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ing the Urban Inclusivity of Xita Koreatown in Shenyang: With a Focus of the Actor-Network Theory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도시 포용성 연구: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중심으로

  • 이심홍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석사) ;
  • 김민형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콘텐츠학부 교수)
  • Received : 2020.08.20
  • Accepted : 2020.10.12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o newly discover the placeness of Xita Koreatown in Shenyang,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urban inclusivity based on the actor-network theory and the main discourse of inclusive cities. It then applies a framework to the relevant space for analysis. We conduct the case study by first identifying a historical timeline by dividing the age from the founding of New China to the present into sprouting and developing stages of Xita Koreatown, extracting major actors out of time, and finally creating a network graph for each of the six periods representing changes in the region. Throughout this process, we not only analyze the aspect of transition in the urban inclusivity of Xita Koreatown but also prospect the feasibility of an inclusive city for th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and type of actors constituting Xita Koreatown have constantly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related actor-networks have also continued to expand in all indicators of urban inclusivity. Secondly, the agency of human actors such as Korean-Chinese, locals, and both South and North Koreans, representing the specificity of Xita Koreatown, has continuously improved. Lastly, due to the increase of cultural exchanges and related policy actors, the actor-network in this region has achieved an unprecedented leap forward. In conclusion, the urban inclusivity of Xita Koreatown in Shenyang shows significant growth in quality, with expectations of further improvement.

본 연구는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장소성을 새롭게 규명하기 위하여 포용도시의 주요 담론을 토대로 행위자-연결망 이론에 기반한 도시 포용성의 개념적 구조를 확립하고, 이를 해당 공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의 과정은 신중국 건국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서탑 코리아타운의 맹아기와 발전기로 나누어 주요 행위자를 추출하고, 이 지역의 변화를 대표하는 여섯 개의 시기별로 각각의 행위자-연결망의 네트워크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당 공간의 도시 표용성 변화 추이를 해석하고 포용도시의 실현가능성을 전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탑 코리아타운을 구성하는 행위자의 수와 종류는 한중 수교를 기점으로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행위자-연결망 역시 도시 포용성의 전 지표에서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둘째, 서탑 코리아타운의 특수성을 대표하는 조선족, 한국인, 현지인, 북한인 등의 주요 인간 행위자들의 행위성이 비약적으로 증진하였다. 셋째, 문화교류와 관련 정책 행위자가 성장하면서 이 지역의 행위자-연결망은 유래없는 도약을 성취하였다. 결론적으로,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도시 포용성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도시 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잠재적 요인 또한 다수 관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용, "1920년대 심양(봉천)지역 한인사회단체: 봉천거류조선인회의 성립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45호, pp.98-99, 2005.
  2. http://overseas.mofa.go.kr/cn-ko/wpge/m_1226/contents.do, 2020.08.03.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민족 유민의 공간, 서탑 코리아타운," 세계한민족문화대전, 2018.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05305310&localCode=krcn, 2020.08.03.)
  4. 임영상, 동북의 조선족사회와 조선족문화관, 신서원, 2015.
  5. 윤인진 외, 세계의 코리아타운과 한인 커뮤니티, 북코리아, 2019.
  6. 신춘호, "심양 코리아타운 '서탑'과 한국문화 : 심양한국주간과 2010중국글로벌한상대회의 경우," 재외한인학회, 제24호, pp.173-233, 2011.
  7. UN-HABITAT, Inclusive Cities: The Way Forward, Strategy paper, 1999.
  8. https://www.undp.org/content/undp/en/home/sustainable-development-goals/goal-11-sustainable-cities-and-communities.html, 2020.08.03.
  9. http://habitat3.org/documents-and-archive/preparatory-documents/issue-papers/, 2020.08.03.
  10. 최재헌, "UN HABITAT III의 새로운 도시의제(New Urban Agenda)가 한국 도시지리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6-41, 2017.
  11. J. Gerometta et al., "Social Innovation and Civil Society in Urban Governance: Strategies for an Inclusive City," Urban Studies, Vol.42, No.11, pp.2007-2021, 2005. https://doi.org/10.1080/00420980500279851
  12. http://documents.worldbank.org/curated/en/402451468169453117/World-Inclusive-cities-approach-paper, 2020.08.03.
  13. 변미리 외, 서울형 포용도시 지표체계 개발과 서울시의 포용성, 서울연구원, p.22, 2017.
  14. 박인권, 이민주,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공간과 사회, 제26권, 제4호, pp.125-126, 2016.
  15. 박인권,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제25권, 제1호, pp.108-109, 2015.
  16. B. Latour, 홍철기,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갈무리, 2009.
  17. B. Latour et al., 홍성욱, 인간.사물.동맹: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pp.17-22, 2010.
  18. 홍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북한 연구," 현대북한연구, 제16권, 제1호, p.127, 2013.
  19. 최병두, "관계이론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 초국적 이주 분석을 위한 대안적 연구방법론,"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7권, 제1호, p.19-20, 2017.
  20. 김환석, "행위자-연결망이론과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873-886, 2009.
  21. 박성우, 신동희, "ANT(행위자-네트워크이론)를 통한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새로운 담론분석," 문화예술연구, 제10권, 제2호, pp.109-112, 2015.
  22. B. Latour, The Pasteurization of Fra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23. B. Latour, Politics of Nature: How to Bring the Sciences into Dem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24. B. Latour, 이세진,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인간과 자연, 과학과 정치에 관한 가장 도발적인 생각, 사월의책, pp.77-81, 2012.
  25. https://earth.google.com/web/@41.80560803123.41232787,51.05752735a,7422.3625266d,35y,0h,0t,0r, 2020.08.05.
  26. "역사전환기속 성내 조선족지역사회 탐방: 심양편," 요녕조선문보, 2016.01.29.
  27. 송해련, 서탑 코리아타운과 심양한국주 축제의 지식맵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7-29, 2017.
  28. 이심홍,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포용도시 실현가능성 연구: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8-49, 2020.
  29. 朴梅花, 西塔-沈陽市和平區西塔街道志, 遼寧民族出版社, 2014.
  30. 이화, 오상순, "요녕 조선족문학이 걸어 온 발자취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한중인문학연구, 제55집, pp.293-324, 2017.
  31. 심양교민20년: 심양한국인사회 20년의 발자취, 심양한국인(상)회, 2013.
  32. https://gephi.org/, 2020.08.05.
  33. 홍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북한 연구: 방법론적 성찰과 가능성," 현대북한연구, 제16권, 제1호, pp.106-170, 2013.
  34. 박순성 외,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탈분단의 사회동학, 한국연구재단,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