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s and Teacher Efficacy

어린이집의 직무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교사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이채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
  • 박인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21.10.14
  • Accepted : 2021.12.15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s and teacher efficacy.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5 child care teachers from U-cit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and teacher efficacy. Result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environment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job environments and teacher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emotional intelligence also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between job environments and teacher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Among the teacher's competencies,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Teacher efficac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the healthy development of toddlers and children. In order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policy support for the job environment and training support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are considered necessary.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경, 김민정, 정미라 (2016). 초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183-200. doi:10.14698/jkcce.2016.12.02.183
  2. 고영윤 (2018).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 (2019). 유치원 교육과정.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2&boardSeq=79419&lev=0&m=03 2021년 10월 29일 인출
  4. 권정해, 김판희 (2015).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4(1), 81-98.
  5. 김경희, 김현경, 우혜진 (2018). 유아교사론. 고양: 공동체.
  6. 김근혜, 조진선, 홍순옥 (2020).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9), 253-272. doi:10.22251/jlcci.2020.20.9.253
  7. 김민미 (2014). 특수교사의 정서지능과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송이 (2015). 보육교사의 경력 및 소진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1), 481-499. doi:10.14698/jkcce.2015.11.481
  9. 김은영, 조혜주 (2014). 유치원교사의 근무여건 및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 8(1), 81-107.
  10. 김혜리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류경희, 강상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동료교사 협력관계,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2), 204-225.
  12. 문용린 (2011). 문용린 교수의 정서지능 강의. 서울: 북스넛.
  13.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백영숙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베이비뉴스 (2021. 5). 아동이 행복한 권리 지키는 국책연구기관 되겠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5029에서 2021년 9월 28일 인출
  16. 서지영 (2002).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송명란, 오재연 (2019).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환경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8(4), 1-29. doi:10.21183/kjcm.2019.12.18.4.1
  18. 송순옥, 성연정 (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 및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203-224.
  19. 엄세진 (2010). 보육교사의 SOC 책략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2, 97-123.
  20. 엄은남, 강옥려 (2018).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9(1), 147-162. doi:10.20972/kjee.29.1.201803.147
  21. 유효순 (2007). 아동발달. 서울: 창지사.
  22. 이옥정 (2019).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은숙, 이경님 (2015).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21-238. doi:10.14698/jkcce.2015.11.2.221
  24.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진화, 이혜원, 유진경 (2010).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정서노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5(2), 117-136. doi:10.16978/ecec.2010.5.2.006
  26. 이채호 (2019). 유아교육기관 교사효능감 척도(TES-P)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 1135-1153. doi:10.22251/jlcci.2019.19.12.1135
  27. 이채호, 박은지, 임명하 (2021).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직무환경 및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427-447. doi:10.22251/jlcci. 2021.21.3.427
  28. 이희은 (2020).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1(6), 2495-2510. doi:10.22143/HSS21.11.6.176
  29. 임진형, 김소림, 임주현, 정소영 (2014).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감의관계. 발도르프연구, 6(1), 89-106.
  30. 임희수, 임은미 (2020).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159-180. doi:10.22251/jlcci.2020.20.4.159
  31. 조혜진, 김수연 (2011).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31-247
  32. 주동범, 임성택 (2002). 교사 효능감 관련 변인의 분석: 직무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0(2), 12-270.
  33. 채승희, 박수진 (2020). 유아교사의 직무환경, 교사효능감, 핵심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7(3), 441-463. doi:10.24211/tjkte.2020.37.3.441
  34. 최예원, 조규판 (2019).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매개효과. 동북아문화연구, 1(59), 111-125. doi:10.17949/jneac.1.59.201906.007
  35. 최은지, 소진희, 김영미 (2021).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보육실습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 745-766. doi:10.22251/jlcci.2021.21.13.745
  36. 최정선, 김세곤 (2019).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교육연구, 4(1), 1-19.
  37. 최효식, 윤해옥 (2015).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구조적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5(6), 339-356. doi:10.18023/kjece.2015.35.6.016
  38. 통계청 (2020). 어린이집 및 이용자통계.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outLink=Y&parentId=G.1;G_16.2;#G_16.2에서 2021년 10월 13일 인출
  39.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Vol. 1). New York: General Learning Press.
  40. Barfield, V., & Burlingame, M. (1974). The pupil control ideology of teachers in selected schoo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42(4), 6-11. doi: 10.1080/00220973.1974.11011486
  4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2. Goleman, D. (2008)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EQ 감성지능(한창호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원판 1996).
  43. Hoy, W. K., & Miskel, C. G. (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McGraw-Hill.
  44. Leavitt. R. L. (199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5.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46. Pianta, R. C., & Stuhlman, M. W. (200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3(3), 444-458. doi:10.1080/02796015.2004.12086261
  47. Shaffer, D. R., & Kipp, K. (9ed). (2013).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48. Skaalvik, E. M., & Skaalvik, S. (2010).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 study of relati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4), 1059-1069. doi:10.1016/j.tate.2009.11.001
  49. Tschannen-Moran, M., & Woolfolk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doi:10.1016/S0742-051X(01)00036-1
  50.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