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적 차이

Search Result 2,32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emiotic Analysis of Cultural Influence on Design Semantics - concerning different preference in mobile phone design between Korean & French users in twenties - (디자인 의미에 대한 문화적 영향의 기호학적 분석 - 한국과 프랑스 20대 사용자의 모바일 폰 디자인 선호를 중심으로 -)

  • Yoon, Ji-Hye;Lee, Kun-Pyo;Shi, Chung-K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58-266
    • /
    • 2006
  •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화적 차이를 극복한 전략적인 제품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의 성향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지만, 지금까지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 또는 감성어휘 중심의 설문조사를 통해 각 문화의 통계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디자인의 선호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문화 배경적 원인을 파악하지 않으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디자인 전략의 수립이 어렵다. 본 연구는 상이한 문화권에서 발생하는 제품디자인 선호 차이에 대한 원인을 문화적 성향의 차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또, 문화적 성향이 제품의 선호에 미치게 되는 원인을 문화연구 방법의 하나인 기호학을 통해 분석하고, 그 관계를 체계적인 모델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프랑스, 두 문화권에서 웹 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적 성향과 모바일 폰 이라는 제품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파악하고 선호하는 디자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적 성향이 모바일 폰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쳐 한국에서는 필수품이자 자신을 표현하는 제품으로, 프랑스에서는 필수적이지 않으며 개인에게 유용한 도구로 여기며 그에 따라 한국에서는 디자인을, 프랑스에서는 기능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상이한 제품개념이 디자인 선호에 차이를 유발하여 프랑스에서는 유(柔)하고 정적인 디자인을, 한국에서는 강하고 동적인 감성의 디자인을 선호함을 분석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호학적 개념에 입각하여 체계적인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상이한 문화에서의 상이한 디자인 선호에 대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 PDF

Cultural Differences impact on the ERP System Implementation (문화 차이가 ERP 시스템 구현에 미치는 영향)

  • Kim, Kyung-Ihl;Park, Ji-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6 no.2
    • /
    • pp.1-9
    • /
    • 2016
  • In the modern business environment, ERP System is a tool for efficient use of the resources of the company. Implementation of the ERP System is not a simple introduction of the unit system. The changes and innovation of the company will be made through the BPR. And then, the BPR is made based on th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Cultural difference creates a difference in the attitudes and relationships of members of company. and, Cultural difference produc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perating principles. Cultural differences can mention the differences in the cultures of East and West, and can m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each country within the same culture. In the paper, we determine the impact of cultural difference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RP System. Cultural differences affect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user interface.

Service Design in Airport for Sharing the Cultural Difference Among Tourists (여행객들의 문화적 차이 공유를 위한 공항 내 서비스 디자인 제안)

  • Gu, Min Hui;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0
    • /
    • pp.415-421
    • /
    • 2016
  • There has been an enormous increase not only in the international economic exchanges but also in the cultural exchanges. However, studies to settle the cultural differences have been studied a lot with in economic and business partial but research of eliminating cultural differences for travelers has not been studi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the service design to eliminate the cultural differences. To set the spatial range, we choose airport which can be the hub and the door of the travelers at the same time. Moreover, we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sharing to resolve differences in culture through literature studies. Further, we analyzed the airport application and examples of Wi-Fi linked services, so can be applied to the proposal. Travelers share the cultural differences by themselves; through the Wi-Fi service in the airport, and the existing airport application. We expect to be able to resolv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ons and develop not only their prosperity but also the national image by this service.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Cultural Differences on Trade Scale (문화적 차이가 무역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 Lim, Hyun-ji;Lee, Hak-loh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6 no.5
    • /
    • pp.343-35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affect bilateral trade volumes, using Hofstede's cultural index that reflects nations' cultural characteristics. Empirical analyses of the impacts of Hofstede's five cultural characteristics on bilateral trade volumes are conducted either in each separate equation or simultaneously. Bilateral trade data of OECD countries plus China as of year 2010 is used for regression analysis on gravity model. Regression results from individual equation for each cultural index variable show tthe smaller the index gaps of power distances and uncertainty avoidance among countries, the larger bilateral trade volumes. On the contrary, the larger the index gaps of long-term orientation among countries, the larger bilateral trade volumes. If five Hofstede cultural indexes are regressed in a single equation, however, only variables of power distance and long-term orientation are significant. The analysis largely confirms that bilateral trade among countries with similar culture have much potrential to grow. It implies that policy actions for cultural proximity are very important for furthering bilateral trade.

