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and Tai-Ji in Joseon art: Focusing on Daesoon Thought

조선 미술에 내재한 음양합덕과 태극 - 대순사상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0.05.31
  • Accepted : 2020.08.01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inciples of the 'Earthly Paradise' (仙境, the realm of immortals),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陰陽合德),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while combining them with Joseon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ontext wherein the concept of Taiji in 'Daesoon Truth,' deeply penetrates into Joseon art. Doing so reveals how 'Daesoon Thought' is embedded in the lives and customs of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this study follows a review of the sentiments and intellectual traditions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Daesoon Thought' and creative works. Moreover, 'Daesoon Thought' brings all of this to the forefront in academics and art at the cosmological lev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ividly reveal the core of 'Daesoon Thought' as a visual image. Through this, the combination of 'Daesoon Thought' and Joseon art will secure both data and reality at the same time. As part of this, this study deals with the world of 'Daesoon Thought' as a cosmological Taiji principle. This concept is revealed in Joseon art, which is analyzed and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art philosophy. First, as a way to make use of 'Daesoon Thought,' 'Daesoon Truth' was developed and directly applied to Joseon art. In this way, reflections on Korean life within 'Daesoon Thought' can be revealed. In this regard, the selection of Joseon art used in this study highlights creative works that have been deeply ingrained into people's lives. For example, as 'Daesoon Thought' appears to focus on the genre painting, folk painting, and landscape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attention is given to verifying these cases. This study analyzes 'Daesoon Thought,' which borrows from Joseon art, from the perspective of art philosophy. Accordingly, attempts are made to find examples of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and Tai-Ji in Joseon art which became a basis by which 'Daesoon Thought' was communicated to people. In addition, appreciating 'Daesoon Thought' in Joseon art is an opportunity to vividly examine not only the Joseon art style but also the life, consciousness, and mental world of the Korean people. As part of this, Chapter 2 made several finding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Daesoon Thought.' In Chapter 3, the structures of the ideas of 'Earthly Paradise' and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were likewise found to have support.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Tai-Ji were found in depictions of metaphysical laws. To this end, the law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the structure of Tai-Ji were combined. In chapter 4, we analyzed the 'Daesoon Thought' in the life and work of the Korean people at the level of the convergence of 'Daeesoon Thought' and Joseon art. The analysis of works provides a glimpse into the precise identity of 'Daesoon Thought' as observable in Joseon art, as doing so is useful for generating empirical data. For example, works such as Tai-Jido, Ssanggeum Daemu, Jusachaebujeokdo, Hwajogi Myeonghwabundo, and Gyeongdodo are objects that inspired descriptions of 'Earthly Paradis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s a result, Tai-Ji which appears in 'Daesoon Thought', proved the status of people in Joseon art. Given all of these statements, the Tai-Ji idea pursued by Daesoon Thought is a providence that follows change as all things are mutually created. In other words, it was derived that Tai-Ji ideology sits profoundly in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and responds mutually to the providence that converges with 'Mutual Beneficence.'

