는 언어의 정밀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검색 기준에 맞출 수 있도록 공예 분야의 복잡한 속성을 추가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추가하는 속성에는 공예품 검색에 있어서 주요인인 외형을 반드시 포함한다. 또한 인공지능의 자연어처리 기술로 비전문가의 검색 언어를 작품 검색에 반영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2021년도 정부(문화체육관광부)의 재원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R2020040174).

References

  1. 수공예마켓 플랫폼 '아이디어스', 누적 거래액 5000억원 돌파 (2021). https://www.news1.kr/articles/?4330817 (accessed Sep., 26, 2021).
  2. Hendrik Schiffer stein, "Product Experience", Elsevier Science, pp. , 2011.
  3. 한석우, "입체조형: 이론과 실제", 미진사, pp. 12-76, 2001
  4. 데이비드 A. 라우어, "조형의 원리(Design basics)", 예경, pp. , 2002
  5. 윤영은, "언어의 의미 현상: 영어와 한국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pp. , 2004
  6. 베른트 뢰바하, "인더스트리얼 디자인(Industrial design : Grrundlagen der Industrie produktgestaltung)", 조형교육, pp. , 2005
  7. 찰스 왈쉬레거 / 신디아 부식-스나이더,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Basic Visual Concepts and Principles)", 안그라픽스, pp. 137-144, 1998
  8. Norman D. A., "Emotional Design-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Basic Books, pp. 17-33, 2004.
  9. 정상훈, 이건표, "제품 사용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Development of Tool for Measuring the User's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 19, no. 2, pp. 343-354, 2006년 5월
  10. 이구형,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Human Sensibility and Emotion in Sensibility Ergonomics)" 한국감성과학회지, 제1권, 제1호, 113-122쪽, 1998
  11. 홍택은, 김정인, 신주현, "인스타그램 이미지와 텍스트 분석을 통한 사용자 감정 분류,"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1호, 61-68쪽, 2016년 3월
  12. 문수민, 박상규, "좋아보이는 것들의 비밀: 패키지 디자인(소비자를 유혹하는 패키지디자인의 모든 것)" 길벗, 디자인 계획에서 점검해야 할 7가지, pp. 54-55, 2015
  13. 홍택은, 신주현,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의 카테고리 분류에 의한 SNS 팔로잉 추천 방법,"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3호, 54-61쪽, 2016년 9월
  14. 박은정, 서종환, 정상훈, "전통가옥에서 느껴지는 감성 측정을 위한 대표 감성 분류,"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3호, 44-50쪽, 2018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