  • PDF

An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al Perception Ga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amination of Psychological Mechanism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차이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메커니즘 검증)

  • Shin, Soo-Young;Park, Ji-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4
    • /
    • pp.416-42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al perception ga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has rarely been studied in the academia. The research of the organizational cultural perception gap provides entrepreneurs directions on how to manage a company. Since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cultural type or strength, this study aims to suggest managerial implication in detail by analyzing present-ideal gap.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discover how it is different according to a psychological mechanism. The empirical results of 134 employee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al perception gap (i.e. Clan)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al perception gap, it is necessary to reach an agreement with members on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is ideal for organizational level, and understanding the members' internal motivations is important for proper organizational management.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the Use of a Refrigerator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SA User Experience of a Refrigerator- (문화적 차이가 냉장고 사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냉장고 사용 행태 비교 관찰을 중심으로 -)

  • Cho, Yun-Jin;Kim, Jung-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95-802
    • /
    • 2006
  • 현대의 소비자는 더 이상 단순히 감성적 소구에 의해서나 기술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 제품의 결정은 사용자와 제품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정서, 인지, 행위 등에 의한 총체적인 경험에 의한 것이며, 그러한 소비자들의 경험은 지리적, 역사적 전통으로 고착된 문화적 특성이 제품을 통한 사용자 경험의 기저에서 작용함으로써 문화권 별, 국가 별로 각기 다르게 구성된다. 특별히 음식 문화는 어느 나라이든 자연 조건의 영향과 함께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냉장고 사용에 있어서 다양한 사용행태를 구분 짓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식품 종류에 의한 영향뿐 아니라 내부 공간 활용의 패턴, 냉장고 환경 설정에 대한 능동적인 태도, 냉장고에서 제공하는 파티션이나 옵션에 대한 수용 정도, 식품의 정리 원칙에 대한 준수 정도 등에 따른 사용행태 간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차별적 사용행태의 기저에 존재하는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여 문화적 차이가 사용자의 경험에 영향을 끼치게 됨으로 인하여 냉장고 디자인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 그 연관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보다 실제적인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냉장고 제작의 상업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냉장고 내상의 레이아웃에 중점을 두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과 현장 관찰을 통해 정량적 관찰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두 국가의 문화 비교를 위한 설문은 이미 여러 연구자료에 의해 검증된 Trompenaars의 문화 변수를 바탕으로 제작 하였다. 또한 정량적 연구에서 발견될 수 없는 문화권 별 여러 특징들에 대한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정성적인 연구 방식의 일환으로 실제 관찰 및 사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상의 원인 및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ocusing the Feasibility Approach with the Case of Korea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효과 타당성에 관한 실증 연구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 Jung, Myung Hee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3
    • /
    • pp.849-871
    • /
    • 2009
  •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he assimilation, integr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ty were as proxy for the cultural adaptiveness. The power distance, uncertainty avoidance, individualism, masculinity, long term orientation were as proxy for the cultural distance. The self-image, real power, the extent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as proxy for the empower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hundred ca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al adaptiveness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mpowerment. Second,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al distance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mpowerment. Third,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al adaptiveness and cultural distance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mpower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cultural adaptiveness and cultural distance are main factors for the empowerment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북한 DC산업 현주소- 북한 디지털콘텐츠가 몰려온다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7 s.134
    • /
    • pp.22-28
    • /
    • 2004
  • 하나의 문화권에 들어가 있는 콘텐츠가 다른 나라로 진입할 때 가로막는 것이 있다. 바로 문화장벽이다. 이 문화장벽에 들어가 있는 것에는 언어도 있을 것이고, 사회적 관습차이, 그 나라의 국가관 같은 다양한 문화적 차이가 있다. 전세계적으로 이 문화장벽이 가장 낮은 곳이 바로 북한이다. 최근 북한산 혹은 남북이 공동개발한 디지털콘텐츠가 속속 선보이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현황을 살펴봤다.

  • PDF

Online Advertising Contents of Eastern Cultural Values and Western Cultural Values: Comparison between Age and Gender (동양 문화가치관과 서양 문화가치관 표현: 온라인 광고에 대한 연령별, 성별 차이에 대한 비교 연구)

  • Han, Sangpil;Yu, Seung-Yeob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6
    • /
    • pp.69-7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values imbedded in online advertising.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80 men and women ages between 10s and 60s who lived in Seoul, Korea. They responded the acceptance degree of six online advertising emphasized three Korean traditional values and three Modern values. Research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the acceptance of cultural values in online advertising is different between ages, but similar between gender.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the previous studies. Findings suggest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onvergence between modern and traditional values is a more important variable to study in the research of online advertising.

Analys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Foreigner in Korea: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외국인 관광객의 정보추구행태 분석 -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

  • Lee, Jeong-M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2
    • /
    • pp.161-179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o understand how the East and the West seek information in terms of their cultural differences. It is designed to explain their cultural differences how they seek particular information when they need it in order to solve a problem in their hands. Survey and simple interview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ir differences by sex and ages as well as cultural backgrounds. A total of 72 visitors from 9 countries were randomly selected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 shows there are different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cultural differenc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