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파괴 분석을 통한 최치원 진영(崔致遠 眞影)의 도상 및 채색재료 연구

Nondestructive Analysis of Portrait of Master Gowun at Wunamyeongdang Shrine for Investigation of the Original Images and Pigments

  • 투고 : 2020.09.29
  • 심사 : 2020.11.13
  • 발행 : 2020.11.30

초록

본 연구는 비파괴 분석을 통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운암영당고운선생영정'(이하 최치원 진영)의 제작당시 도상(圖像)과 채색재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조사 결과이다. 비파괴 분석결과 경남 하동 쌍계사에서 1793년에 제작된 사실을 확인했고, 현존하는 최치원 진영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X선 촬영결과 진영 중심으로 덧칠된 좌·우에 반신상과 전신상의 동자승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F 성분분석 결과 진영에 사용된 채색재료는 백색의 연백, 적색의 진사와 연단, 녹색의 석록, 청색의 석청, 금의 무기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덧칠된 동자승 역시 최치원 진영 제작에 쓰인 안료와 동일한 성분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덧칠되어 확인이 어려웠던 동자승의 채색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모사본 제작과 지역 불교회화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연구에 활용 될 것을 기대하며, 화기에 기록된 내용들도 관련 학문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nondestructive analysis of Portrait of Master Gowun at Wunamyeongdang Shrine (Hereafter, Portrait of Choe Chiwon),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87 of Gyeongsangnam-do, including the underlying images drawn at the time of its production and the pigments pres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rtrait was produced in 1793 at Ssanggyesa Temple in Hadong, Gyeongsangnam-do, which makes it the earliest known example among the extant portraits of Choe Chiwon. X-ray examination found images of a half-length boy monk and a full-length boy monk on either side of the portrait, which had been painted over and became invisible to the naked eye. XRF analysis of the pigments indicated that white lead was used for white, cinnabar and red lead for red, malachite for green, azurite for blue, and gold for gold. It was revealed that the overpainted boy monks were colored using the same pigments as those applied in the portrait of the main figure.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the pigments used for the boy monks can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copied portraits and local Buddhist paintings. Also, additional research drawing upon other fields of study is required to examine the details of the inscription of the portrait.

키워드

참고문헌

  1. 배영일, 진영으로 본 최치원, p144-147, 신라 역사 인물 특별전 2 고운 최치원, 국립경주박물관, (2012).
  2.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寺刹所藏佛畵調査(釜山市, 慶尙南.北道, 全羅南.北道) II, 文化財管理局, (1990).
  3. 유혜선, 태조어진 안료 분석, p242~260. 왕의 초상, 국립전주박물관, (2005).
  4. 문선영, 우학문화재단 소장 감로왕도 안료 분석, p206-216. 문화재 보존 10년, 용인대학교박물관, (2007).
  5. 유혜선, 장연희, 초상화의 채색 분석II, p263-301. 조선시대 초상화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6. 한민수, 전통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p276-289, 지류 직물 문화재 보존,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7. 최현욱, 곽홍인, 운암영당고운선생영정의 상태조사를 위한 비파괴 조사 연구, p39~4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38회 추계학술대회, (2013).
  8. 장연희, 윤은영, 김수연, 심희수 초상의 재료와 제작기법에 대한 과학적 조사, 박물관 보존과학 15, p96-121, (2014).
  9. 오준석, 최정은, 최윤희, 19~20세기 무신도 등에 사용된 구리-비소 녹색 안료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31, p193-214, (2015).
  10. 오준석, 최정은, 이새롬, 삼국지연의도의 채색재료 분석, p133-173, 삼국지연의도, 국립민속박물관,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