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unter-Strategy against the North Korea's Nuclear of the South Korean Successive Governments

한국 역대정부의 북핵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Lim, Jong Wha (Department of Chinese Studies, Chungwoon University)
  • 임종화 (청운대학교 중국지역학과)
  • Received : 2020.07.01
  • Accepted : 2020.07.24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the Korean successive governments' nuclear strategies after the post-cold war and suggests the future countermeasures as analysing to reciprocally interconnect B. Clinton and G.W.Bush governments' policies and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As th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st urgent domestic alternative measure to North Korea's nuclear dismantlement is to prepare the grand strategy with the united whole national consensus and to order the renewed stronger future role by the mutual cooperation of multilateral agreement system and international regimes and lastly to adopt the extended deterrence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5 great joint statements between the South-North Koreas.

본 연구는 탈냉전이후 역대 한국정부의 북핵전략내용들을 규명하고, 동일시기 한반도에 영향을 준 미국의 B. 클린턴과 G.W.부시 행정부의 대북핵정책과 북한의 핵전략 및 전술이 한국정부의 북핵전략에 어떠한 인과론적 결과를 파생하였는지 상호연계·분석하여 향후의 대응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탈냉전직후인 1991년 12월 13일 남북한이 공동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는 한국이 남북관계를 주도해 가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고, 북핵해결의 기점이라 하는 '한반도비핵화선언'은 냉전종식에 대한 미국의 '해외전술핵무기폐기선언'과 직결되는 일련의 조치로, 냉전해체후 국제질서 재편과정의 파생물이자 북한의 교묘한 핵전략에 말려든 오판의 산물이었다. 이후 김영삼의 문민정부-->김대중정부의 햇볕정책-->노무현정부의 평화·번영정책--> 이명박 정부의 상생·공영정책과 비핵·개방·3000 전략은 남북관계발전을 정부정책의 제일기조로 삼고 제시한 정책적 모토이고 추진과정에서 방법상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북핵문제대응에 대한 공통적 측면은 북핵문제해결을 위한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과 실행의 노력보다는 국제기구나 다자적국제체제 및 미국역할에대한 기대심리가 지대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미흡한 점을 보강하기 위한 결론적 제안으로 일치단결된 국민의식으로 북핵폐기를 위한 단호한 대전략(大戰略)수립과, 북핵문제해결을 위한 다자협의체제와 국제레짐의 공조(共助)를 통한 보다 쇄신되고 강력한 미래의 역할주문과 한국의 역대정부에서 이룩한 남북한 5대합의문의 재보강을 통한 확대된 억지책(extended deterrence)강구를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갑우,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서울:후마니타스, 2007)
  2. 김계동, 북한의 외교정책: 벼랑에 선 줄다리기 외교의 선택(서울: 백산서당, 2002)
  3. 김대중, 김대중 자서전2 (서울: 삼인, 2010)
  4. 김영삼, 김영삼 회고록: 민주주의를 위한 나의 투쟁 (제1권) (서울: 조선일보사, 2001)
  5. 김태우, 북핵을 넘어 통일로(서울:명인문화사, 2012)
  6. 남찬순, 북미핵협상과 동북아질서: 1990년대의 교훈 (서울: 나남출판, 2007)
  7. 배정호.박재덕.홍지환.황재호.한동균.유영철, 북한 핵의 국제정치와 한국의 대북핵 전략 (서울: 통일연구원, 2011)
  8. 이수혁, 전환적 사건: 북핵 문제 정밀분석 (서울:중앙 Books, 2005)
  9. 이용준, 북한 핵 새로운 게임의 법칙 (서울:조선일보사, 2004)
  10. 이우탁, 오바마와 김정일의 생존게임: 북핵6자회담 현장의 기록 (서울: 창해, 2009)
  11. 김용호.최연식, "대북정책에 있어서 보수.진보논쟁에 관한 연구,"한국과 국제정치(서울: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7)
  12. 박영호, "한미의 전략적 협력," NPT 체제와 핵 안보(서울: 통일연구원, 2010)
  13. Don Oberdorf,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y (Reading MA: Addison- Wasley 1997)
  14. Funabashi, Yoich, The Peninsula Question: A Chronical of the Second Korean Nuclear Crisi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e Press, 2007)
  15. Krasner, Stephen D., International Regimes (Ithaca: Cornell Univ. Press, 1999)
  16. Snyder, Scott A., (안진환.이재봉 역), 벼랑끝 협상: 북한의 외교전쟁(서울: 청년정신,2003)
  17. Waltz, Kenneth N.,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Addision Wesley,1979)
  18. Waltz, Kenneth N., Man, the State and War: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1959)
  19. Hecker, Siegfried S., "Lessons learned from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Delhaus Issue 44 (Winter, 2010)
  20. Park, John, "Inside Multilateralism: The Six Party Talks," Washington Quarterly, Vol. 28, No. 4 (Autum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