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S 코드 분류를 위한 CNN 기반의 추천 모델 개발

CNN-based Recommendation Model for Classifying HS Code

  • Lee, Dongju (Dataworld Co. Ltd.) ;
  • Kim, Gunwoo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Choi, Keunho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0.05.20
  • 심사 : 2020.07.27
  • 발행 : 2020.09.30

초록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관세신고납부제도는 납세의무자가 세액 산정을 스스로하고 그 세액을 본인 책임으로 납부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다시 말해, 관세법상 신고 납부제도는 납세액을 정확히 계산해서 납부할 의무와 책임이 온전히 납세의무자에게 무한정으로 부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납세의무자가 그 의무와 책임을 제대로 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부족한 만큼의 세액 추징과 그에 대한 제제로 가산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액 산정의 기본이 되는 품목분류는 관세평가와 함께 가장 어려운 부분이며 잘못 분류하게 되면 기업에게도 큰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세전문가인 관세사에게 상당한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수입신고를 위탁하여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입신고 시 신고하려는 품목이 어떤 것인지 HS 코드 분류를 하여 수입신고 시 기재해야 할 HS 코드를 추천해 주는데 목적이 있다. HS 코드 분류를 위해 관세청 품목분류 결정 사례를 바탕으로 사례에 첨부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HS 코드 분류를 하였다. 이미지 분류를 위해 이미지 인식에 많이 사용되는 딥러닝 알고리즘인 CNN을 사용하였는데, 세부적으로 CNN 모델 중 VggNet(Vgg16, Vgg19), ResNet50, Inception-V3 모델을 사용하였다. 분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3개의 dataset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Dataset 1은 HS 코드 이미지가 가장 많은 5종을 선정하였고 Dataset 2와 Dataset 3은 HS 코드 2단위 중 가장 데이터 샘플의 수가 많은 87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샘플 수가 많은 5종으로 분류 범위를 좁혀 분석하였다. 이 중 dataset 3로 학습시켜 HS 코드 분류를 수행하였을 때 Vgg16 모델에서 분류 정확도가 73.12%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HS 코드 이미지를 이용해 딥러닝에 기반한 HS 코드 분류를 최초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수출입 업무를 하고 있는 기업이나 개인사업자들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을 참조하여 활용할 수 있다면 수출입 신고 시 HS 코드 작성에 도움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urrent tariff return system requires tax officials to calculate tax amount by themselves and pay the tax amount on their own responsibility. In other words, in principle,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reporting payment system are imposed only on the taxee who is required to calculate and pay the tax accurately. In case the tax payment system fails to fulfill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he additional tax is imposed on the taxee by collecting the tax shortfall and imposing the tax deduction on For this reason, item classifications, together with tariff assessments, are the most difficult and could pose a significant risk to entities if they are misclassified. For this reason, import reports are consigned to customs officials, who are customs experts, while paying a substantial f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HS items to be reported upon import declaration and to indicate HS codes to be recorded on import declaration. HS items were classified using the attached image in the case of ite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ase of the classification of items by the Korea Customs Service for classification of HS items. For image classification, CNN was used as a deep learning algorithm commonly used for image recognition and Vgg16, Vgg19, ResNet50 and Inception-V3 models were used among CNN models. To improve classification accuracy, two datasets were created. Dataset1 selected five types with the most HS code images, and Dataset2 was test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types with 87 Chapter, the most among HS code 2 unit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highest when HS item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y learning with dual database2, the corresponding model was Inception-V3, and the ResNet50 had the lowest classification accuracy. The study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HS ite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first item image registered in the item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case, and the second point of this study is that HS item classification,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before, was attempted through the CNN model.

키워드

참고문헌

  1. 정민국.송우진.이현근.유정호(2017), "농축산물 품목분류 및 HS코드 도감," 한국농어촌연구원 연구자료, 1-104.
  2. 강흥중(2010), "품목분류 오류신고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28.
  3. 관세법인화우, 수입물품의 관세품목분류 http://customs.hwawoo.com/kor/06_Resource/01_01_hwawoo_view02.do (02 June, 2016).
  4. 대구본부세관, 품목분류와 관세율 http://customs.go.kr/kcshome/main/content/ContentView.do?contentId=CONTENT_ID_000000595&layoutMenuNo=12071.
  5. 박상봉(2016), "조세심판청구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개선방안," 경영과 정보연구, 35(2), 67-81.
  6. 백승훈.이승후.홍성찬.홍준기(2020), "CNN/ANNOY 기술을 이용한 의류 이미지 유사도 분석," 정보기술아키텍쳐연구, 17(2), 157-165.
  7. 성원식.심재원.김은경(2018), "관세율표상의 부분품과 부속품의 정의 및 분류기준 연구," 관세평가분류원.
  8. 수출입무역통계, 수출입총괄 https://unipass.customs.go.kr/ets/index.do(10 October, 2019).
  9. 육수진(2017), "국가간 품목분류 분쟁은 어떻게 해결할까? -품목분류 국제분쟁의 해결방법과 절차," 국제원산지정보원, FTA Trade Report, 144-157
  10. 윤인철(2013), "수출입물품 품목분류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재웅.이석준.송칠용.김연식.정미영.정상일(2019),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지능형 유사상표 검색 모형 개발", 경영과 정보연구, 38(3), 55-80.
  12. 윤재웅.전재헌.방철환.박영민.김영주.오성민.정준호.이석준.이지현(2017),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지능형 아토피피부염중증도 진단 모델 개발," 경영과 정보연구, 36(4), 33-51.
  13. 장현웅.조수선(2016), "CNN을 이용한 소셜이미지 자동 태깅," 정보과학회논문지, 43(1), 47-53.
  14. LeCun, Y., Bengio, Y. and Hinton, G.(2015), "Deep learning," Nature, 521, 436-444. https://doi.org/10.1038/nature14539
  15. LeCun, Y., Bottou, L., Bengio, Y. and Haffner, P.(1998), "Gradient-based learning applied to document recognition," Proceedings of the IEEE, 86(11), 2278-2324. https://doi.org/10.1109/5.726791
  16. Srivastava, N., Hinton, G., Krizhevsky, A., Sutskever, I., and Salakhutdinov, R.(2014), "Dropout: A simple way to prevent neural networks from overfitting," The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15(1), 1929-1958.
  17. He, K., Zhang, X., Ren, S., and Sun, J. (2015), "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18. Rezende, E., Ruppert, G., Carvalho, T., Ramos, F., and Paulo de Geus(2017), "Malicious Software Classification Using Transfer Learning of ResNet50 Deep Neural Network," 16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and Applications.
  19. Szegedy, C., Vanhoucke, V., Ioffe, S., Shlens, J., and Wojna, Z.(2016), "Rethinking the inception architecture for computer vision,"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818-2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