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 학습모듈 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onstruction Practical 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Level in NCS Learning Module

  • 투고 : 2020.01.17
  • 심사 : 2020.02.17
  • 발행 : 2020.02.28

초록

본 연구는 NCS 학습모듈을 효과적으로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학습모듈, 진로 및 현장실습, 실습환경 등에 대해 충청권(대전광역시 포함) 소재 공립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 후 교사의 진로 및 현장실습 지도 측면, 학생의 진로결정 및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학생은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는 편을 보인 반면, 교사는 '내용수준', '흥미', '필요지식', '기술습득(기술수행수준)', '실무능력향상(기술수행수준)', '실험실습장규모', '실험실습장기자재' 항목 등에서 불만족하는 편을 보였다.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된 NCS 학습모듈이 실무과목 수업에 충분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개념정리 및 직무기술 이해에 관한 중간 매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교사의 수업자료의 개발 및 구축이 요구되며, NCS 학습모듈의 개발인력 구성에서 교육훈련전문가의 수를 늘려 교육현장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needed to plan the NCS Learning Module to be used effectively in practical courses. In this study,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surveys were collected about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learning module, career and field practice, practical environment used in the construction subject cour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ublic high schools in Chungcheong province (including Daejeon), which is operating practice course using the NCS learning modul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was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practical subject class using NCS learning module? Second, what i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eacher's career and field practice guidanc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field practice after the practical course using NCS learning module?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veloped NCS learning module and practical subject class using the same was determined by setting whether the number of training of NCS-related teachers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the-job training of students were aff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the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in all items, whereas the teachers showed 'content level', 'interest', 'necessary knowledge', 'skill acquisition',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level of skill performance)', 'scale of experimental practice', and 'items of experimental practice equipment' were dissatisfi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NCS related teachers' training (or absence) or the presence of students on the field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developed NCS learning module and the practical course using it.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developed NCS learning module in the practical cours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construct the teaching material of the teacher who can serve as an intermediary for conceptu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job skil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ducation and training specialists to positively reflect the demands of the education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고등학교).
  2.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과(2017).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이해.
  3.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6). NCS 학습모듈 개발 매뉴얼.
  4. 김세중, 김종욱, 김진수(2016).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2), 167-190.
  5. 김인엽, 전종호, 이세정(2016). NCS기반 고교직업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원 관련 법제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김지영, 이민욱, 나현미(2015). NCS 학습모듈 활용 지원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김지영(2017). 특성화고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 현황과 개선 방향, The HRD Review, 20(6), 32-45.
  8. 신연주, 송해덕(2015). 수행공학 접근을 적용한 NCS 학습모듈 개발과정의 개선방안 탐색. 직업교육연구, 34(3), 23-43.
  9. 이병욱, 안재영, 강철민(2015).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11-129.
  10. 이영민, 임유화(2016).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22-43.
  11. 최동선 외(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최동선 외(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함승연(2016).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2), 69-88.
  14.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
  15.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ogy, 28(4), pp.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16.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d Ed.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