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ses and Significance of Inscriptions with Homophonic yet Misspelled Words on Buncheong War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Buncheong Bowl with Inscription of "Naeja"

'내자(內子)'명(銘)으로 본 조선 전기 분청사기의 동음오자(同音誤字) 명문 사례와 의의

  • 박정민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 Received : 2020.03.19
  • Accepted : 2020.05.21
  • Published : 2020.06.20

Abstract

The inscription found on buncheong ware (粉靑沙器, grayish-blue-powdered celad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owl today, but in the past served as a device for controlling tributary payments (貢納) and the movement of government property (官物). The inscription had to be written or engraved clearly so that it could be recognizable to officials in charge of managing bowls. Such inscriptions offer important clues for contemporary research on buncheong ware. Buncheong Bowl with Stamped Design and Inscription of "Naeja" (內子) (bon 13808)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ears a distinct inscription compared to other buncheong ware. Commonly, the inscription on buncheong indicated the name of the government office (官司名) to which the vessel belonged or the name of the place (地名) where the vessel was produced. However, the inscription "Naeja" on the buncheong bowl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no corresponding government office. "Naeja" is in fact a misspelling of Naeja (內資), meaning this bowl belonged to the Naejasi (內資寺, Royal Bureau of Procurement). Although "Naeja" (內子) was a misspelling of the intended Naeja (內資), it was still understood as a reference to the Naejasi since they were homophonic. Recently, buncheong ware with misspelled yet homophonous inscriptions have begun to be excavated in downtown Seoul. Examples including "Naeja" (內子) instead of Naeja (內資) and "Insu" (仁守) instead of Insu (仁壽) have been unearthed from historical sites in Seoul that functioned as consumption sites, meaning they were in fact circulated as government property despite the misspellings (whether accidental or the outcome of ignorance). Such misspelled yet homophonous inscriptions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imple characters and a few sloppy strokes. Like other buncheong ware bearing the inscriptions of government office names, the bowls with the inscriptions of "Naeja" (內子) and "Insu" (仁守) were discovered at historical sites in Seoul. These misspelled homophonous inscriptions reveal that errors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engraving inscriptions on buncheong ware produced as a tributary payment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at buncheong ware with such errors were still distributed.

분청사기의 명문은 그릇에 대한 정보이자 관물(官物)의 공납(貢納)과 출납(出納)을 통제하기 위한 장치다. 명문은 당시 그릇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뚜렷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분청사기 인화문 '능성내자(綾城內子)'명 발>(본관13808)은 명문이 뚜렷한 그릇이지만 명문의 내용이 일반적인 분청사기와 다르다. 분청사기에 표시한 명문은 대부분 그릇이 속한 관사명(官司名)이거나 그릇을 만든 지명(地名)이다. 그러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에 표시된 '내자(內子)'명은 해당하는 관청이 없다. 그릇의 새긴 명문의 구성으로 볼 때 내자(內子)는 내자(內資)의 오자(誤字)인 것이다. '내자(內子)'명은 내자시의 그릇이라는 뜻이다. '내자(內子)'명은 내자(內資)의 틀린 글자이지만 음(音)이 같아 오자임에도 여전히 명문의 기능을 다할 수 있었다. 이처럼 글자가 다르지만 음이 같은 동음오자(同音誤字) 명문이 최근 서울시내 발굴 조사에서 조금씩 출토되고 있다. 내자(內資)를 '내자(內子)'로 표시하고 인수(仁壽)를 '인수(仁守)'로 새긴 동음오자 명문의 분청사기는 작업자가 의도한 것이든 무지(無知)의 결과이든지 간에 실제 관물(官物)로 통용되었으므로 소비지인 서울의 유적에서 출토된 것이다. 동음오자 명문은 음은 같지만 획수가 적고 간단한 글자를 사용했고 글자의 엉성한 필획이 특징이다. '내자(內子)'와 '인수(仁守)'명을 표시한 그릇들 역시 일반 관사명 분청사기처럼 서울시내 유적에서 출토된다. 동음오자 명문은 조선 전기 공납 분청사기들에 명문을 필각하는 과정에 생긴 오류와 또 그러한 오류가 실제 유통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는 사례이다.

Keywords

References

  1. 太宗實錄
  2. 世宗實錄
  3. 中宗實錄
  4. 經國大典
  5. 강경숙, 粉靑沙器硏究, 서울: 一志社, 1986.
  6.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서울 정동 유적: 서울 이화정동빌딩 신축부지 내 유적 시.발굴조사 보고서, 2016.
  7. 국립문화재연구소,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오구라 컬렉션 한국문화재, 2005.
  8.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1지구 유적 I.II, 2010.
  9.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12-16지구 유적 I.II.III.IV, 2013.
  10.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세종로구역 2지구 유적 I.II, 2013.
  11.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공평구역 제1.2.4지구 유적 I.II.III, 2017.
  12. 호남문화재연구원, 高敞 龍山里窯址, 2004.
  13. 강경숙, 粉靑砂器義興銘器 三例, 考古美術6(3.4), 1965.
  14. 김영원, 朝鮮朝 印花文 粉靑沙器의 樣式分類, 考古美術148, 1980.
  15. 김윤정, 고려말.조선초 供上用 銘文靑瓷의 이행 과정과 제작 배경, 石堂論叢55, 2013.
  16. 박경자, 粉靑沙器 銘文 연구, 강좌미술사25, 2005.
  17. 박경자, 15세기 貢物의 운송방법과 분청사기 銘文의 지역별 특징, 역사와 담론47, 2007.
  18. 박경자, 朝鮮 15世紀 磁器貢納에 관한 硏究,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9. 박경자, 조선 초 인화기법 분청사기의 계통과 의의, 美術史學27, 2013.
  20. 박경자, 慶尙道 郡縣名 粉靑沙器의 제작시기, 기장도자기 재조명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16.
  21. 박정민,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2. 박정민, 조선 15세기 전반 경기도 영평현의 백자 제작 배경과 특징, 강좌미술사44, 2015.
  23. 성현주, 경상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아시아 陶磁文化 硏究창간호, 2018.
  24. 정양모, 粉靑沙器印花文대접試考, 歷史學報27,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