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소와 공간의 재현적 관점에서 본 드론 쇼트와 핸드헬드 쇼트의 영상 미학 : <세계테마기행> '유카탄 반도'편을 중심으로

The Visual Aesthetics of Drone Shot and Hand-held Shot based on the Representation of Place and Space : focusing on World Travel' Peninsula de Yucatán' Episode

  • 류재형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 투고 : 2020.03.17
  • 심사 : 2020.04.27
  • 발행 : 2020.04.30

초록

이 연구는 드론 쇼트(Drone Shot)와 핸드헬드 쇼트(Hand-held Shot)라는 두 촬영기법의 미학적 기능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세르토(Certeau)의 장소와 공간의 개념을 이해하였다. 두 촬영기법의 미학적 기능을 비교, 분석할 텍스트로서 <세계테마기행> '유카탄 반도'편을 선정하고 그들의 미학적 특성이 잘 드러나는 장면들을 중심으로 장소와 공간의 개념을 적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드론 쇼트는 자기반영성이 제거된 고요한 움직임으로 도시를 내려다보면서 지역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정보를 제공하는 권위적인 시점을 취하였으며, 이러한 기능은 그 지역의 고유한 규칙 및 질서 등에 대한 선지식을 전달하는 내레이션이나 자막 등을 통해 강화되었다. 반대로 핸드헬드 쇼트는 도시에 내재된 규칙과 질서 등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보행을 통해 공간을 실천적으로 경험하였다. 관람 코스로 굳어진 주요 명소보다 소도시와 시골의 일상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인간적인 보행을 실천한다는 점에서 권력 주체의 전략에 저항하는 전술을 담아내었다.

The Drone shot is moving images captured by a remotely controlled unmanned aerial vehicle, takes usually bird's eye view. The hand-held shot is moving images recorded by literal handheld shooting which is specialized to on-the-spot filming. It takes a walker's viewpoint through vivid realism of its self-reflexive camera mo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aratively aesthetic functions of the drone shot and the hand-held shot. For this, the study understood Certeau's concepts of 'place' and 'space,' chose World Travel 'Peninsula de Yucatan' episode as a research object, and analytically applied two concepts to the scenes clearly presenting two shots' aesthet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drone shot took the authoritative viewpoint providing the general information and atmosphere as it overlooked the city with silent movements removing the self-reflexivity. This aesthetic function was reinforced the narration and subtitles mediating prior-knowledge about proper rules and orders of the place. The drone shot tended to project the location as a place. Conversely, the hand-held shot practically experienced the space with free walking which is free from rules and orders inherent in the city. The aesthetics of hand-held images represented the tactic resisting against the strategy of a subject of will and power in that the hand-held shot practiced anthropological walking by means of noticing everyday lives of the small town and countryside than main tourist attraction. In opposition to the drone shot, the hand-held shot tended to reflect the location as a spac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도 한림대학교 교비연구비 (HRF-202003-014)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권동희. (2016). 지리학에서의 드론사진 활용: 제주도 지형 사례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6(4): 1-18. 재인용.
  2. 김선영, 최유정. (2019). 드론에 의한 '공중예술'의 의미와 전망에 관한 시론적 고찰. 인문사회21, 10(3): 1789-1804.
  3. Teschner, J. (2013). On Drones. The Iowa Review, 43(1): 74-81. https://doi.org/10.17077/0021-065x.7295
  4. Sipes, J. L. (2005). A Bird's-Eye View.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95(5): 90, 92, 94, 96-99.
  5. 박준형, 양기성, 이상은. (2019). 드론에서의 1인칭 시점 촬영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 가상현실 고글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지 AURA, 42: 48-55. 재인용.
  6. Shinkle, E. (2014). Drone Aesthetics. Lisa Barnard. http://lisabarnard.co.uk/essays/drone-aesthetics-by-eugenie-shinkle-2014/2020.02.20.
  7. 임종수, 이소현. (2018). 드론영상의 보기 양식과 하이퍼 리얼리티 연구: 방송 드론영상 분석. 방송문화연구, 30(2): 73-109. https://doi.org/10.22854/SBC.2018.30.2.73
  8. 임종수. (2017). 영상 드론의 운동성과 보기 양식에 관한 소고: 드론 미디어학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이론, 13(3): 50-85.
  9. 류재형. (2017). <라라랜드>의 자기반영성과 그 의미. 씨네포럼, 27: 9-44.
  10. Muntean, L. (2019). Droning Syria: The Aerial View and the New Aesthetics of Urban Ruination. (73-92). Visualizing the Street: New Practices of Documenting, Navigating and Imagining the City. Dibazar, P. & Naeff, J. (eds.).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11.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https://opendic.korean.go.kr/search/searchResult?query=%ED%95%B8%EB%93%9C%ED%97%AC%EB%93%9C/2020.02.17.
  12. 강철두, 이해만. (2010). TV 다큐멘터리의 카메라 기법에 관한 연구 - 핸드헬드 기법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32: 144-153.
  13. 고현욱, 서동기. (2014). 핸드헬드와 스테디캠을 이용한 롱테이크 촬영 기법 연구 - 영화 '밀양'과 '살인의 추억'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1): 67-72.
  14. 구징, 전형진, 박홍식. (2017). 3D애니메이션에서 핸드헬드 카메라 기법의 적용 및 분석.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0(11): 1820-1827.
  15. 김지훈. (2017). 드론 카메라와 고프로(GoPro): 탈체현적 디지털 카메라와 다큐멘터리의 확장. 현대영화연구, 29(0): 129-170.
  16. 이규정. (2016). 플랫폼 차이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상 재현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68: 123-152.
  17. Certeau, M. (1984).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Rendall, S. (e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장세룡. (2016). 미셸 드 세르토, 일상생활의 창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 백영주. (2017). 걷기의 의미 양상과 예술적 실천: 미셸 드 세르토의 '공간 실천'과 도시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46: 81-108.
  20. 김용수. (2017). 퍼포먼스로서의 연극연구 - 새로운 연구방법과 연구분야의 모색.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21. Certeau, M. (1984).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Rendall, S. (e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장세룡. (2004). 미셸 드 세르토의 일상과 민중문화. 서양사론, 82: 205-238.
  23. 김우필. (2015). 관찰자가 관찰대상이 되는 상황의 아이러니. 플랫폼, 7: 57-61.
  24. 허버트 제틀. (1996). 「영상미학」. 최창섭, 윤용, 케빈 커스튼 공역. 서울: 법문사.
  25. Sally, N. (2016). How Drones are Transforming TV Production. Independent. http;//www.independent.co.uk/arts-entertainment/tv/planet-earth-jj-sir-david-attenborough-how-drones-aretransforming-tvproduction-a6898336.html/202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