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ppropriation of East Asian Mythology and Literature in Jeungsan Theology

동아시아 신화와 문학의 증산 신학적 전개 - 상상력의 법술(法術)과 전유(專有)의 신학-

  • Received : 2020.05.31
  • Accepted : 2020.08.01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principle of appropriation by which mythology and literature were accepted in the unique religious context of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 First, we knew that almost all of the gods that appeared in the discourse of Kang Jeungsan (姜甑山) were related to Eastern Yi (東夷) mythology and deeply rooted in folklore. This is because the cultural tendency and historic consciousness of Kang Jeungsan was influenced by Danhakpa (the Danhak School 丹學派). Secondly, when we investigated the acceptance of literature into The Canonical Scripture, we discovered that Tang Poetry (唐詩),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anguoyanyi 三國演義), and Journey to the West (Xiyouji 西遊記) were widely accepted in Kang Jeungsan's discourse. These works were used in diverse ways such as predictions, healing, and meditation. We knew that popular classical work like these were religiously appropriated in the context of The Canonical Scripture. Lastl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s by which mythical and literary imagin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Jeungsanist religious movements. Those mechanisms included the magical power of letter and images, sense-cognition of poetry, and the representational ability of mimesis. In conclusion, mythical and literary imagination helped Jeungsanist religious movements gain popularity and spread Kang Jeungsan's soteriology. This is especially true of how it transformed into unique religious techniques which functioned as key elements of the Reordering Works (公事).

본고에서는 『전경(典經)』의 강증산(姜甑山) 언설에 수용된 신화와 문학 자료를 대상으로 그것들이 『전경』 텍스트의 고유한 종교 신학적 맥락 안에서 어떻게 의미화 되었는지, 그 전유(專有)의 상황과 원리를 고찰해 보았다. 먼저 『전경』에서의 신화 수용을 강태공(姜太公), 사명(司命), 치우(蚩尤), 우사(雨師), 조왕(竈王), 망량(魍魎), 개고기, 동도지(東桃枝) 등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들 중의 상당수가 동이계(東夷系) 신화와 상관되며 민간에 깊게 뿌리를 둔 습속이라는 사실이 주목된다. 이는 강증산의 단학파(丹學派)적 성향, 수정주의적 역사의식, 민중의식 등과 상관된다. 다음으로 『전경』에서의 문학 수용을 시와 산문, 소설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시의 경우 강증산의 시재(詩才)와 취향에 바탕하여 당시(唐詩), 창작시 등이 수용되었고 산문, 소설의 경우 『서경(書經)』, 『사기(史記)』, 『삼국연의(三國演義)』, 『서유기(西遊記)』, 『서주연의(西周演義)』 등이 수용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예언, 치병, 수련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되었는데 고전 명구(名句)나 소설이 지닌 대중적 감화력이 이 과정에서 종교적으로 전유되어 힘을 발휘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경』에서 신화, 문학적 상상력이 어떤 메카니즘에 의해 증산 신학으로 전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문자와 이미지의 주술적 역량, 시가 문학의 감성인식 기능과 표현 특성, 미메시스의 재현 혹은 창조 능력 등이 신화, 문학적 상상력뿐만 아니라 공사 거행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기능을 발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3가지 설명 기제(機制)는 『전경』 언술의 의미화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하면 강증산의 삼교합일적, 회통적 인식을 바탕으로 전개된 신화, 문학적 상상력은 지배문화의 정통론적인 관념을 돌파하여 증산 신학의 민중성, 보편성을 구현하는 데에 일조하였다. 아울러 그것은 강증산의 구세 이념을 광포(廣布)하는 데에 큰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고유의 종교 법술로 변용되어 공사 수행의 중요한 방편으로 기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典經」
  2. 「山海經」
  3. 「書經」
  4. 「左傳」
  5. 「奇門遁甲」
  6. 司馬遷, 「史記」
  7. 劉安, 「淮南子」
  8. 王充, 「論衡」
  9. 蕭統, 「六臣註文選」
  10. 陸德明, 「經典釋文」
  11. 羅泌, 「路史」
  12. 王夫之, 「楚辭通釋」
  13. 李德懋, 「雅亭遺鎬」.
  14. 고남식, 「강증산 전승의 해원과 문학치료」, 「문학치료연구」 1, 2003.
  15. 김성환, 「한국 선도의 맥락에서 보는 증산사상」,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8
  16. 김탁, 「증산 강일순이 인용한 한시 연구」, 「한국종교」 19, 1994.
  17. 박광수, 「한국 신종교(천도교, 증산교, 원불교)에 나타난 신화, 상징, 의례 체계의 상관성에 관한 비교연구」, 「종교연구」 26, 2002. http://uci.or.kr/G704-000716.2002.26..004
  18. 브라이언 보이드, 「이야기의 기원」, 남경태 옮김, 서울: 휴머니스트, 2016.
  19. 심경호, 「박지원과 이덕무의 희문(戲文) 교환에 대하여」, 「한국한문학연구」 31, 2003.
  20. 윤재근, 「대순사상의 의미체계에 대한 상징해석-천지공사(天地公事)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17, 2003. http://uci.or.kr/G704-000911.2003.17..007
  21. 이경원, 「강증산의 천지공사의 종교적 상징체계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14, 2006.
  22. 이능화, 「조선도교사」, 이종은 옮김, 서울: 보성문화사, 1977.
  23. 정재서, 「산해경 역주」, 서울: 민음사, 1985.
  24. 정재서, 「불사의 신화와 사상」, 서울: 민음사, 1994.
  25. 정재서, 「동아시아 상상력과 민족서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26. 정재서, 「산해경의 시적 변용」, 「중국학보」 38, 1998.
  27. 정재서, 「원유(苑囿), 제국 서사의 공간」, 「중국문학」 38, 2000.
  28. 정재서, 「강증산(姜甑山)의 중국 신화 수용과 그 의미」, 「대순사상논총」 25上,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1.1
  29. 정재서,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에 표현된 산해경(山海經)의 신화적 이미지들」, 「영상문화」 29, 2016. http://uci.or.kr/G704-SER000010067.2016..29.002
  30. 조너선 갓셜, 노승영 옮김, 「스토리텔링 애니멀」, 서울: 민음사, 2016.
  31. 蕭兵, 「楚辭新探」, 天津: 天津古籍出版社, 1988.
  32. 鍾雲鶯, 「韓國大巡真理會對《大學》思想的解釋與轉化」, 「대순사상논총」 34, 2020. https://doi.org/10.25050/jdaos.2020.34.0.141
  33. 許盤淸 等, 「三國演義三國志對照本(上)」, 南京: 江蘇古籍出版社, 2002.
  34. Michael Taussig, Mimesis and Alterity, New York.London: Routledge, 1993.
  35. Stanley J. Tambiah, Magic, Science, Religion, and the Scope of Ration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6. Marcel Mauss, A General Theory of Magic, Translated from the French by Robert Brain, New York: The Norton Library,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