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s on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by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염지혜 (중원대학교 상생교양학부) ;
  • 전미애 (총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Yeom, Jihye (Jungwon University, Liberal Arts School) ;
  • Chun, Miae (Chongshin University, Dept. of Social Work)
  • 투고 : 2019.08.31
  • 심사 : 2020.02.21
  • 발행 : 2020.05.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Baltes와 Baltes(1990)의 선택, 적정화, 보상 이론(SOC)과 Prandini(2014)의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노년기에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서 1인가구를 추출해 연구대상자(남 n=370, 여 n=1770)로 삼았으며, 친구·이웃만남과 경로당·복지관 참여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가족관계가 친구·이웃 또는 경로당·복지관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는 가족과의 연락빈도가 친구·이웃만남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는 가족연락빈도와 자녀관계 만족도가 정적(+) 영향이 나타난 반면 가족만남빈도는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 부적(-) 영향이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Prandini(2014)의 주장이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나, 어떠한 종류의 지역사회참여인가에 따라서 그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Based on Baltes and Baltes (1990) 's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theory (SOC) and the argument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by Prandini (2014), we test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can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in old age. In order to verify this,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extracted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ale sample=370, Female sample=177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friends·neighbors and the participation at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men, family relation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ticipation in friends·neighbors, or Kyungrodang·welfare centers. However, in the case of wome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requency of meeting friends·neighbors. Family contact frequency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Kyungrodang·welfare center participation, while family meeting frequency had a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women, although Prandini's (2014) claim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seems to be supporte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c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addition, practic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나, 이민홍. (2018). 노년기 삶에 대한 독거효과 분석 연구: 성향매칭분석을 통한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 보건사회연구, 38(4), 196-226. doi.org/10.15709/hswr.2018.38.4.196
  2. 김은정. (2012).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관계만족도. 한국사회과학연구, 31(1), 125-146.
  3. 남기민, 박현주. (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9, 405-427.
  4. 남석인. (2008).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 및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 28(40), 1297-1315.
  5. 문태언, 변상해. (2012).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가 자기존중감 및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7(3), 115-120.
  6. 박경숙. (2000).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34, 621-647.
  7. 박경순, 박영란, 염유식. (2015). 어떤 농촌노인이 경로당에 가지 않는가? 사회복지정책, 42(2), 163-184.
  8.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조사 매뉴얼.
  9. 배진희. (2004).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 197-216.
  10. 염지혜. (2013). 노노(老老)케어의 시행과정과 향후 정책적 과제. 한국노년학, 33(2), pp.221~238.
  11. 오영은, 이정화, 신효연. (2014). 노인단독가구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구조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도움관계망과 갈등관계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2, 511-531.
  12. 오인근, 오영삼, 김명일. (2009).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5.
  13. 원영희. (1999). 노인의 여가활동: 즐거운 노후 어려운 일인가. 김익기 외. 한국 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미래인력개발. pp.317-354.
  14. 윤현숙, 원성원. (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4), 1077-1093.
  15. 이소영, 윤지영. (2018). 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6. 이지현, 한경혜. (2012). 예비노인의 친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170-205.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170
  17. 장애순, 황은정. (2017). 일개 노인복지관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1), 526-535. doi.org/10.5762/KAIS.2017.18.11.526
  18. 전용호, 이민홍, 김세미. (2016). 독거노인돌봄기본서비스사업 종사자의 직무소진과 역할강화방안 연구. 서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19. 정경희. (1995).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5(2), 52-68.
  20. 정경희. (2015).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Issue & Focus, 300, ISSN 2092-7117.
  21.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해, 이윤경, 황남희, 김경래, 오신휘, 박보미, 신현구, 이금룡. (2014). 2014년 노인실태조사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정영숙, 조설애, 안정신, 정여진. (2012).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원천으로서 가족관계와 자기초월가치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1), 19-41.
  23. 조성희, 이화영. (2015).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2), 8957-8965. doi.org/10.5762/KAIS.2015.16.12.8957
  24. 통계청. (2017). 장래인구추계: 2015-2045.
  25. 하정연, 오윤자. (200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선택.적정화.보상책략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31-144.
  26. 황은정. (2019). 남녀 독거노인의 행복감 예측요인 비교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8), 392-402. doi.org/10.5762/KAIS.2019.20.8.392
  27. Antonucci, T. C., Akiyama, H., & Lansford, J. E. (1998). Negative effects of close social relations. Family Relations, 47(4), 379-384. https://doi.org/10.2307/585268
  28. Baltes, P., & Baltes,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altes,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pp. 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Connidis, I. A., & McMullin, J. A. (2002). Sociological ambivalence and family ties: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558-56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558.x
  30. Donati, P. (2011). Relational Sociology: A New Paradigm for the Social Science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doi.org/10.4324/9780203860281
  31. Fingerman, K. L., Hay, E. L., & Burditt, K. S. (2004). The best of ties, the worst of ties: Close, problematic, and ambivalent social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3), 792-808. https://doi.org/10.1111/j.0022-2445.2004.00053.x
  32. House, J., Robbins, C., & Metzner, H. (1982). The associ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with mortality: Prospective evidence from the Tecumsch Community Health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6, 123-140.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3387
  33. Katagiri, K., & Kim, J. H. (2018). Factors determin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A comparison between Japan and Korea using EASS 2012. PLOS ONE. doi.org/10.137/joutnal.pone.0194703
  34. Lin, W. (201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China: Based on the CHARLS2011 data set.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5(3), 1160-1168. https://doi.org/10.1111/hsc.12415
  35. Prandini, R. (2014). Family relations as social capital.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14(2), 221-234. https://doi.org/10.3138/jcfs.45.2.221
  36. Rozer, J., Mollenhorst, G., & Poortman, A. R. (2016). Family and friends: Which types of personal relationships go together in a network? Social Indication Research, 127, 809-826. https://doi.org/10.1007/s11205-015-0987-5
  37. Szanton, S. L., Roberts, L., Leff, B., Walker, J. L., Seplaki, C. L., Soones, T., Thorpe Jr., R. J., Ornstein, K. A. (2016). Home but still engage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mong the homebound. Quality of Life Research, 25, 1913-1920. https://doi.org/10.1007/s11136-016-1245-2
  38. Ward, R. (1985). Informal networks and well-being in later life: A research agenda. The Gerontologist, 25(1), 55-61. https://doi.org/10.1093/geront/25.1.55
  39. Wrzus, C., Wagner, J., & Neyer, F. J. (2012). The interdependence of horizontal family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relates to higher well-being. Personal Relationships, 19(3), 465-482. doi.org/10.1111/j.1475-6811.2011.01373.x
  40. Wu, T., & Chan, A. (2011). Families, friends and the neighborhood of older adults: Evidence from public hosing in Singapore. Journal of Aging Research, 2012,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