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the Design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Scenic Sites Policies and National Park System in the United States

국내 명승 정책과 미국 국립공원 시스템의 지정 특성 비교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Dong-Hy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anet, R. Balsom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Grand Canyon National Park)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Received : 2020.08.15
  • Accepted : 2020.09.0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and major values, the designated procedures and types, and the designation trend in Korean scenic sites and national park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ation of the two natural heri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enic Sites has characteristics of complex heritage that includes academic, historical, and humanities values on the basis of landscape. As a natural heritage based on public nature, the U.S. National Park aims to contribute to the people's natural heritage and satisfy both ecological and historical values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 landscape. Second, the designation of a scenic sites are decided through deliberation by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after the request of the owner, manager, or local government or by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designated survey is divided into basic resource surveys and resource surveys by type. Since the initial designation of the Sogeumgang Mountain in Cheonghakdong, Myeongju in 1970, the number of designated scenic sites was low until the 2000s, but the number of designated scenic site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6 due to the policy to promote the scenic site, and the proportion of natural and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ites has been balanced. The designation of the U.S. national park is decided by the Congress or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Park Service makes a series of decisions on whether to conduct a special resource study of provisional resources through a preliminary inspection survey, whether to satisfy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national parks based on the results of special resource research, and to prioritize them. The U.S. National Parks have been expanded not only by Congress but also by the president's empowerment to designate them as national monuments. With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the number of designated cases increased as the national park included the heritage sites under the control of various ministries. In addition, a number of historical areas were designated by the enactment of the Historical Site Act, and recreational areas were designated to provide leisure space and classified and managed in a total of 18 units. Third, the comparison of the desig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heritage properties confirmed that the designation of natural heritage with complex value, the classification of types according to complementary designation system and resource characteristics,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etent ministry and the balancing of the heritage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policy. The two heritages had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natural heritages that met ecological,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s at the same time based on landscape and public nature. In addition, both countries have identified a system for deliberating the designation of heritage through a basic resource survey and an in-depth designation survey, and classified each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 In addition, the policies for promoting scenic sites in Korea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in the U.S. influenced the designated aspects of the two heritage sites, balancing natural heritage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Fourth, the resource types and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of Scenic site and National Park were largely related. The natural areas of the U.S. National Park include types of natural monuments in Korea as major resources, and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natural scenic sites. In addition, historical resources were similar to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ites in terms of landscape, and the aspects of war and celebrity-related relics were related to the types of historic sites. In terms of conservation management, the natural area of the U.S. national park has a way of keeping the original ecosystem intact, but the Korean natural heritage protection system is likely to be useful for focusing on the resource of viscosity. Meanwhile, historical resources include historical sit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ites in the traditional era, but historical relics in the U.S. National Parks have set a time limit to modern times for war history and celebrity-related relics, and the active provis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based on existing resources was derived as a difference.

본 연구는 국내 명승과 미국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정의 및 주요 가치, 지정 절차 및 유형, 지정추이를 살펴보고 두 자연유산의 지정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명승은 경관성을 기본 전제로 학술적, 역사적, 인문적 가치를 포함하는 복합유산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미국 국립공원은 공공성을 기반으로 하는 자연유산으로서 경관의 보호를 통해 국민의 자연유산 향유에 기여하고 생태적·역사적 가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둘째, 명승의 지정은 소유자나 관리자, 지자체의 요청이나 문화재청장의 직권으로 지정신청과 지정조사를 거쳐 문화재 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지정여부를 결정한다. 지정조사는 기초자원조사와 유형별 자원조사로 구분되며,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의 최초 명승 지정 이후 2000년대까지 명승 지정은 저조했으나 2006년 이후 명승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지정건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자연명승과 역사문화명승의 비중이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미국 국립공원은 의회나 대통령에 의해 지정이 결정되며 국립공원청에서는 사전검사조사를 통한 잠정자원의 특별자원연구 수행 여부 결정, 특별자원연구 결과에 따른 국립공원 지정기준 만족 여부, 우선순위 결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미국 국립공원은 의회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국립기념지 지정 권한 부여를 통해 국립공원의 지정경로가 확대되었고, 국립공원청의 통합 운영으로 여러 부처에서 관할하던 유산들이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지정건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사적지법의 제정으로 역사유적이 다수 지정되고, 여가공간 제공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지역들을 지정하여 총 18개 유닛으로 분류·관리하고 있다. 셋째, 명승과 미국 국립공원의 지정 특성을 비교한 결과 복합적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의 지정, 상호보완적 지정체계와 자원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주무부처 신설 및 지정 정책에 따른 유산의 균형화가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두 유산은 경관성과 공공성을 바탕으로 생태적,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동시에 충족하는 복합적 자연유산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양국 모두 기초자원조사와 심화단계의 지정조사를 통해 순차적, 상호보완적 조사로 유산의 지정을 심의하는 체계가 확인되었으며 자원의 특성에 따라 각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외에 국내 명승 활성화 정책과 미국의 국립공원청 통합운영은 두 유산의 지정 양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연유산과 역사문화유산의 균형을 이루었다. 넷째, 명승과 국립공원의 자원유형과 보존관리 방식은 상당부분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미국 국립공원의 자연지역은 국내 천연기념물의 유형들이 주요 자원으로 포함되며, 자연명승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역사유적은 경관성 측면에서 역사문화명승의 지정기준과 유사하며, 전쟁 및 유명인물 관련 유적이 주를 이루는 양상이 사적의 유형과 관련있었다. 보존관리 측면에서 미국 국립공원의 자연지역은 생태계 원상을 그대로 두는 방식을 지니고 있으나 점적 자원에 대한 중점관리는 국내 자연유산 보호체계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역사자원은 사적과 역사문화명승이 전통시대 생활상 전반을 포함하고 있으나, 미국 국립공원의 역사유적은 전쟁사, 유명인 관련 유적을 대상으로 현대까지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현존 자원을 토대로 적극적인 향유 프로그램 제공이 차이점으로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W. H.(2016)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to Natural Heritag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9(1):166-177.
  2. Lee, W. S.(2010) Education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enter for Traditional Culture.
  3. Lee, W. H.(2019)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Policy Research on Scenic Sites. Korean Institute of Scenic Site Symposium. pp.65-76
  4. Lee, J. H.(2010) Learn at National Parks in the United States. Hanul Publishing; Paju
  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omepage http://knps.or.kr/
  6. National Park Service(2017) National Park System Plan One Hundred Years. National Park Service
  7. National Park Service Homepage https://nationalpark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