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Freud, Sigmund. "The Aetiology of Hysteria."(1896). The Freud Reader. Ed. Peter gay. New York: W.W. Norton &company, 1989.
|
2 |
김병석(1996), 초기아동 기억의 상담에의 활용. 청소년상담연구, 제4호, 1996, 67.
|
3 |
도상금(2000). 심리치료에서 기억의 문제. 심리과학. Vo. l9, No. 1, 117-137.
|
4 |
김춘경, 채연숙, 변학수(2007). 기억회상의 치료적 효과를 활용한 문학 치료. 정서.행동 장애 연구. Vo.23, No.3 447-476.
|
5 |
Butler, R., & Lewis, M.L.(1974). Life-Review Therapy: Putting Memories to Work in Individual and Group Psychotherapy. Geriatics, 29, 165-173.
|
6 |
Alfred Adler (1956).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lfred Adler(h.l. Ansbacher & R.R. Ansbacher, Eds.). New York:Basic Books.
|
7 |
김필진(2017). 아들러의 사회적 관심과 상담. 서울: 학지사.
|
8 |
유리향(2002). 초등학생의 바람직한 생활양식 형성을 위한 Adler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아동 상담심리 전공 석사학위 논문.
|
9 |
Giorgi(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
10 |
Alfred Adler (1965). Understanding Human Nature. A Premier Books.
|
11 |
Alfred Adler (1973). Der Sinn des Lebens. Frankfurt/M.
|
12 |
Candler, C.K, & Willingham, W. K,(1986).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rly childhood family influence and the established life-style.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42, 388-394.
|
13 |
KOSIS 국가통계포털, 사망원인통계, 연령별 사망자수, 사망률.
|
14 |
KOSIS 국가통계포털, 성/월별 특정 사망원인(고의적 자해) 사망자 수.
|
15 |
정영미(2013). 중년남성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Korean J Hosp Palliat Care Vol. 16, No. 3, 166-174, September 2013.
DOI
|
16 |
Arthur J. Clark. Dawan of Memories : The Meaning of Early Recollections in Life. 초기회상의 의미와 해석. 박예진.김영진 역(2019). 서울:학지사.
|
17 |
김은초(2019). 초기기억중심의 Adler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취업준비생의 취업 스트레스, 우울, 자기격려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석사학위 논문.
|
18 |
백현숙(2018). 초기기억 중심의 Adler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19 |
김미례(2015). 청소년의 초기기억에 나타난 생활양식과 인생태도와의 관계. 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 Vol. 15 No. 4.
|
20 |
김천수, 강영신, 노안영(2015). 수용전념치료가 주부의 인지적 탈융합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통합적 분석:초기기억을 활용하여.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 연구 Vol. 16 No. 4.
|
21 |
최성복, 이종연(2018). 국내 아들러 개인심리학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논문 분석(1976-2018).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Vol. 35, No. 1, 137-166,152.
|
22 |
임미화(2019). 중년남성의 공감적 대화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3 |
Arthur J. Clark. Early Recollections-Theory and Practice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박예진.박상규 역(2017). 서울: 학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