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Taxes in Marine Tourism Areas

해양관광지 환경세 도입에 관한 연구

  • 양모세 (광운대학교 법학부) ;
  • 김지현 (광운대학교 법학부) ;
  • 신의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금융경영학과)
  • Received : 2021.09.23
  • Accepted : 2021.11.25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In recent years, many countries are committing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Following this trend,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of SDGs with ESG management extended to the public sector is emerging as a keyword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apital market, countries, and individual companies. Accordingly, many countries are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One of them is to implement national policies by introducing environmental taxes. These policies use environmental taxes to control pollution by indirectly influencing the behavior of producers or consumers through economic incentives rather than directly interfering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environmental taxes in marine tourism sites in Korea, reviews the effectiveness of such policies, and suggests how to improve them by identifying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최근 환경보존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류에 따라 ESG경영이 공공부문으로 확장된 SDGs의 성공적인 정책화는 개별 기업 뿐만이 아닌 자본시장과 한 국가의 성패를 가를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개별 국가에서도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환경세를 도입하여 국가정책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오염 행위를 직접 간섭하기보다는 경제적인 유인 원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생산자나 소비자의 행태에 영향을 주어 환경오염을 통제하는 환경세를 활용한 정책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해양관광지의 환경세의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검토한다. 더불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도의 한계점을 확인하여 개선점을 연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화, 「환경세 도입에 관한 쟁점 정리.」(서울: 국회사무실 법제처, 2004)
  2. 유웅조, 「우리나라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현황과 개선과제.」(서울: 국회입법조사처, 2020)
  3. 이준기, 「지방자치단체 관광세 도입에 대한 논의와 발전방향.」(서울: 한국지방세연구원, 2019)
  4. 이제혁,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2009~2019)를 통해 본 해양관광 연구의 동향과 전망.」 (목포: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0)
  5. 채동렬, 「지속가능한 해양관광 실현을 위한 해양보호구역제도 적용 방안.」(창원: 경남연구원, 2013)
  6. Jones Graham, The Reef Sulphur Cycle: Influence on Climate and Ecosystem Services, Ethnobiology of Corals and Coral Reefs (New South Wales : Southern Cross University 2015)
  7. 고태호, 임정현, "지방세 신세원 도입의 효율성 분석: 관광세를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3권 1호, 한국재정학회, 2010
  8. 박주영, "오버투어리즘, 보라카이 섬 폐쇄와 재개장.", 「한국관광정책」, 제79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9. 박재수, "중국의 해양환경 실태분석 및 동북아 협력 전략." 「한중관계연구」, 제5권 1호,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9
  10. 박훈, "과세요건이 사실행위인 경우 조세법상 실질과세 원칙의 적용문제." 「한양법학」, 제28권 2집, 한양법학회, 2017
  11. 신용민, 정겨운, "환경세 부과가 근해어업의 비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경제학회 경제학 공동학술대회논문집」, 제2019권 0호, 한국환경경제학회, 2019
  12. 유호림, "중국의 환경세법에 관한 고찰 및 시사점". 「조세연구」, 제18권 2호, 한국조세연구포럼, 2018
  13. 최화식, "국제해양법상 오염자부담원칙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 제26권 2호, 청주대학교연구원, 2020
  14. 허영섭, "환경오염으로 관광 폐쇄된 보라카이 섬.", 「대한토목학회지」, 제66권 6호, 대한토목학회, 2018
  15. 윤광원, "이걸 좋아해야 하나?...한국 관광업 비중 낮아 코로나19 충격 적어 " 「미디어펜」, 2020.3.19.
  16. 헌법재판소 1989. 7. 21. 선고 89헌마38결정
  17. Concord Italia, 「The Post-2015 Agenda, Training of Trai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