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남찬순, 북미핵협상과 동북아질서: 1990년대의 교훈 (서울: 나남출판, 2007)
|
2 |
배정호.박재덕.홍지환.황재호.한동균.유영철, 북한 핵의 국제정치와 한국의 대북핵 전략 (서울: 통일연구원, 2011)
|
3 |
이수혁, 전환적 사건: 북핵 문제 정밀분석 (서울:중앙 Books, 2005)
|
4 |
이용준, 북한 핵 새로운 게임의 법칙 (서울:조선일보사, 2004)
|
5 |
이우탁, 오바마와 김정일의 생존게임: 북핵6자회담 현장의 기록 (서울: 창해, 2009)
|
6 |
김용호.최연식, "대북정책에 있어서 보수.진보논쟁에 관한 연구,"한국과 국제정치(서울: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7)
|
7 |
박영호, "한미의 전략적 협력," NPT 체제와 핵 안보(서울: 통일연구원, 2010)
|
8 |
Don Oberdorf,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y (Reading MA: Addison- Wasley 1997)
|
9 |
Funabashi, Yoich, The Peninsula Question: A Chronical of the Second Korean Nuclear Crisi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e Press, 2007)
|
10 |
Krasner, Stephen D., International Regimes (Ithaca: Cornell Univ. Press, 1999)
|
11 |
Snyder, Scott A., (안진환.이재봉 역), 벼랑끝 협상: 북한의 외교전쟁(서울: 청년정신,2003)
|
12 |
Waltz, Kenneth N.,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Addision Wesley,1979)
|
13 |
Waltz, Kenneth N., Man, the State and War: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1959)
|
14 |
Hecker, Siegfried S., "Lessons learned from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Delhaus Issue 44 (Winter, 2010)
|
15 |
Park, John, "Inside Multilateralism: The Six Party Talks," Washington Quarterly, Vol. 28, No. 4 (Autumn 2005),
|
16 |
구갑우,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서울:후마니타스, 2007)
|
17 |
김계동, 북한의 외교정책: 벼랑에 선 줄다리기 외교의 선택(서울: 백산서당, 2002)
|
18 |
김대중, 김대중 자서전2 (서울: 삼인, 2010)
|
19 |
김영삼, 김영삼 회고록: 민주주의를 위한 나의 투쟁 (제1권) (서울: 조선일보사, 2001)
|
20 |
김태우, 북핵을 넘어 통일로(서울:명인문화사, 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