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three participants in their late 40s and conducted a total of six sessions and in-depth interviews for 90 minute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using the phenomenological Giorgi research method. Th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was drawn as follows. First, the shame, fear, reprimand, violence, passive attitude, and childhood that had to be adjusted seemed to maintain a stable life in the late forties, but still appeared in the present life. It was found that they showed a low self-satisfaction rather than positive satisfaction with self-concept and pursued an ideal self-image. Second, lifestyle was a time of severe depression, lethargy, and emptiness as a child, experiencing an unstable childhood due to a violent family, loss of attachment, overprotection,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and parental strife.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late forties, famil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religious life is being stabilized, and the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is valued. This shows how a lifestyle that gives meaning and recognizes what experience gives meaning to the childhood that one experienced. Insight into change and growth in middle-aged life, searching for and interpreting the initial recollections that they have experienced, accompanied by soci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aged men, discovering inappropriate meanings and goals and preparing for a second life in the age of 100 It is meaningful to provide.
연구 참여자는 40대 후반 3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90분씩 총 6회기 프로그램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상학적 Giorgi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초기 회상에서 발견된 수치, 두려움, 자책, 폭력 상황, 수동적인 태도, 적응해야 했던 어린 시절 모습 등은 40대 후반 안정된 삶을 유지하는 듯 보이나 현재의 삶 가운데 여전히 나타나고 있었다. 자기개념에 대한 긍정적 만족함보다는 낮은 자기 충족감을 보이며 이상적 자아상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생활양식은 어린 시절 폭력적인 가정, 애착 대상의 상실, 과잉보호, 어려운 경제 상황, 부모의 심한 다툼으로 인한 불안정한 어린 시절을 겪으며 심한 우울감과 무기력과 허무함의 시간이 있었다. 40대 후반 가정을 이루고 종교 생활을 하면서 안정을 찾아가고 있으며 가정에 대한 책임감을 소중하게 여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어떤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고 인식하는 생활양식은 자신이 경험한 어린 시절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보여준다. 중년남성의 사회적 심리적 변화를 동반하는 생활양식을 그들 자신이 경험한 초기회상을 탐색하고 해석하여 부적응적 의미와 목표를 발견하고 100세 시대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중년기 삶에 변화와 성장의 통찰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