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teo Ricci and Daesoon Thought: A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Ricci in Daesoon Thought

마테오 리치와 대순사상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대순사상의 기독교 종장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해석 -

  • Ahn, Shin (Department of Welfare & Theology, Pai Chai University)
  • Received : 2020.05.31
  • Accepted : 2020.12.0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In Daesoon Thought, Matteo Ricci is regarded highly as a Jongjang, 'religious leader,' (of Christian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life and philosophical/theological thought of Matteo Ricci as homo-religiosus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of religion. Examining his historical background and biographical sketch, I will analyze Ricci's understanding of God, humanity, and salvation and re-evaluate his relationship with Daesoon Thought. Matteo Ricci, born in Italy, became a Jesuit missionary to China and transmitted various products of western civilization. Accepting the pro-cultural approach of Jesuit mission, he applied it to Chinese culture and language by learning the Chinese language and regarding Chinese people as his friends. This was a sympathetic way to transmit Western religion and culture while on Chinese soil. He suggested eight reasons to look towards the future of China with optimism and taught Chinese people his Christian message through his indirect means of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In China, Jesuit missionaries called the Christian God 'Tianzhu (Cheonju in Sino-Korean),' meaning Lord of Heaven. Ricci identified the Confucian notion of 'Shangdi (Sangje in Sino-Korean),' meaning Supreme Emperor (or God) with Tianzhu. While translating Confucian scriptures, he found the common ground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o be the monotheism of ancient Confucianism. He criticized the concepts of God in Buddhism and Daoism, and justified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by way of a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ity. Ricci's understanding of humanity was based on his Christian faith in creation, and he criticized the Buddhist concept of transmigration. He proposed Christian ethics and doctrine of salvation by using discourse on the afterlife and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heaven and hell.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esoon Thought and Ricci, the following aspects should be examined: 1.) Ricci's contribution to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2.) his peaceful approach to his mission based on dialogue and persuasion, 3.) the various activities conducted by Ricci as a Christian leader, and 4.) his belief in miraculous healings. His influence on Korea will likewise be explored. Ricci's ultimate aim was to communicate with Asian people and unify East and West under a singular worldview by emphasiz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hristian and Confucian concepts of God.

대순사상에서 마테오 리치는 기독교의 종장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종교적 인간으로서 리치의 삶과 사상이 지니는 의미를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탐색할 것이다. 리치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그의 생애를 분석하고, 그의 신관과 인간관 및 구원관을 중심으로 탐구하여 리치가 대순사상에서 지닌 관계성을 재평가할 것이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리치는 예수회 선교사가 되어서 중국에 다양한 문물을 전하였다. 그는 예수회의 중국 친화적인 선교정책에 따라서 중국문화에 공감하며 언어를 배우고 중국인을 벗으로 삼아서 서양의 종교와 문화를 전달하였다. 그는 중국의 미래를 낙관하는 여덟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고, 이해와 설득의 간접 선교의 방식으로 중국인들에게 기독교메시지를 가르쳤다. 예수회신부들은 중국에서 기독교의 신을 천주라고 불렀는데, 리치는 유교의 상제를 기독교의 천주와 동일하게 간주하였다. 유교경전의 번역과 해석을 토대로 원시유교의 유일신론을 기독교와 유교의 공통점으로 파악하였다. 불교와 도교의 신관을 비판하면서 유교의 신관을 통해 기독교의 신관을 정당화하였다. 리치의 인간관은 기독교의 창조신앙을 기초로 하였고 불교의 윤회를 비판하였다. 리치는 천국과 지옥의 개념을 사용하여 기독교의 윤리성과 구원관을 제시하였다. 대순사상과 리치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1) 동서양세계 간 상호교류에 대한 기여, 2) 대화와 설득에 기반을 둔 평화적 포교방식, 3) 기독교의 종장으로서의 다양한 활동, 4) 종교의 치유하는 기적에 대한 믿음과 조선으로의 유입 등의 차원에서 의미를 찾았다. 리치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독교와 유교의 신관이 지닌 공통점을 강조하면서 동서의 세계관을 교류하고 통합시키는 것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출판부, 2010.
  2. 구만옥, 「마테오 리치 이후 서양수학에 대한 조선지식인의 반응」, 「한국실학연구」 20, 2010.
  3. 김상근,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에 나타난 16세기 후반 예수회 대학의 교육과정과 예수회 토미즘」, 「한국기독교신학논총」 40, 2005.
  4. 마테오 리치, 「교우론 스물다섯 마디 잠언 기인십편」, 송영배 옮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의 중국견문록」, 신진호.전미경, 서울: 문사철, 2011.
  6. 마테오 리치, 「벗은 제2의 나다: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 노용필 옮김, 서울: 어진이, 2017.
  7. 빈센트 크로닌, 「서방에서 온 현자」, 이기반 옮김, 왜관: 분도출판사, 1989.
  8. 안대옥, 「마테오 리치와 보유론」, 「동양사학연구」 106, 2009. http://uci.or.kr/G704-000250.2009..106.004
  9. 안신, 「조나단 스미스의 종교현상학 연구」, 「철학과 현상학 연구」 34, 2007. http://uci.or.kr/G704-001226.2007..34.002
  10. 안신, 「종교현상학의 주요 인물과 최근 동향」, 「철학과 현상학 연구」, 39, 2008. http://uci.or.kr/G704-001226.2008..39.005
  11. 안신, 「예수와 증산의 내러티브 비교연구-경전의 상호영향 가능성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이해」,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62, 2014. http://uci.or.kr/G704-002009.2014..62.004
  12. 안신, 「강증산의 해원사상에 대한 이해: 영화 <화평의 길>(1984)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𰃜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109
  13. 안신, 「종교현상학의 창조적 다양성과 비판적 변형-김종서의 신종교와 종교사회학 연구를 중심으로」, 「철학과 현상학 연구」 79, 2018. https://doi.org/10.35851/PCP.2018.12.79.263
  14. 안신,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1
  15. 이재호, 「마테오 리치의 생애와 선교활동」, 「상생의 길」 1,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4.
  16. 이재호, 「마테오 리치의 사상과 그의 사후 서양의 변화」, 「상생의 길」 2,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4.
  17. 차선근, 「이마두가 서양에 건너가 과학문명을 열었다?」, 「대순회보」 200,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7.
  18. 히라카와 스케히로, 「마테오 리치: 동서문화교류의 인문학 서사시」, 노영희 옮김, 서울: 동아시아,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