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rm Economy Status and Transitional Trajectories by Farm Types

유형별 농가경제 실태와 이행 경로 분석

  • Rhew, Chan-Hee (Department of Agricultural & Rural Development Research, KREI) ;
  • Kim, Yun-Jin (Center for Agricultural Policy Evaluation, KREI) ;
  • Kim, Chang-Ho (Department of Agricultural & Rural Development Research, KREI)
  • 유찬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발전연구부) ;
  • 김윤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 ;
  • 김창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발전연구부)
  • Received : 2020.02.22
  • Accepted : 2020.03.20
  • Published : 2020.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shedding light on two questions: 1) how livelihood strategies hired by heterogeneous farm households differ and in what aspect, and 2) would the strategy change over time or remain identical across farm types? Using 2013-2017 Farm Economy Survey panel data, we divide the sample farms into 4 sub-groups based on income level and sourc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farm types, strong path dependency has been observed. That is, lots of farms are likely (enforced) to maintain the livelihood strategies, accounting for why many farms fail to response to market and/or policy signals. Second, along with compounding risks, farms are more vulnerable to specific sorts risks. Third, based on the findings, we made policy sugges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정. (2013). 농가경제의 위기, 무엇이 원인인가? Paper presented at the 2013 한국농업경제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농가의 경영안정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2. 강혜정. (2015). 경제적 위기 농가의 특징. 농업경영.정책연구, 42(2), 217-231.
  3. 경영체유형화특별추진단. (2016). 경영체 DB 분석에 기초한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정책 기본구상(안).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내부자료.
  4. 구자인. (2020). 왜 마을농업인가. 마을, 5, 15-27.
  5. 국승용, 서홍석, 순병민, 김충현, 김문희, & 이수환. (2020). 2020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Ed.), 농업전망 2020(I) (pp. 3-38).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권오상, & 강혜정. (2006). 농외소득활동 참여 여부와 농외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47(1), 89-113.
  7. 김규섭, & 이성근. (2014a). 농가소득의 불평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0(2), 87-102.
  8. 김규섭, & 이성근. (2014b). 농가소득의 양극화 추이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28, 25-45.
  9. 김미복, 김태후, & 전병균. (2019). 농작업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 수립 및 농업인안전보험 발전방안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김미복, & 박성재. (2014). 농업구조 변화와 농가경제, 정책적 시사점. 농정포커스, 95(2014. 10. 10.).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김미복, 오내원, & 황의식. (2016). 농가 유형별 소득구조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농정포커스, 132(2016. 8. 25.).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김병택. (2002). 한국의 농업정책. 서울: 한울 아카데미.
  13. 김성용. (2004). 농가소득 불균등의 변화 추이와 소득원천별 분해. 농업경제연구, 45(4), 97-115.
  14. 김성용, & 이계임. (2002). 농가의 소비지출구조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김성용, & 이계임. (2003). 한국농가의 소비지출구조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37(3), 73-82.
  16. 김수석, 김태곤, & 강혜정. (2006). 맞춤형 농정을 위한 농가 유형 구분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 김정섭, 오내원, & 김경인. (2016). 농가의 다면적 경제.사회활동 실태와 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 김정호. (2012). 가족농 연구- 농가와 농업경영의 과거.현재.미래.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김태이, 임정빈, & 안정환. (2012). 공적보조금이 지역내 지역간 농가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농업경제연구, 53(1), 41-46.
  20. 농림축산식품부. (2020a). 농림축산식품부 2020년 주요 업무계획: 미래를 여는 열쇠 사람과 환경 중심의 농업 농촌.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21. 농림축산식품부. 2020b. 농업소득의 보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부개정령안. Retrieved March 2, 2020, from http://mafra.go.kr
  22. 박재홍. (2016). 농가경제 장기변화(1985-2015년) 추이. NH농협 조사월보, 60, 42-56.
  23. 박종섭, & 이병기. (2000). 충북지역 농가소득 분배의 시계열 추이와 그 변화요인 분석. 지역정책연구, 11(2), 307-326.
  24. 박준기, 황의식, & 문한필. (2005). 저소득농가의 농가경제 실태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5. 서종혁, & 김은경. (2007). 농업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수원: 경기연구원.
  26. 서종혁, 박동규, 위용석, 강봉순, 황의식, 안동환, et al. (1991). 농외소득원 개발정책의 평가와 장단기 발전전략.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7. 안동환. (2004). 도시 근로자가구와 농가의 소득불평등도 비교 분석: 엔트로피지수의 그룹별.소득원별 분해. 농업경제연구, 45(1), 21-46.
  28. 오내원, & 김은순. (2001). 농외소득정책의 발전방향: 농외소득의 실태와 정책방향. 농촌경제, 24(2), 103-118.
  29. 오내원, 박준기, 정원호, 권오상, & 강혜정. (2013). 농가 소득의 중장기 실태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0. 우병준, 임소영, 이두영, 이형용, & 한보현. (2017). 농가 유형에 따른 소득 변화와 시사점. 농정포커스, 157(2017. 11. 30.).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1. 우병준, 김현중, 석준호, & 김명수. (2019).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 과제(2/2차년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2. 유찬희. (2019). 농가유형별 소득 구조와 증대 방향. Paper presented at the 농협중앙회 전문가 토론회(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 농협중앙회. 서울.
