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tific Analysis of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666, Korea's First Fighters used during the Korean War (F-51D)

등록문화재 제666호 F-51D 무스탕 전투기 과학적 분석

  • Kang, Hyunsam (The War Memorial of Korea) ;
  • Jang, Hanul (The War Memorial of Korea) ;
  • Kim, Soochu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Uicheon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0.04.06
  • Accepted : 2020.05.10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scientific analysis of a 'F-51D Mustang Fighter'(Registered Cultural Heritage 666), one of the War Memorial of Korean collections, was carried out. The paint layer and canopy were discolored due to a constant outdoor exhibi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cientific survey and analysis processes we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uture dismantling and restoration of the fighter.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pigment components have confirmed red oxide of iron, Fe2O3 organic pigments, such as Cobalt Blue, phthalocyanine blue, etc., yellow PbCrO4, white TiO2, black Fe3O4, and gray Fe3O4 + TiO2. It has been also confirmed that Alkyd resin was mainly used for painting. The fighter's canopy was Poly methyl methacrylate(PMMA), and Al was detect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ghter body, wings, and tails.

전쟁기념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등록문화재 제666호 F-51D 무스탕 전투기의 과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F-51D 무스탕 전투기는 1950년 6월 25일 전쟁이 발발하자, 7월 2일 우리 공군이 미국으로부터 인수해 최초로 운용한 전투기이다. 전쟁기간 동안 북한군을 상대하여 괄목할 만한 작전을 펼친 한국 공군의 주력기이다. 본 연구 대상은 6·25전쟁 당시 직접 사용된 기체로 현재까지 과학적 조사·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차후 해체 및 복원을 계획하고 있다. 지속적인 옥외 전시로 인해 도료층 및 캐노피가 변색되었으며 도료의 박락 및 균열 또한 확인되었다. 비파괴 과학적 분석을 통해 대형유물의 해체 및 복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P-XRF를 사용하여 적색, 청색, 황색, 백색, 흑색, 회색을 중심으로 안료 성분 분석을 진행하였고, 전투기에 사용된 도료의 수지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적외선 분광 분석(FT-IR-ATR)을 하였다. 몸체, 날개, 꼬리날개에 사용된 금속의 성분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안료 성분 분석은 적색 산화철인 벵가(Fe2O3), 프탈로시아닌 블루계 등의 유기안료, 황색의 황연(PbCrO4), 백색의 티타늄화이트(TiO2), 흑색의 철흑(Fe3O4), 회색의 철흑(Fe3O4)+티타늄화이트(TiO2)가 확인되었다. 전투기 외부 도장에 사용된 수지는 주로 Alkyd 수지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색의 경우 Acryl 수지를 이용하여 도장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투기 캐노피는 투명성과 내광성이 우수한 Poly methyl methacrylate(PMMA)로 확인되었다. 전투기 몸체, 날개, 꼬리날개에서 모두 알루미늄(Al)이 주성분으로 검출되었다. 꼬리날개부 후면부의 경우 철-아연 도금(함석)이 사용된 것을 보아 과거 복원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J. Meilunas, Analysis of aged paint binders by FT-IR spectroscopy. Studies in Conservation 35, p33-51, (1990).
  2. TJS Learner, The analysis of synthetic resins found in twentieth century paint media. In Resins; Ancient and Modern SSCR conference, Edinburgh, (1995).
  3. 방위사업청, 도료(페인트)규격 실무편람, p1, (2008).
  4. 김수철, 이광희, 칠 기법 규명을 위한 칠 도막의 현미경 관찰. 목재공학 36, p99, (2008).
  5.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전차 381호 보존처리, (주)비산문화재, p23-32, (2009).
  6. 김수철, 박민수, 서정훈, "등록문화재 전차381호의 도료 분석", 보존과학회지 Vol.28 No.3, p277-283(2012). https://doi.org/10.12654/JCS.2012.28.3.277
  7. 강현삼, 김수철, 박민수, "전쟁기념관 소장 625전쟁 방산장비의 도료 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Vol.32 No.2, p215-221,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2.10
  8. 권희홍, 김정흠, 한예빈, 야외 페인팅 조각의 보존처리를 위한 기초조사, 보존과학회지 Vol.32 No.3, p333-343,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3.04
  9. 권희홍, 김예승, 김범준, 최남영, 박혜선, 김정석, 야외 청동 조각작품의 보존과 재질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3, No.3, p155-165, (2017). https://doi.org/10.12654/JCS.2017.33.3.01
  10. 문화재청, (2016년도)등록문화재 등록조사보고서, p137-15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