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carnation of Jesus and Jeungsan's Descending to Earth as a Human Being: A Study of Religious Significance

예수의 성육신과 증산의 인신강세 - 종교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 -

  • Kim, Jong-ma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 김종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Received : 2020.05.28
  • Accepted : 2020.08.01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incarnation of Jesus and Jeungsan's descending to earth as a human being are important theological theories in their respective religions, Christianity and Daesoon Jinrihoe. Both theories are the doctrinal devices necessary for the religious description of each religion. However, this kind of study is likely to result in a theological study that generates religious apologia or explanations. Therefore, it is impossible and meaningless to define the theory of another religion as meta-discourse in terms of one's own religious viewpoint. From a traditional theological point of view, the incarnation is an exceptionalist case wherein God descended as a human being named Jesus to save humanity from original sin. In the case of Jeungsan's descending to earth as a human being, its religious features appear in various forms, so the attempt to unify these two is not an objective method of religious studies. However, this paper aims to find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Jesus' incarnation and Jeungsan's descending to earth as a human being by understanding them from a third-person terminology or third-person religious viewpoint rather than from a specific theological position. To this end, this paper will use Kim Jong-seo's position that the concept of Jeungsan's descending to earth as a human being was borrowed from the concept of the incarnation of Jesus as the premise of the research generated in this paper. Therefore, this paper avoids the quest for "Total Christ" or "Total Jeungsan" that integrates and views the divine and human elements of Jesus and Jeungsan. This is because such a research method becomes a theological study. Instead, it excludes transcendental elements or metaphysical aspects that discuss the divine pre-existences of Jesus and Jeungsan and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the incarnation and Jeungsan's descending to earth as a human being at the physical level in terms which are objective and verifiable. According to this research methodology, this paper develops a discussion after presupposing the hypothetical names of "incarnationist religion" and "divine descent in human avatar religion." However, the two presuppositions mentioned above contain elements of criticism that they are materialistic interpretations that completely eliminate connotations of divinity and religious significance.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the two presuppositions have academic significance due to the way in which they avoid the current entanglement of transcendence and instead aim for modernistic relevance.

