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gic Structure of Myeongri Old Law and New Law

명리학 고법과 신법의 논리구조 비교연구

  • Na, Hyeok-Jin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 Jung, Kyeong-Hwa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나혁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 정경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Received : 2020.06.16
  • Accepted : 2020.07.15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ffirm the logical framework of the saju analysis method by recreating the saju model of old-law to study and organize the theories of frame in old-law Myeongri, and then by organizing and comparing the logic structure of the saju analysis method of new-law and old-law. Some believe that Myeongri Theory first appeared in the worl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they were active with Gwigokja and Naknokja as origin, while others believe that it was origin that "Okjokyeong" was written by Kwak-Bak of Eastern Jin after a while. Since then, Myeongri Theory, which had been organized by Won-Cheongang and Yi-Heojung, has undergone a major transformation since reaching the Song Dynasty Seo-Japyeong. Based on this point, the Myeongri Theory of the previous generation is called the Old-law, and the subsequent theory is called the New-law. The changes in the logic structure of the old-law and the new-law leave a big difference and disconnect between those. But comparative studies have confirmed that the philosophy and logic structure due to natural laws that have not changed much such as the symbolic system of nature called Yinyang & five elements and Cheongan-jiji, the idea of a heavenly response projected in the Three Wonders of heaven, earth and human, and the concept of generation and time in the position of year-month-day-time.

본 논문의 목적은 고법 명리학의 명리 이론들을 연구 정리하여 고법의 사주 모형을 재현하고 고법의 사주해석법과 신법의 사주해석법의 논리구조를 정리한 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그 간명법을 논리적 체계를 재확인해 보는 것이다. 명리이론이 처음 세상에 등장한 것은 귀곡자와 낙록자를 시원으로 삼아 그들이 활동했던 전국시대라고 보는 이도 있고, 조금 더 시간이 흘러 동진의 곽박에 의해 '옥조경'이 쓰여진 것이 시원이라고 보는 이도 있다. 그 이후 원천강과 이허중 등에 의해 체계화되어 가던 명리이론은 송대 서자평에 이르러 크게 변혁을 겪게 되는데 이 시점을 기준으로 앞 세대의 명리이론을 고법, 그 이후 서자평으로부터 시작되는 명리이론을 신법이라고 후대인들은 칭한다. 명리학 고법과 신법의 논리구조 변화는 둘 사이의 큰 차이점과 단절 현상을 남겨놓고 있지만 명리학 고법과 신법 모두 음양오행과 천간지지라는 자연의 상징체계, 천지인 삼원에 투영된 천인 감응 사상, 연월일시의 궁위가 가진 세대와 시간의 개념, 천기의 생왕사절 유행 등의 자연법에 기인한 철학과 논리구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을 비교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택(2006), "中國古典命理書에 대한 哲學的 이해", 철학논총 43집, 새한철학회.
  2. 김계성(2016), "十二運星과 陽順陰逆의 상관성에 대하여 - 사주명리를 중심으로", 동양학 65집, 동양학연구원.
  3. 김우정(2017), "珞琭子三命消息賦注의 命理理論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4집, 원불교사상연구원.
  4. 문재곤(1989), "음양오행론의 전개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14집, 고려대학교철학회.
  5. 박은경(2017), "四柱의 기원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중국학 58집, 대한중국학회.
  6. 서금석(2015), "子平四柱學淵源의 五代說에 대한 再論", 역사와경계 95집, 부산경남사학회.
  7. 신경수(2003), "唐宋代命理的三才論과 主體觀點硏究", 원광대학교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심규철(2003), "명리학의 연원과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9. 윤정리(2005), 옥조신응진경주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세현(2000), "儒家天人合一論의 특징", 동양철학연구 22집, 동양철학연구회.
  11. 이영무(2011), 12신살에 관한 연구: 명리학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하용(2013), 괘기역학과 명리학의 원류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조규문(2009), 천강 원수성의 명리사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영숙(2013), 이허중명서의 명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황금옥(2018), "오행정기(五行精氣) 복원의 후래적(後來的) 영향", 한국민속학 67집, 한국민속학회.
  16. 김기승, 나혁진(2017), 명리학사(命理學史), 서울: 다산글방.
  17. 만민영 著, 김이남, 이명산 譯(2011), 삼명통회, 서울: 삼하출판사.
  18. 서자평著, 최국봉譯(2009), 삼명통신, 서울: 온북스.
  19. 서자평 撰, 문종란 譯(2017), 낙록자삼명소식부주, 서울: 한국학술정보.
  20. 서대승 著, 오청식 譯(2009), 연해자평, 서울: 대유학당.
  21. 석담영 撰, 문종란 譯(2016), 낙록자부주, 서울: 한국학술정보.
  22. 郭璞(晉), 玉照定眞經, 四庫全書/ 子部/ 術數類.
  23. 徐子平(宋), 玉照神應眞經, 古今圖書集成/ 藝術典 / 星命部.
  24. 徐子平(宋), 珞琭子三命消息賦注, 四庫全書/ 子部 / 術數類.
  25. 徐升(宋), 淵海子平, 台北: 進源書局.
  26. 釋曇瑩(宋), 珞琭子賦注, 四庫全書/ 子部/ 術數類.
  27. 張楠(明), 命理正宗, 台北: 集文書局.
  28. 袁樹珊(2000), 命理探原, 台北: 武陵出判.
  29. 李鐵筆(2001), 八字明通賦評註, 台北: 益群書店.
  30. 鄒文耀(1982), 子平命學考證, 台北: 瑞成書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