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Port Redevelopment Conditions and Development Plan in Pyeongtaek-Dangjin Port : Focusing on the redevelopment of ports in Dangjin

평택·당진항의 항만 재개발 여건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당진지역 항만의 재개발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9.14
  • Accepted : 2020.12.2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hips entering and leaving the port and the creation of various cargo volumes can promote local economy and lead to regional development, attracting businesses, and influx of local residents. The port area of Dangjin consists of the limited cargo and most private docks, making it increasingly weak in meeting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xpectations of local resident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to reduce the sense of alienation of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make it easier to access and water to por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ll areas of Eumseompo-gu, and to make active changes in the marine and port logistics environment. As seen through various cases of port development at home and abroad and the redevelopment of the ports at Gohyeon Port in Geoje, Dangjin Port should be able to quickly demonstrate the development of the Dangjin Port area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This is the time when the government's drive is highly requested.

항만은 선박 입출항의 증가와 다양한 화물 물동량 창출은 지역경제에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발전과 기업의 유치와 지역주민의 유입으로 이어 질수 있는데, 당진시 항만지역은 화물의 제한성과 대부분의 사설부두로 되어 있어 지역 경제 발전과 지역주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점이 점차 미약하게 되어 있음. 따라서, 지역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소외감 해소를 위해서 음섬포구 일원에 대한 개발을 통하여 항만에 친수성과 접근성이 용이 하도록 함이 필요하며 해운·항만물류 환경변화에 능동적인 변화가 필요함. 국내외 항만개발의 다양한 사례와 거제 고현항의 항만 재개발의 사례를 통하여 보듯이 당진항도 지역의 발전과 수도권 주민들에게 삶의 질을 증진하는 당진항만의 발전된 모습이 조속히 시현 할 수 있어야 하며, 정부 당국의 추진력이 매우 요청되는 시점임.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곤.박창호(2015), 인천내항의 재개발정책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9집 제4호, 319-327. https://doi.org/10.5394/KINPR.2015.39.4.319
  2. 건설교통부(1995), 아산항 종합계획 기본계획 보고서.
  3. 견진현(2011), 북항재개발 워터프론트 활성화 방안:니스와 마르세이유의 예를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춘계), 369-371.
  4. 권소현(2013), 항만 재개발사업의 효율적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영상.조상규(2011), 수변도시 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공간 조성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6. 금동호.전성훈.전찬규(2019), 부산항 북항재개발 사례 소개,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춘계), 53-55.
  7. 김경환.문승희.정혜윤.홍진기(2019),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 경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2집 제3호, 258-273.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58
  8. 김성규.문성혁(1996), 항만의 재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제20집 제1호, 59-72.
  9. 김윤희.서종국(2019),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항만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제2019집 제9호, 162-163.
  10. 김정수.최문찬(1991), 부산항 재개발과 항만기능 효율화,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7집, 273-299.
  11. 김철환(2008). 현장중계: 항만발전과 친수공간 세미나 ; 북항재개발, 도심재생 빠진 기형적 형태, 제2008집 제12호, 88-93.
  12. 류동길(2010),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맹준호.조광우.김호석.박하늘.홍재상.유재원.이창근(2007), 갯벌 매립사업 환경평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4. 부산항만공사(BPA,2019), 부산항(북항)재개발사업
  15. 서문성(2020). 2020 음섬포구(舊 현내각 투기장)일원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 보고서, 당진시 내부자료.
  16. 송대호(2010), 도시경관 형성을 위한 공공디자인 선진사례 고찰: 미나토미라이 21을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제25호, 403-417.
  17. 심기섭(2009), 우리나라 항만 재개발사업의 정책 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4집, 128-144.
  18. 유병환.김경배(2014), 항만 재개발을 둘러싼 갈등과 쟁점사항 분석, 한국지역개발지역학회 세미나 논문집, 제2014집 제1호, 1-24.
  19. 이선주(2010), 독일 하펜시티와의 비교를 통한 부산북항 재개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 석사학위 논문.
  20. 이선주.김성길(2007), 부산시 북항의 항만 재개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하펜시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습지학회지, 제9집 제3호, 63-74.
  21. 이승일(2010),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 대한도시계획학회 편, 세계의 도시디자인, 86-93.
  22. 이형하(2013), 항만재개발지구의 마리나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북항 재개발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형하.이중우.강석진(2012), 항만재개발지구의 복합형 마리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공동학술), 27-29.
  24. 이흥권(2009), 「협력적 계획」의 관점에서 본 부산 북항 재개발 갈등 사례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전찬영, 2010항만 재개발의 활성화를 위하여, 해양물류연구, 제6집, 5-10.
  26. 정봉현(2013), 항만과 배후도시 관계를 고려한 항만중심도시의 발전방향-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집 제1호, 77-97.
  27. 정상혁(2015),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설계 가이드라인의 통합화에 관한 연구 :뉴욕시 및 배터리파크시티 도시설계 가이드라인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정성문(2017), 항만도시 수변공간의 공공문화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미국 볼티모어 이너하버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57호, 100-110.
  29. 정성문(2019), 재개발 항만도시 수변공간의 계획특성 분석-이탈리아 제노바와 프랑스 마르세유의 수변공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65호, 173-184.
  30. 정진성.조현천(2011), 21세기 유럽 해항도시의 롤 모델로서의 하펜시티 함부르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춘계), 375-377.
  31. 조승연(2010), 미국 볼티모어시 수변지구 재생마스터플랜의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진영환(2015), 선진국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의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지역연구, 제31집 제1호, 83-101. https://doi.org/10.22669/KRSA.2015.31.1.083
  33. 진영환.한종구(2014), 항만도시재생, 국토연구원.
  34. 최강림(2019),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집 제11호, 309-320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1.309
  35. 최근희(2008), 서울시의 청계천복원정책과 영국 런던 도크랜드 재개발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1집 제3호, 291-313
  36. 해양수산부(2001a), 평택(아산)항 수리현상 조사 보고서.
  37. 해양수산부(2001b), 평택(아산)항 종합개발 기본계획 정비 용역 보고서.
  38. 해양수산부(2015), 고현항 항만재개발 사업계획 수립
  39. 해양수산부(2019), 2019년 제2차 항만재개발사업, 이렇게 추진합니다, 2019년 5월 16일자 보도자료.
  40. 홍성도(2003), 항만재개발사업의 방향제시에 관한 고찰, 한국해운물류학회, 제6집, 63-83.
  41. 항만법
  42. 항만법 시행령
  43. 항만과 그 주변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
  44. 항만과 그 주변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 시행령
  45. 항만 재개발 및 주변지역발전에 관련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