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ord Depth Appearing in Representations Used in the Definitions of Mathematical Terms and Word Problem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초등 수학 교과서의 수학 용어 정의 및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의 문장 복잡성 비교 분석

  • Received : 2020.04.16
  • Accepted : 2020.05.15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As the main mathematical concepts are presented and expressed in various ways through textbooks du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representations used in elementary math textbooks to find effective guidance. This study analyzed sentences used in the definition of mathematical terms and unit assessments of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word depth (Yngve, 1960) from a syntactic perspecti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ould be seen that the sentences in textbook were generally concise, the word depth was lower, and the sentence structure and for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term. Also, the sentences in the lower grade textbooks were more easily constructed, and the sentences of the term definition were more complex than the sentences of the unit assessme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help learners learn mathematical concepts, such as clarifying sentences in textbooks, presenting visual materials together, and providing additional explanations to suit the level of individual learners.

본 연구는 현행 초등 수학 교과서 내 주요 용어의 정의 및 단원평가의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을 구문론적 관점에서 문장 복잡성(Yngve, 1960)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내 용어의 정의와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에서 저학년 교과서의 문장 복잡성이 낮게 구성되었고, 각 용어의 개별 특성에 따라 문장 구조 및 형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간결하며 문장 복잡성이 낮게 해당 용어의 정의 및 문장제가 서술되었고 용어 정의의 문장이 문장제의 문장보다 복잡하게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이 복잡한 문장으로 인하여 수학적 개념 학습의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교과서 내 문장을 명확하게 서술하고, 적절한 시각적 자료를 함께 제시하며, 개별 학습자의 문해 수준에 알맞은 설명을 보다 섬세하게 고려하여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포, 김성준, 임은희 (2005). 초등수학 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2), 183-201.
  2. 강완, 서동엽, 나귀수 (2013). 2009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단원평가의 개발 방향과 과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301-319
  3. 강화나, 백석윤(2009). 수학 문장제의 문장 구조에 따른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반응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63-80.
  4. 교육부 (2015a). 초등학교 교육과정(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5. 교육부 (2015b).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정도서 편찬기관 워크숍.
  6. 교육부 (2017a). 수학 1-1.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7b).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8a).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8b).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9a). 수학 5-1. 서울: (주)천재교육.
  11. 교육부 (2019b).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12. 권석일, 박교식 (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학회지, 15(2), 301-316.
  13. 김봉군 (2002). 문장기술론. 서울: 삼영사.
  14. 김성희 (2004).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장의 난이도 분석 : 수와 연산,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김진숙 (1997).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문장제에 대한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 김한나 (2005).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장제 유형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경미 외 42명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18. 박교식, 임재훈 (200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무정의 용어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2), 197-213.
  19. 백대현 (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2(1), 61-77.
  20. 양창용 (2010). 시각적 언어표현을 통한 효과적인 영어학습: 언어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12(2), 383-400.
  21. 유혜원 (2017). 초등 수학 교과서 문장 구조 분석 연구-초등 1 학년 수학/수학익힘책을 중심으로. 문법교육, 31, 311-340.
  22. 이병옥, 안병곤 (2008). 수학 문장제의 문장 구조와 해석상의 오류 분석 : 초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85-204.
  23. 장혜원 (1997). 수학 학습에서의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장혜원, 임미인 (2016).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및 문장 적합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247-267.
  25. 장혜원, 임미인 (2019).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본 차시와 단원평가 간 연계 분석. 학교수학, 21(1), 105-124.
  26. 정은실 (2012).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 수학교육학연구, 14(3), 377-394.
  27. 정태구 (1995). 논항구조이론과 연쇄동사 :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생성문법연구, 5(1), 63-95.
  28. 조영미 (2001). 학교수학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9. Barnett, J. (1979). The study of syntax variables. Task variable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23-68.
  30. Bormuth, J. R. (1966). Readability: A new approach. Reading Research Quarterly. 1(3), 79-132. https://doi.org/10.2307/747021
  31. Bruner, J. S. (1976). The Process of Education, Revised E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이홍우(역)(2010). 브루너 교육의 과정. 서울:배영사.
  32. Ginther, J. L. (1964). A study of definitions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33. Granowsky, A., & Botel, M. (1974). Background for a new syntactic complexity formula. The Reading Teacher, 28(1), 31-35.
  34. Klare, G. R. (1974). Assessing readability. Reading research quarterly, 10(1), 62-102. https://doi.org/10.2307/747086
  35. Lesh, R., Post, T. R., & Behr, M. (1987). Representations and translations among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Problems of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33-40). Lawrence Erlbaum.
  36. Loftus, E. F., & Suppes, P. (1972). Structural variables that determine problem-solving difficulty in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3(6), 531-542. https://doi.org/10.1037/h0034074
  37. Ortega, L. (2003). Syntactic complexity meas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L2 proficiency: A research synthesis of college-level L2 writing. Applied linguistics, 24(4), 492-518. https://doi.org/10.1093/applin/24.4.492
  38. Pimm, D. (1993). Just a matter of defini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5(3), 261-277. https://doi.org/10.1007/BF01273865
  39. Vinner, S., & Dreyfus, T. (1989). Images and definitions for the concept of fun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4), 356-366. https://doi.org/10.2307/749441
  40. Winicki-Landman, G., & Leikin, R. (2000). On equivalent and non-equivalent definitions: Part 1.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0(1), 17-21.
  41. Yngve, V. H. (1960). A model and an hypothesis for language structur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04(5), 444-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