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nsparency Study of Descriptive Refueling and Signifying Chain Function - For the Efficiency of Media Language Education -

서술적 환유와 의미 연쇄 기능의 투명성 연구 -매체언어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 Lim, Ji-W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Humanities and Culture)
  • 임지원 (국립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
  • Received : 2020.05.15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Metonymy can be said to be the only language's meaning shifting technique that exists in the domain of a single human thought in order to obtain a transparent cognitive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scriptive metonymy' of the advertising content language constructed by the cognitive principle and to find a way to use it in media language education for social and cultural interests and refle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metonymy used in advertising media contrasts with the difficulty of the metaphorical interpretation of "opaque and distant" reasoning. Storyboards, mostly focused on human emotions and behaviors, used metonymy's 'transparent and easy meaning shifting technique'. I have found that I can expect the efficiency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at contains the interest and sociocultural interest, self-reflection, and future imagination of college students. Now, there is less need to perform cognitive reasoning for advertisements with ambiguous metaphor techniques. Lastly, in order to produce successful advertising content, we expect to use the language technique of 'narrative metonymy' with warm feelings of humans, and acknowledge the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leave it as a task for the next research.

환유는 투명한 인지효과를 얻기 위해 인간의 단일한 사상의 영역에서 존재하는 유일한 언어의 의미 전환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인지 원리에 의해 구성된 광고콘텐츠 속 언어표현의 '서술적 환유'를 분석하여 대학생의 사회문화적 관심과 성찰을 위해 매체언어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광고미디어에 쓰이는 환유는 은유의 '불투명하고 거리가 먼' 추론적 해석의 어려움과는 대조된다. 대부분 인간의 감성과 행동에 초점을 둔 스토리보드는 환유의 '투명하고 쉬운 의미 전환 기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충분히 대학생 필자의 흥미성과 사회문화적 관심, 자아성찰, 미래 상상이 담긴 매체언어 교육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젠 모호한 은유적 기법이 적용된 광고에 대하여 인지적 추론을 행할 필요가 적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광고콘텐츠 제작을 위해 인간의 따스한 감정이 담긴 '서술적 환유'의 언어기법이 활용되길 기대하며 양적연구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다음 연구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본 논문의 완성도를 위해 세밀하게 지적해 주신 심사위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Keywords

References

  1. 철학아카데미. (2012). 기호학과 철학 그리고 예술-라캉의 기호-. 소명출판사.
  2. 박영준. (2010). 광고언어연구, 박이정.
  3. D. Alan Cruse. (임지룡.김동환 옮김). (2002). 언어의 의미. 태학사.
  4. 박영순. (2004). 한국어 문장의미론. 박이정.
  5. 한백진, 최지훈. (2009). 브랜드 광고에 나타난 환유(換喩) 표현 사례에 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12(7).
  6. George Lakoff. (이기우 옮김). (1987). 인지의미론. 한국문화사.
  7. Zoltan. Kovecses. (이정화.우수정.손수진.이진희 옮김). (2000). 은유. 한국문화사.
  8. 이종열. (2003). 한국어 비유 표현의 개념적 통합 양상. 담화와인지학회 논문지, 10(1): 167-190.
  9. 이종렬. (2001). 환유와 은유의 인지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언어과학회 논문지, 19, 169-180.
  10. 양해림, 임지원. (2015). 인지인문학.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11. 김차균 외 3인. (2005). 허웅 선생의 우리말 연구. 태학사.
  12. 임지원. (2006). 광고어에 나타난 환유의 유형과 작용 원리. 인문학연구 학회지, 33(1):16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