예수의 성육신과 증산의 인신강세는 기독교와 대순진리회의 중요한 신(교)학 이론이다. 두 이론은 각 종교의 신앙적 서술을 위해 필요한 교리적 장치들이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연구는 종교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그것을 변증, 설명하려는 신학적 종교연구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신(교)학적 방법인 아닌 종교학적 방법으로 예수의 성육신과 증산의 인신강세를 탐구한 논문이다. 그러므로 각 종교를 대표하는 신학적 입장에서 보면 모를까 종교학적 연구방법으로 보자면, 한 종교의 관점에서 다른 종교의 이론을 거대 담론적 성격으로 규정하는 작업은 불가능하고 큰 의미가 없다. 우선 성육신은 전통 신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유일신 하느님이 원죄를 지닌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예수라는 인간을 통해 유일회적으로 하강한 사건이다. 인신강세는 그 종교적 특징들이 여러 형태로 나타나므로 이 둘을 통일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 자체가 객관적인 종교연구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다만 본 논문은 예수의 성육신과 증산의 인신강세를 특정한 신(교)학적 입장들이 아닌 3인칭, 즉 종교적 관점으로 이해함으로써 거기에 나타난 종교적 의의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증산의 인신강세 개념은 예수의 성육신 개념에서 차용되었다는 김종서의 입장을 연구방법의 전제로 활용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예수의 성육신과 증산의 인신강세를 신(교)학적 입장에 따른 성육신 신학이나 인신강세의 교학적 관점에서의 연구, 즉 예수와 증산의 신적인 요소(vere Deus)와 인간적 요소(vere Homo) 전부를 통합하고 조망하는 "전체 그리스도"(Totus Christus)나 "전체 증산"에 대한 탐구를 지양한다. 대신 예수와 증산의 신적 선재성을 논의하는 초월적 요소나 형이상학적 측면은 배제하고 객관적이고 검증적 기술이 가능한 형이하학적 차원에서 성육신과 인신강세의 의의를 해명한다. 이러한 연구방법론에 따라 본 논문은 예수의 성육신과 증산의 인신강세를 각각 "성육신 종교학", "인신강세 종교학"이라는 가설적 명칭으로 전제한 후 논의를 전개했다. 그러나 성육신과 인신강세 종교학은 신적인 차원이 철저히 거세된 유물론적 해석이라는 비판의 요소가 내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월성의 현재적 이입성을 부정하며 지금 여기로서의 철저 현재성을 지향하는 성육신과 인신강세 종교학은 검증적 학문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4.
  2. 김경재, 「이름없는 하느님」, 서울: 삼인, 2010.
  3. 김동건, 「예수: 선포와 독특성」,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8.
  4. 김동건, 「그리스도로의 미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20.
  5. 김승혜, 김성례 외, 「그리스도교와 무교」, 서울: 바오로딸, 1998.
  6. 김종만, 「틱낫한의 'interbeing'의 관점으로 보는 개신교 재해석: 성육신, 원수사랑, 예배」, 「사회사상과문화」 21, 2018. https://doi.org/10.17207/jstc.2018.9.21.3.43
  7. 김종서, 「더 넓은 대순사상의 이해를 향하여」, 「대순진리학술논총」 1, 2007.
  8. 김종서, 「동서 종교간 충돌과 현대 한국의 역동적 신앙」, 「종교와 문화」 16, 2009. http://uci.or.kr/G704-SER000011474.2009..16.005
  9. 김진석, 「초월에서 포월로」, 서울: 솔, 1994.
  10. 김홍철 외, 「한국종교사상사」 IV,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11. 노길명, 「대순사상의 신인조화와 사회변혁」, 「대순사상논총」 3, 2008.
  12. 노만 페린, 데니스 덜링, 박익수 옮김, 「새로운 신약성서 개론」 하.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1.
  13. 대순종학 교재연구회, 「대순사상의 이해」, 포천: 대진대학교 출판부, 1998.
  14. 박인규, 「대순사상의 구원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95
  15. 변선환 아키브 편집, 「그리스도론과 신론」,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8.
  16. 서공석 외, 「내가 믿는 부활: 삶의 신학 콜로키움」, 서울: 대화문화아카데미, 2012.
  17. 안병무, 「갈릴래아의 예수」,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0.
  18. 윤용복, 「대순진리회의 신관념(神觀念)의 특성」,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1
  19. 윤철호,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통전적 예수 그리스도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3.
  20. 앨벗 놀런, 「그리스도교 이전의 예수」, 정한교 옮김, 칠곡: 분도출판사, 1980.
  21. 이신건, 「예수의 정체와 의미」, 서울: 신앙과지성사, 2013.
  22. 장병길, 「대순신앙의 구조」,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대순사상의 현대적 이해」, 포천: 대순진리회출판부, 1983.
  23. 정승우,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서울: 책세상, 2005.
  24. 차선근, 「수운과 증산의 종교사상 비교 연구-하늘관과 수행관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9, 2012. https://doi.org/10.21457/kars..69.201212.205
  25.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99
  26. 폴 니터, 「예수와 또 다른 이름들」, 유정원 옮김, 칠곡: 분도출판사, 2008.
  27. 한국신학연구소 성서교재위원회, 「함께 읽는 신약성서」,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2.
  28. 허남진, 「강증산의 '개벽'과 새로운 문명」, 「대순사상논총」 32,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109
  29. C. A. Clark, Religions of Old Korea, New York: Fleming H. Revell, 1932.
  30. Gerd Theissen, Annette Merz,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8.
  31. John Dominic Crossan, The Historical Jesus: The life of A Mediterranean Jewish Peasant, San Francisco: HarperSanFrancisco, 1991.
  32. J. Sobrino, Spirituality of Liberation: Toward Political Holiness, Maryknoll, N.Y.: Orbis Books,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