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 후기 평양부(平壤府)의 도시구조 변화와 평안감영의 특성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urban structure of Pyongyang-Bu and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an Gamy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 홍석주 (서일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버들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 투고 : 2021.10.03
  • 심사 : 2021.12.06
  • 발행 : 2021.12.31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Pyongyang-b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Pyeong-an Gamyeong through gazetteer, pictiroal maps and various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unlike other gamyeong, Pyongyang-bu had an exclusive government office facility from the beginning and had a different status because of the route for envoys from Ming. Therefor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Gija were important. Second, the importance of Pyongyang city-wall increased even more through the Japanese Hideyoshi invasions in 1592 and the Manchu Invasion in 1636. However, since the post-war restoration was insufficient they focused on defense reducing the size of Pyongyang city wall. Third, as society stabilized, Pyongyangbu's finances were greatly secured. King Sukjong systematically reorganized Pyongyang city wall and facility of Pyongy-an gamyeong. The nothern wall in located high place, Gamyeong and storage in middle height and military force and guesthouse in the center of Pyongyang-bu. I-a and warehouse facilities in the far south were placed around the Daedonggwan. The urban structure that runs from Daedonggwan to Daedongmun was the same as other city. Another pertinent point is Pyeong-an gamyeong had more military facilities and rear garden and pavilion than before. In clunclusion, Pyeong-an gamyeong did not pass through three gates, but only through two gates. And it was characterized by more various space and having more pavilions than other gamyeong.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서일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經國大典」 「增補文獻備考」 「正祖實錄」 「日省錄」 「耳溪集」 「仁祖實錄」
  2.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989
  3. 권내현, 「조선후기 평안도 재정연구」, 지식산업사, 2004
  4. 장명수, 「성곽발달과 도시계획 연구」, 학연문화사, 1994
  5.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을 일으킨 땅, 함흥」, 2010
  6. 박래겸 저, 조남권.박동욱 역, 「서수일기」, 푸른역사, 2013
  7. 박정애, 「조선시대 평안도 함경도 실경산수화」,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8. 배우성, 「조선과 중화」, 돌베개, 2004
  9. 서울역사박물관, 「기성도병」, 서울역사박물관, 2019
  10. 안정길, 「관아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생활사(상.하)」, 사계절, 2000
  11. 이은주 역, 「평양을 담다」, 소명출판, 2016
  12. 이은주 역, 「관서악부」, 아카넷, 2018
  13. 평양향토사 편집위원회, 「평양지」, 국립출판사; 평양, 1957
  14. 김창업 저.이장우 역, 「노가재 연행일기」, 민족문화추진회, 2008
  15. 황재 저.서한헉 역, 「국역 갑인연행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16. 권효주, 「조선시대 평양도의 경관 요소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7. 김명숙, 「서수일기를 통해 본 19세기 평안도 지방의 사회상」, 한국학논총 35집
  18. 김경록, 「조선시대 사신접대와 영접도감」, 한국학보 30권 4호, 2004.12
  19. 김규훈, 「사도세자 1761년 평양 밀행의 기록」, 국립중앙박물관 미술자료 97호, 2020
  20. 김태웅, 「조선 후기 감영 재정체계의 성립과 변화 - 전라감영 재정을 중심으로-」, 「역사교육 89, 2004.
  21. 박정애, 「<기성도병>으로 보는 19세기 도시풍경」, 서울역사박물관 대학 교재, 2020.4.29.
  22. 박정애, 「18-19세기 지방 이해와 도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미술사학보 49, 2017.12
  23. 박정애, 「관촌 조진우의 평양 유람과 횡권 형식 평양도」, 서울학연구 84호, 2021.8
  24. 백종오, 「평양기성도를 통해 본 평양성의 구조와 현황」, 백산학보 104, 2016
  25. 손명희, 「조선시대 평양성도를 통해 본 평양의 모습과 지역적 성격」, 한국고지도연구회 1권 1호, 2009
  26. 오수창, 「암행어사 길 - 1822년 평안남도 암행어사 박내겸의 성실과 혼돈」, 역사비평 73호, 2005.11
  27. 오영교, 「강원감영의 역사성과 변동에 대한 연구」, 「지방사와 지방문화」 11권 2호, 2008.
  28. 이동휘, 「전라감영의 역사성과 그 의미」, 「전북사학」 60, 2020
  29. 이은주, 「만들어진 유적, 평양의 로컬리티」, 돈암어 문학 34권, 2018.12
  30. 이훈상, 「조선후기 충청도 감영의 영방과 향리 사회의 문화적 전망」, 「역사와 경계, 102, 2017.3
  31. 최영철, 「조선시대 監營의 직제와 건축적 구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1995
  32. 이해응, 「계산기정(薊山紀程)」, 한국고전종합DB(itkc.or.kr)
  33. 유희춘 저, 담양문화원 역, 「미암일기(眉巖日記)」, 국립중앙도서관>통합검색>통합검색결과 (nl.go.kr)
  34. 이해응 저, 「계산기정」, 한국고전종합DB (itkc.or.kr)
  35. 작자 미상, 「왕환일기」, 한국고전종합DB (itkc.or.kr)
  36. 서유문,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 조선 후기, 한국고전종합DB (itkc.or.kr)
  37. 홍양호, 「이계집(耳溪集)」, 조선후기, 한국고전종합DB(itkc.or.kr)
  38. 「기성도(箕城圖)」, 일본 동양문고, 자료목록::해외한국학자료센터 (kore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