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suring Relative Static/Dynamic Efficiency of Korean Game Companies Using DEA and DEA-Window: Focusing on Online and Mobile Game Company

DEA 및 DEA-Window를 통한 국내 게임산업의 정태적/동태적 효율성 분석: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기업을 중심으로

  • 이재영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석사과정) ;
  • 임춘성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
  • 반승현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박사과정)
  • Received : 2020.09.10
  • Accepted : 2020.10.13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5-year efficiency of the game industry, from 2014 to 2018 which is aimed at 25 online and mobile game companies, that are emerging as a new growth engine of a national economy to come and as a core areas of late entertainment industry. The DEA is used for static efficiency analyze and the DEA-Window is used for dynamic efficiency analyze. This study uses assets, the number of employees and costs as input variables and it also uses operating profits and sales as output variables. The main results show that scale efficiency presents a resonable result over 0.85 on a total average except 2014.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year that is over 0.80 of the whole period in technical efficiency. Also, in terms of business scale, there is a huge efficiency gap between high rank companies and low rank companies and the average trend of efficiency has been increased from 2014 to 2016 but it has been decreased since 2017.

본 연구는 최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핵심 분야로 각광받으며 향후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게임산업 중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기업 25곳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의 효율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정태적 효율성 분석을 위해 DEA를, 동태적 효율성 분석을 위해 DEA-Window를 사용하였다. 투입 변수로 자산, 종업원 수, 비용을 선정하였으며 산출 변수로 영업이익과 매출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규모 효율성은 2014년을 제외하고 전체 평균이 0.85를 넘는 준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기술 효율성은 전체 기간 중 0.80을 넘은 연도가 없었다. 또한 기업 규모의 관점에서 상위 기업과 하위 기업의 효율성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성 평균의 추이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상승하다가 2017년부터 하락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2. 이상훈, 이학연, 박용태, "DEA를 이용한 지식 서비스기업의 혁신 성과 분석,"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616-622, 2009.
  3. 김태혁, 김병철, "DEA Window 모형을 이용한 동태적 효율성 분석-국내 손해보험회사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8권, 제6호, pp.2427-2444, 2006.
  4. 김명종, "DEA 및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소매 대리점의 정태적/동태적 효율성 평가," 회계정보연구, 제33권, 제4호, pp.249-276, 2015.
  5. 이성희, 김태수, 이학연, "DEA 윈도우 분석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업화 동태적 효율성 분석," 經營 科學(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제32권, 제4호, pp.193-207, 2015. https://doi.org/10.7737/KMSR.2015.32.4.193
  6. 이수현, 김재윤, "DEA모형을 활용한 국내 해운항공기업의 정태적.동태적 효율성 분석," 한국생산성관리학회지, 제29권, 제4호, pp.397-417, 2018.
  7. 김수영, 윤문길, "Network DEA 모형과 DEA-window 분석을 이용한 저비용항공사 효율성 분석,"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17-132, 2019.
  8. 윤건우, 유승호, "비모수 분석모형(DEA)을 활용한 국내 온라인게임 기업의 인적자본 효율성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9권, 제2호, pp.81-93, 2009.
  9. 고동원, "게임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41-347, 2012.
  10. 임병학, 홍한국, 임광혁, "DEA/Window 분석을 통한 지방 자치단체의 시대별 효율성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76-28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276
  11. 박만희,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주), 2008.
  12. A. Charnes, W. W. Cooper, and E. Rhodes, "Evaluating Program and managerial Efficiency: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to Program Follow Through," Management Science, Vol.27, No.6, pp.668-697, 1978. https://doi.org/10.1287/mnsc.27.6.668
  13. R. D. Banker, A. Charnes, and W. 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pp.1078-1092, 1984.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4. 임병학, 홍한국, 임광혁, "DEA/Window 분석을 통한 지방 자치단체의 시대별 효율성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76-28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276
  15. 이형석, 김기석,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국내생명보험산업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192-206,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5.192
  16. 유금록, "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료포락분석에 있어서 투입산출요소의 음수자료 처리방법과 적용," 政策分析評價學會報(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제15권, 제4호, pp.173-19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