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ocumentation of a Forgotten Journey: A Study on Haenghaeng Ilgi (Diary of a Royal Trip)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사도세자 1761년 평양 밀행의 기록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행행일기(幸行日記)> 연구

  • Kim, Gyuhun (Fine Art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김규훈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 Received : 2020.03.18
  • Accepted : 2020.05.21
  • Published : 2020.06.20

Abstract

Haenghaeng Ilgi (Diary of a Royal Trip) (koo 7152; hereafter Ilgi)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rovides an account of Crown Prince Sado's incognito royal visit to Pyeongyang in the fourth month of 1761. Ilgi was written by Ham Daeil, a low-ranking military officer in Pyeongyang. Ham was singled out for praise by Crown Prince Sado (1735-1762) and served the prince from the seventh day of the fourth month to the first day of the fifth month. Ilgi documented the deeds of Crown Prince Sado during this period and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his incognito visit to Pyeongyang, which was not officially recorded. Ilgi shows characteristics differentiating it from many other diaries. For example, the quality of the paper, neat handwriting, and well-organized sentences differ from those of common diaries. These distinctions indicate that Ilgi is closer to an official document than a private diary written by an individual. Since Ilgi records Crown Prince Sado's incognito visit to Pyeongyang, is only vaguely known otherwise, its contents need to be examined in terms of whether or not they are fully factual. As the first step in such verification, It is traced that Ham Daeil's family history which turned out to match what is written in Ilgi. Moreover, Ilgi mentions about Prince Crown Sado's writing a piece of calligraphy, and a matching piece of calligraphy written by Sado still survives toda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Ilgi are factual in at least these regards. However, although Crown Prince Sado was known to have met people from various social classes during his visit to Pyeongyang, Ilgi focuses only on Crown Prince Sado and Ham Daeil.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surviving version of Ilgi may be an edited condensation based on original texts containing more complete information on Crown Prince Sado's visit. Ilgi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generation of Ham Jeonghui, a son of Ham Daeil. The dates of birth and death of Ham Daeil fall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t is unlikely that any records regarding Crown Prince Sado would have been published while King Yeongjo, who was hostile to Sado, ruled the country. Ilgi also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Ham Jeonghui presented the subsequent king, King Jeongjo, with the calligraphy by Crown Prince Sado and the diary. It is unclear if the book Ham Jeonghui presented him was the same as the extant version of Ilgi. Nonetheless, considering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King Jeongjo was pursuing several projects to honor his father Sado, it is highly probable that Ilgi was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 periods of presenting the calligraphy and the diary respectively overlapped with the production of Hyeollyungwon, the royal tomb of Crown Prince Sado, and Sado's sixtieth birthday. Therefore, is it considered reasonable that Ham Jeonghui produced Ilgi to promote his own social ambitions.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행행일기(幸行日記)>(구7152, 이하 <일기>로 약칭)는 1761년 4월 사도세자의 평양밀행을 기록한 문서이다. 당시 작성자는 평양의 하급 군관 함대일(咸戴一)(1738~1771)이며, 사도세자에게 능력을 인정받아 4월 7일부터 5월 1일까지 세자를 모셨다. <일기>는 해당 시기 구체적인 행적을 적고 있어,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던 사도세자의 평양밀행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일기>는 다른 일기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용된 종이의 품질과 정연하게 쓰인 서체와 문장의 구성은 일반적인 일기와는 다르다. 이 <일기>는 개인이 쓴 일기와는 달리 완성된 문서에 가까운 형식을 갖추었다. <일기>는 그동안 모호하게 알려졌던 사도세자의 평양밀행을 기록한 만큼 내용 사실 여부를 우선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과정으로 먼저 함대일이라는 인물을 추적하였는데, 그의 가계(家系)는 <일기>에서 밝히고 있는 내용과 일치하였다. 또한 <일기>에서 사도세자가 글씨를 쓴 정황이 나오는데, 당시 쓴 예필진적(睿筆眞跡)이 오늘날에도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일기>에 실린 내용을 사실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밀행 당시 사도세자는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을 만났지만, <일기>는 함대일과 사도세자 중심으로만 구성되어있다. 이 점은 당시에 원문에 해당하는 기록이 존재할 수 있으나, 오늘날 전해지는 <일기>는 이를 바탕으로 편집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일기>는 함대일의 아들 함정희(咸正禧)(1758~1817)에 의해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먼저 부친 함대일이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재위 기간에는 사도세자와 관련된 기록을 남겼을 가능성이 낮다. 둘째로 정조 대 함정희가 사도세자의 예필과 일기를 바친 정황이 확인된다. 물론 당시 정조에게 바친 일기가 현재의 <일기>인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정조(正祖)(재위 1776~1800)의 주도로 사도세자 현창 사업이 진행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면 당시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리고 예필과 일기를 바친 시기는 각각 현륭원 조성과 사도세자의 환갑과도 겹치는 점이 확인된다. 따라서 <일기>는 함정희가 본인의 입신(立身)을 위해 제작하였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大東地志
  2. 承政院日記
  3. 日省錄
  4. 李瀷, 星湖僿說
  5. 江陵咸氏世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청구기호:K2-1710)
  6. 수원학연구소, 顯隆園資料集, 경기도: 수원학연구소, 2007.
  7. 김성윤, 英祖代 中半의 政局과 '壬午禍變' -壬午禍變(思悼世子 廢死事件)의 발생원인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역사와경계43, 2002.
  8. 김영민, 壬午禍變의 발생과 正祖代의 思悼世子 재평가, 한신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9. 김영민, 思悼世子의 생애와 '壬午禍變'의 정치적 의의, 역사문화논총4, 2008
  10. 유재빈, 아버지에 대한 기억의 지도 : 정조의 사도세자 추숭작업과 事蹟圖, 미술사연구33, 2017.
  11. 이완우, 장서각 소장 莊獻世子 睿筆眞蹟, 정신문화연구3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