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ale of counselors as clients' Transitional object

내담자의 전이대상으로 상담자의 역할 연구

  • Received : 2020.06.15
  • Accepted : 2020.07.20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role of counselors' transitional object for the therapeutic activation of clients who have lost the function of selfobject based on Heinz Kohut's Self theory. In this study, it w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human beings need self-target throughout their lives. Next, referring to the process of metamorphic internalization, infants return to reality from a fantasy world, experiencing parental limitations due to optimal frustration through self-targeting. The role of a counselor as a transfer target shall ensure that the counsellor establishes an cohesive self-identity and uses the appropriate self-target. And they should empathize with the over-the-topism and flauntism of the physician, and the counselor should be the object of idealization, giving the interviewer the opportunity to be recognized and identified. The counselor may provide the best frustration for the counsellor during the consultation process. When the counselor acknowledges his mistake, the counselor looks at the counselor realistically and builds a healthy self to achieve transformative internalization. If you form an cohesive self to a physician through counseling, you can empathize with others and form a healthy human relationship. Then you can control your emotions and have a vision. And the patient realizes that he or she has no choice but to live by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 right person throughout his or her life.

본 연구는 하인즈 코헛의 자기(Self)이론을 기반으로, 자기대상(Selfobject) 기능을 상실한 내담자의 치료적 활성화를 위해 상담자의 전이대상 역할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간은 평생을 통해서 자기대상이 필요함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변형적 내재화 과정을 언급하면 유아는 자기대상을 통한 최적의 좌절로 인하여 부모의 한계를 체험하면서 환상의 세계에서 현실로 돌아오게 된다. 전이대상으로 상담자 역할은 내담자가 응집적 자기를 확립하여, 적절한 자기대상을 선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내담자의 과대주의와 과시주의를 공감하고 상담자는 이상화 대상이 되어서 내담자가 인정받고 동일시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상담자는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에게 최적의 좌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담자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할 때 내담자는 상담자를 현실적으로 바라보게 되고 건강한 자기를 구축하여 변형적 내면화를 이룩하게 된다. 상담을 통해서 내담자에게 응집적 자기가 형성되면 타인을 공감하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수 있고 비전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내담자는 삶을 살아가면서 일생동안 적절한 대상과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강한 자기형성을 위한 자기대상에 기초한 목회신학연구, 장로회 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주현, 2016.
  2. 김태형, Donald capps의 재구조화와 Paul Ricoeur의 해석학을 통한 목회상담, 욥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장신논단 38집, 2010.
  3. 김혜신, 자기 심리학에 의한 자기애적 인격장애 사례 연구, 한국기독교 상담학회지, Vol. 24, no. 4, 2013.
  4. 수치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이지혜, 2012.
  5. 이란외 1, 자기심리학에서 본중독 이해: 목회상담적 적용 가능성, 목회와 상담 22권, 2014.
  6. 정석환,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목회 상담, 신학논단 27집, 1999.
  7. 청소년 위기에 대한 목회상담학적연구,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유혜민, 2014.
  8. 최영민, 쉽게 쓴 자기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1.
  9. 최의헌, 코헛의 자기이해, 기독교 상담학회지 2, 2001.
  10. 치유공동체 형성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호세아, 2011.
  11. 하인즈 코헛의 보상구속에서 바라본 기독교 상담연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윤효정, 2015.
  12. 홍이화, 자기 심리학(Self psychology)이야기1: 나르시시즘(Narcissism),지독한 자기(self)사랑, 기독교사상 618권, 2010.
  13. 홍이화,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야기,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14. Allen M. Siegel.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권명수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15. Kohut, H. The Analysis of the self. 이재훈 역, 자기의 분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16. Kohut, H, The Restoration of the self, 이재훈 역, 자기의 회복,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6.
  17. Michael, c, object Relations and self psychology, 안석모역, 대상관계이론과 자기심리학, 센게이지러 닝코리아, 2010.
  18. Ronald. R. Lee & J, Calby Martin, psychotherapy after Kohut, London:The Analytic press, 1991.
  19. Siegel, A, Heinz Kohut and the psychology of the self, 권명수 역,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