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영택(2006), "中國古典命理書에 대한 哲學的 이해", 철학논총 43집, 새한철학회.
|
2 |
김계성(2016), "十二運星과 陽順陰逆의 상관성에 대하여 - 사주명리를 중심으로", 동양학 65집, 동양학연구원.
|
3 |
김우정(2017), "珞琭子三命消息賦注의 命理理論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4집, 원불교사상연구원.
|
4 |
문재곤(1989), "음양오행론의 전개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14집, 고려대학교철학회.
|
5 |
박은경(2017), "四柱의 기원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중국학 58집, 대한중국학회.
|
6 |
서금석(2015), "子平四柱學淵源의 五代說에 대한 再論", 역사와경계 95집, 부산경남사학회.
|
7 |
신경수(2003), "唐宋代命理的三才論과 主體觀點硏究", 원광대학교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8 |
심규철(2003), "명리학의 연원과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
9 |
윤정리(2005), 옥조신응진경주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 |
이세현(2000), "儒家天人合一論의 특징", 동양철학연구 22집, 동양철학연구회.
|
11 |
이영무(2011), 12신살에 관한 연구: 명리학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2 |
정하용(2013), 괘기역학과 명리학의 원류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3 |
조규문(2009), 천강 원수성의 명리사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4 |
최영숙(2013), 이허중명서의 명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5 |
황금옥(2018), "오행정기(五行精氣) 복원의 후래적(後來的) 영향", 한국민속학 67집, 한국민속학회.
|
16 |
김기승, 나혁진(2017), 명리학사(命理學史), 서울: 다산글방.
|
17 |
만민영 著, 김이남, 이명산 譯(2011), 삼명통회, 서울: 삼하출판사.
|
18 |
서자평著, 최국봉譯(2009), 삼명통신, 서울: 온북스.
|
19 |
서자평 撰, 문종란 譯(2017), 낙록자삼명소식부주, 서울: 한국학술정보.
|
20 |
서대승 著, 오청식 譯(2009), 연해자평, 서울: 대유학당.
|
21 |
석담영 撰, 문종란 譯(2016), 낙록자부주, 서울: 한국학술정보.
|
22 |
郭璞(晉), 玉照定眞經, 四庫全書/ 子部/ 術數類.
|
23 |
徐子平(宋), 玉照神應眞經, 古今圖書集成/ 藝術典 / 星命部.
|
24 |
徐子平(宋), 珞琭子三命消息賦注, 四庫全書/ 子部 / 術數類.
|
25 |
徐升(宋), 淵海子平, 台北: 進源書局.
|
26 |
釋曇瑩(宋), 珞琭子賦注, 四庫全書/ 子部/ 術數類.
|
27 |
張楠(明), 命理正宗, 台北: 集文書局.
|
28 |
袁樹珊(2000), 命理探原, 台北: 武陵出判.
|
29 |
李鐵筆(2001), 八字明通賦評註, 台北: 益群書店.
|
30 |
鄒文耀(1982), 子平命學考證, 台北: 瑞成書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