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egal Interest of Doctor's Duty to Inform and the Compensation to Damages for Non-pecuniary Loss

의료행위에서 설명의무의 보호법익과 설명의무 위반에 따른 위자료 배상

  • 이재경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0.09.21
  • Accepted : 2020.09.25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Medical practice with medical adaptability is not illegal. Consent to medical practice is also not intended to exclude causes of Illegality. The patient's consent to medical practice is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take shape through the doctor's information. If a doctor violates his duty to inform, failure to inform or lack of inform constitutes an act of illegality of omission in itself. As a result, the legal interest of self-determination is violated. The patient has the right to know and make decisions on his or her own, even when it is not connected to the benefit of life and body as the subject of the body. If that infringed and lost, the non-property damage shall be recognized and the immaterial damage must be compensated. On the other hand, the violation of the duty of information does not belong to deny the compensation for physical damage. Which the legal interest violated by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inform is the self-determination, and loss of opportunity of choice is recognized as ordinary damage. However, if the opportunity of choice was lost because of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patient could not choice the better way, that dose not occur plainly bad results, under the prove of these causal relationship, that bad results could be compensated. But the unexpectable damage could not be compensated, because the physical damage is considered as the special damage due to the violation of the right of the self-determination.

우리 법원은 의료과오소송에서 진료상 주의의무 위반의 경우 신체적 법익침해에 따른 재산적·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인정하고, 설명의무 위반의 경우 신체적 법익침해와 상관없이 자기결정권 침해에 따른 위자료 배상을 인정한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에 대하여 설명의무 위반에 따른 위자료 배상이 진료과오의 책임요건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이들은 결과적으로 신체침해가 아니라 선택기회 상실에 대해 위자료 배상을 인정하는 우리 판례를 신체침해에 대한 배상으로 일원화할 것을 주장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판례가 신체적 법익침해론을 따르는 독일과 우리의 의료과오소송의 차이를 검토하고, 독일에서의 설명의무 위반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그리하여 우리와 독일의 인격적 법익침해론과 신체적 법익침해론, 그리고 설명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논의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판례법리 및 인격적 법익침해론의 입장에서 설명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의 주요쟁점을 검토하였다. 의료행위는 의학적 적응성이 인정되는 한 위법한 신체침습이 아니다.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 역시 의료행위의 위법성을 조각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의료행위에 대한 환자의 동의는 자기결정권의 실행이고, 환자의 자기결정권은 의사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된다. 의사가 설명의무를 위반한 경우, 불설명 혹은 설명부족은 그 자체로 부작위에 위한 위법행위를 구성한다. 그로 인하여 침해되는 법익은 자기결정권이다. 환자는 생명·신체에 대한 이익으로 연결되지 않는 때에도 신체에 대한 주체로 자신의 신체에 행해질 행위에 대해 알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이러한 권리가 침해되어 선택의 기회가 상실되었다면, 그 자체로 비재산적 손해상태가 인정되어 위자료를 배상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료행위에 악결과가 없어도, 성공한 의료행위였다고 하더라도, 의사의 설명의무 위반으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침해되었다면 위자료 배상은 인정된다. 자기결정권 침해에 따른 위자료 배상에 의료행위로 인한 악결과는 요구되지 않는다. 한편 설명의무 위반의 경우에도 신체손해에 대한 배상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무 위반으로 침해된 법익을 자기결정권이고, 선택기회상실이 통상손해로 인정된다. 그러나 자기결정권 침해로 선택기회가 상실되었고, 의사가 설명하여 환자가 선택기회를 잃지 않았다면 다른 선택을 했을 것임이 분명하고, 다른 선택을 했다면 악결과를 피할 수 있었음을 증명하면 악결과에 대해서도 배상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때 신체손해는 자기결정권 침해에 따른 특별손해로 의사의 예견가능성이 문제되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가 예견할 수 없었던 불가항력적 손해는 배상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학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 수행됨.

References

  1. 김민중, "의사책임 및 의사법의 발전에 관한 최근의 동향", 「민사법학」 제9 . 10호, 한국사법행정학회, 1993.
  2. 김천수(김용담 편), 「주석민법 [채권각칙(7)」,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3. 김천수, "의사의 설명의무-독일의 학설 및 판례를 중심으로-", 「민사법학」 제7호, 1988.
  4. 김천수, 「진료에 대한 설명과 동의의 법리」, 대구대학교출판부, 1999.
  5. 박영규,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일감법학」 제31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6. 석희태, "의사의 설명의무의 법적 성질과 그 위반의 효과", 「의료법학」 제18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7.
  7. 윤석찬, "사용이익 상실에 대한 손해배상법리", 「재산법연구」 제33권 1호, 한국재산법학회, 2016.
  8. 이동진, "의사의 위험설명의무-법적 기능, 요건 및 위반에 대한 제재-", 「의료법학」 제21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20.
  9. 이연갑(김용담 편), 「주석민법 [채권각칙(6)」,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10. 이창현, "수익기회의 상실과 손해배상", 「법학논총」 제31집 1호,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11. 장창민, "의사의 설명의무에 대한 연구-보호법익을 중심으로-", 「아주법학」 제13권 1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12. Deutsch, Schutzbereich und Tatbestand des unerlaubten Heileingriffs im Zivilrecht, NJW 1965, 1985.
  13. Geiss/Greiner, Arzthaftpflichtrecht, 7.Aufl., 2014.
  14. Greiner, 70. Burgerliches Gesetzbuch Titel 27. Unerlaubte Handlungen, in: Spickhoff, Medizinrecht, 3.Aufl., 2018.
  15. Haag, § 823 I BGB, Schadensersatzpflicht, in: Geigel, Haftpflichtprozess, 28. 2020.
  16. Janda, Medizinrecht, 2010.
  17. Katzenmeier, Aufklarungspflicht und Einwilligung, Rn. 83, in: Laufs/Katzenmeier/Lipp (Hrsg.), Arztrecht, 7.Aufl., 2015.
  18. Kern, § 71 Rechtsfolgen unzulanglicher Aufklarung, in: Laufs/Kern/Rehborn(Hrsg.), Handbuch des Arztrechts, 5. Aufl., 2019.
  19. Rumler-Detzel, Die Aufklarungspflichtverletzung als Klagegrundlage. Haufigkeit, Inhalt, Prozesserfolg in der Prozessentwicklung eines Oberlandesgerichts, in: Festschrift fur Erwin Deutsch, 1999.
  20. Steffen, Haftung des Arztes fur Fehler bei der Risikoaufklarung - Zurechnungsbeschrankungen oder versari in re illicita?, in: Festschrift fur Medicus, 1999.
  21. Steffen, Patientenaufklarung: Zurechnungszusammenhang und Schadensberechnu ng, RPG 1997.
  22. Wagner, Munchener Kommentar zum BGB, 8.Aufl.,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