  33. 유찬희, 김미복, 박준기, & 이두영. (2019a). 2018년 농가 경제 실태와 시사점: 총수입과 농가경제잉여 분석 중심. 현안분석, 69(2019. 12. 20.).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4. 유찬희, 김정섭, 김태훈, 최용호, 오내원, 박지연, et al. (2019b).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 과제(1/2차년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5. 유찬희, 박준기, 김종인, & 박지연. (2016). 직접지불제 효과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1/2차년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6. 유찬희, 서홍석, & 김태후. (2019). 2013-2017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 농정포커스, 179(2019. 4. 10.).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7. 윤지원, & 권오상. (2015). 영농형태별(품목유형별) 농업소득 변화 요인 분석. 농촌경제, 39(4), 29-49.
  38. 이두영, 박준기, 김미복, & 박지연. (2019). 농가 유형별 소득 불평등도 분해. 농촌경제. 42(1), 1-26.
  39. 이상원, 추성민, 안동환, 김혁주, & 김관수. (2018). 농업소득 변동성을 고려한 농외소득활동 참여 및 농외소득 결정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59(1), 1-26.
  40. 이영기. (2006). 농업구조정책의 주요과제. In 정영일 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Ed.), 21세기 농업.농촌의 재편전략 (pp. 258-277). 서울: 박영률출판사.
  41. 이정환. (2015). 한국농업 70년(1): 노동시장의 충격과 대응-노령화에서 탈노령화로-. 시선집중 GSnJ, 202(2015. 8. 10.). 서울: GSnJ Institute.
  42. 이정환, 설광언, 이명헌, 김명환, 김한호, 서진교, et al. (2012). 한국 농업.농촌의 비전과 농정 합리화 방향. 서울: 기획재정부.한국개발연구원.GSnJ 인스티튜트.
  43. 임소영. (2017). 농가 소득의 연령별.세대별 변화에 관한 연구.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농업경제학회 2017 하계학술대회(포스트 무역자유화 시대 한국농업의 방향과 전망), 증도 엘도라도 리조트, 신안.
  44. 정기환. (1993). 농가의 성격 변천에 관한 연구: 산업화에 의한 가족농의 구조적 변화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5. 정대희, 임준혁, & 한두봉. (2018). 농가경제 재무구조의 변화분석. 농업경제연구, 59(2), 17-40.
  46. 정선화, & 강혜정. (2015). 한국 농가의 소득원별 한계소비성향 분석. 농업경제연구, 56(1), 119-135.
  47. 정진화, & 조현정. (2012). 농가소득의 양극화: 경영주 연령 및 소득원별 비교. 농업경영.정책연구, 39(3), 420-450.
  48. 조승연. (2000). 한국농촌사회변동과 농업생산구조. 서울: 서경문화사.
  49. 최양부. (1978). 농가소득 증대방향에 관한 이론적 검토-특히 영세소농의 농외소득증대 문제와 관련하여-. 농촌경제, 1(2), 109-120.
  50. 최양부, 박성재, & 오내원. (1983). 농가경제의 유형과 성격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1. 통계청. 각 연도. 농가경제조사.
  5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농업.농촌 70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3. 한석호, 김수석, 채광석, 유찬희, 남경수, & 정호연. 2016. 맞춤형 농정을 위한 농업경영체 DB 분석 및 활용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4. 허등용. (2018). 샤플리 값을 이용한 농가소득 불평등도의 소득원천별 기여도 분석. 농촌경제, 41(4), 1-27.
  55. Ahearn, M. C., & El-Osta, H. S. (1993). The role of off-farm employment: Permanent or transitional state.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s, Baltimore, MD.
  56. Bowler, I., Clark, G., Crockett, A, Ilbery, B., & Shaw, A. (1996).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farm enterprises: A study of family labour farms in the Northern Pennines of England. Journal of Rural Studies, 12(3), 285-295. doi:10.1016/0743-0167(96)00015-0
  57. Cervantes-Godoy, D. (2015). Strategies for addressing smallholder agriculture and facilitating structural transformation. Paris: OECD Publishing.
  58. Ellis, F. (2000). The determinants of rural livelihood diversifi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1(2), 289-302. doi:10.1111/j.1477-9552.2000.tb01229.x
  59. Fuller, A. M. (1990). From part-time farming to pluriactivity: A decade of change in rural Europe. Journal of Rural Studies, 6(4), 361-373. doi:10.1016/0743-0167(90)90049-E
  60. Gautam, Y., & Andersen, P. (2016). Rural livelihood diversification and household well-being: Insights from Humla. Nepal. Journal of Rural Studies, 44, 239-249.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6.02.001
  61. Kinsella, J., Wilson, S., de Jong, F., & Renting, H. (2000). Pluriactivity as a livelihood strategy in Irish farm households and its role in rural development. Sociologia Ruralis, 40(4), 481-496. doi:10.1111/1467-9523.00162
  62. Komarek, A. M., de Pinto, A., & Smith, V. H. (2020). A review of types of risks in agriculture: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Agricultural System, 178, 1-9.
  63. Mishra, A. K., El-Osta, H. S., Morehart, M. J., Johnson, J. D ., & Hopkins, J . W. ( 2002). Income, wealth, and the economic well-being of farm households. AER No. 812, Washington DC: ERS USDA.
  64. Ploeg, J. D., van der, & Ye, J. (2010). Multiple job holding in rural villages and the Chinese road to development. The Journal of Peasant Studies, 37(3), 513-530. doi:10.1080/03066150.2010.494373
  65. Weltin, M., Zasada, I., Farnke, C., Piorr, A., Raggi, M., & Viaggi, D. (2017). Analysing behavioral differences of farm households: An example of income diversification based on European Farm Survey Data. Land Use Policy, 62, 172-184. doi:10.1016/j.landusepol.2016.1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