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 학습자 행동분석

Analysis of Utilization and Problems, and Learner Behavior of Distance Science Learning

  • 투고 : 2020.07.31
  • 심사 : 2020.08.24
  • 발행 : 2020.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과 학습자 행동분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3월부터 6월까지 16주간에 거쳐 강의가 이루어졌으며 수강학생들에게 강의평가 및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대상은 B 교육대학교의 '초등과학교재연구 1' 강좌를 수강하는 128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부터 6월까지 비대면 강의를 통해 강의평가 및 면담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대학의 LMS시스템 활용이 좋았다. 둘째, 교수자의 과학 자료제시가 온라인 시스템에서 원활하게 운영되는데 효율적이지 않았다. 다양한 플랫폼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교육의 적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전문적인 강의 지원방식인 LMS 시스템을 보다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업그레이드 한다면 보다 높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s and problems of distance science learning and learner behavior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d an Sixteen-weeks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from March to June 2020,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med a research group of 128 students in 2nd grade of their advanced classes who are attending the second semester of B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teaching research 1'. B university of education is singleness class that doesn't have compare group, so this study is constituted only study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took science learning remotely liked using the university's LMS system. Second, it was not efficient for the faculty member's scientific data presentation to operate smoothly in the online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various educational platforms as a standardized platform. Looking at the pros and cons of various platfo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suitability of education, but if the LMS system, which is a professional teaching support method, is upgraded to meet the needs of learners, the satisfaction of higher instructors and learners will be higher.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선아(2018). 4차 산업혁명기반 미래 대학의 교수학습 방법 및 대학교수 역량에 대한 현직 교수 인식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179-188.
  2. 김태웅, 박인우(2008). 실시간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20(2), 1-21. https://doi.org/10.17927/TKJEMS.2008.20.2.1
  3. 두민영, 권회림, 문은경(2017).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교육방법연구, 29(1), 185-210 .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1.185
  4. 성기훈, 남재식(2016). 초등체육 원격 직무연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2(3), 53-67.
  5. 신윤미(2015).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에 대한 교수자 답변 활동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분석학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신지혜(2015). 면대면 강의와 화상 강의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수업 만족도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지, 22, 83-102
  7. 신형석, 정용재, 설양환(2018). 국내 예비교원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1-30. https://doi.org/10.24211/TJKTE.2018.35.3.1
  8. 우영희(2016).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의 대리 상호작용의 활용 및 학습자 반응분석. 교육방법연구, 28(4), 609-628. https://doi.org/10.17927/TKJEMS.2016.28.4.609
  9. 이경희(2007). 원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대학 교수자들의 e-러닝에 대한 인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지, 10(1), 129-164.
  10. 이종연, 서종택(2017). 원격평생교육에서 수업의 질적 요소,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5), 135-144.
  11. 이지연(2011). 대형 온라인 강좌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협력적 지식형성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지, 14(2), 51-80.
  12. 장지윤, 김주영, 박인우(2017). 대학생이 인식하는 "수업중 교수-학습 활동 종류와 실행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9(2), 371-396.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2.371
  13. 최욱(2017). 교실 및 온라인 토론수업을 위한 준비 교수체제 (Preparatory Instructional System) 설계모형 개발. 교육방법연구, 29(4), 677-705.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4.677
  14. 홍성연(2011). 교원들이 인식하는 우수 원격학습자 유형 분석 : 원격대학원 진학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429-463. https://doi.org/10.24211/TJKTE.2011.28.4.429
  15. Bhukuvhani, C., Mupa, M., Mhishi, M., & Dziva, D. (2012). Science practical work instructional technologies and open distance learning in science teacher training: A case study in zimbabw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8(2), 17-27.
  16. Fraser, W. J. (2017). Science teacher educators' engagement wit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in predominantly paper-based distance learning programs.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8(4), 35-51. https://doi.org/10.17718/tojde.340375
  17. Galindo, C., Gregori, P., & Martínez, V. (2020). Using videos to improve oral presentation skills in distance learning engineering master's degre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51(1), 103-114. https://doi.org/10.1080/0020739x.2019.1662118
  18. James, N., Humez, A., & Laufenberg P. (2020). Using technology to structure and scaffold real world experiential learning in distance education. TechTrends; Washington, 64(4), 636-645.
  19. Jeong, J. S., González, G. D., Cañada, C. F., Gallego, P. A., & Bravo, J. C. (2019). Effects of active learning methodologies on the students' emotions, self-efficacy beliefs and learning outcomes in a science distance learning course. Journal of Technology and Science Education, 9(2), 217-227. https://doi.org/10.3926/jotse.530
  20. Kwasu, I. A., Yalams, S. M., & Ema, E. (2016). Using design & animation concepts to produce animated instructional resources that can facilitate open distance learn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7(17), 166-170.
  21. Spitzer, M., Nanic, I., & Ebner, M. (2018). Distance learning and assistance using smart glasses. Education Sciences, 8, 18. https://doi.org/10.3390/educsci8010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