이 연구는 선경(仙境)과 음양합덕, 그리고 천지공사(天地公事)의 원리를 분석하여 조선 미술과 접목하는 입장이다. 이에 대순진리의 태극 사상이 조선 미술에 깊숙이 스민 정황을 찾아내는 연구이다. 이로 말미암아 한민족의 생활이나 습속에 내재한 대순사상이 어떻게 비치는지 파헤친다. 아울러 한민족의 정서나 사상이 어떤 모습인지 대순사상과 창작품을 바탕으로 검토하는 데 따른다. 더욱이 대순사상이 학예에 파고든 정황을 우주론 차원에서 입증하는 데 따른다. 이에 부응한 연구 목적은 대순사상이 내세우는 핵심을 시각 이미지로 생생하게 들춰내는 일이다. 이로써 대순사상과 조선 미술의 결합에 부합하는 문헌과 더불어 실재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그 일환으로 이 연구는 우주론에 입각한 태극 원리로써 대순사상의 세계를 다룬다. 이러한 사상 개념은 조선 미술에 고스란히 드러나는데, 이를 예술 철학 입장에서 분석하여 점검한다. 우선 대순사상을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대순진리를 개진하고 이를 조선 미술과 직접 접목한다. 이로써 대순사상이 한국인의 삶에는 어떻게 비치는지 밝힌다. 이와 관련하여 조선 미술의 선정 방법은 민중 생활에 깊숙이 파고든 창작품을 선별한다. 가령 대순사상이 조선조의 풍속화, 민화, 산수화에 집중하여 나타나는 만큼 이를 단서로 입증과 검증 절차를 시각화하여 다룬다. 이 연구는 조선 미술에 스민 대순사상을 예술 철학 차원에서 분석하는 일이다. 이에 따라 음양합덕과 태극 사상이 조선 미술에 내재한 상황을 찾아내는 시도는 대순사상이 민중과 동화한 정황을 들추는 근거이다. 더불어 조선 미술에서 대순사상을 점검하는 일은 조선 미술의 양식뿐만이 아니라 한민족의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신세계를 생생하게 확인할 기회이다. 그 일환으로 2장에서는 대순사상의 형성을 밝혔다. 3장에서는 '선경(仙境)'과 '음양합덕' 사상의 구조, 그리고 '천지공사(天地公事')와 '태극' 사상을 우주의 운행 법칙에 기인하여 밝혔다. 이에 천지공사의 운행 법칙과 태극 구조를 접목했다. 4장에서는 대순사상과 조선 미술의 융합 차원에서 한민족의 삶과 더불어 창작품에 나타난 대순사상을 분석했다. 이른바 창작품 분석은 실증 자료로 드러내는 데에는 유용한 효과인 만큼 조선 미술에 배인 대순사상을 정밀하게 밝힐 단서이다. 이를테면 <금강전도>, <금강내산전도>, <쌍검대무>, <쌍치도>, <주사채부적도>, <화조기명화분도>, <문자도>에서 선경, 음양합덕, 천지공사의 이치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대순사상에 나타난 태극 사상이 조선 미술에 고스란히 스민 정황을 입증했다. 이 모든 진술을 감안할 때, 대순진리가 추구하는 태극 사상은 만물이 상호 생성하면서 변화를 따르는 섭리이다. 그런즉 태극 사상은 한민족의 삶에 지대하게 자리하여 '상생(相生, Mutual life-saving, mutual life-bettering)'으로 융화하는 섭리에 상호 응대한다는 점을 도출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3. 郭若虛, 「圖畫見聞志敍論」
  4. 唐垈, 「繪事發微」
  5. 杜甫, 「題畵詩」
  6. 方薰, 「山靜居畵論」
  7. 王微, 「敍畵」
  8. 原濟, 「苦瓜和尙畫語錄」
  9. 張彦遠, 「歷代名畵記敍論」
  10. 湯貽汾, 「畵筌析覽」
  11. 布顔圖, 「畵學心法問答」
  12. 荊浩, 「筆法記」
  13. 고유섭, 「한국미술문화사논총」, 서울: 통문관, 1974.
  14. 김상일, 「대순사상에 대한 한철학적 접근 방법론에 관한 시론」,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1
  15. 김용환,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연구」, 「대순사상논총」 31,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1.0.165
  16. 김용환,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대순우주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31
  17. 김용환, 「생장염장.무위이화의 상관연동 연구」,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77
  18. 김용환, 「천지공사의 공공윤리 실천전망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37
  19. 김호연, 「한국민화」, 서울: 경미문화사, 1985.
  20. 류성민, 「천지공사'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1
  21.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 「대순회보」 208,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8.
  22. 박용숙, 「한국미술의 기원」, 서울: 예경산업사, 1991.
  23. 박인규, 「대순사상의 구원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95
  24. 박인규, 「대순사상의 도수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207
  25. 오세창, 「근역서화징」 권5 서울: 시공사, 1998.
  26. 용수, 「중론」, 신상환 옮김, 서울: 도서출판b, 2018.
  27. 유검화, 「중국화론집성 주석본-산수편」, 김대원 주역, 서울: 학고방, 2013.
  28. 유검화, 「중국화론집성 주석본-일반론」, 김대원 주역, 서울: 학고방, 2013.
  29. 장자, 「장자」, 「노자.장자」 (세계사상전집3), 이석호 역, 서울: 삼성출판사, 1987.
  30. 정병화, 「대순사상의 대대성 원리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63
  31. 진홍섭.강경숙.변영섭.이완우, 「한국미술사」, 서울: 문예출판사, 2006.
  32. 황의동, 「대순사상의 유교적 이해」,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9
  33. 홍원식 역, 「黃帝內經素問」,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4.
  34. 芳子 盛勵 主編, 「儒彿道百科辭典」, 桂林: 漓江出版社, 1995.
  35. 「三才圖會」(四), 王圻纂輯, 明. 萬曆三十五年刊本 影印, 臺北: 成文出版社有限公司, 1970.
  36. 「四書五經」(上), 朱熹 注, 影印, 北京: 中國書店出版, 1994.
  37. Alfred North Whitehead, Process and Reality: An Essay in Cosmology, New York: The Macmillan Co., The Free Press, 1969.
  38. Maurice Merleau-Ponty, Sens et Non-sens, Paris: Les Editions Nagel, 1948.
  39. Maurice Merleau-Ponty, Le Visible et L'Invisible, Paris: Gallimard,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