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화

Search Result 4,0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xpression of Organogenesis-related Genes of the Plant-materials Induced in the Process of in vitro Organogenesis of Japanese Blood Grass, and Organogenesis-related Genes in Plants (화본과 식물 홍띠의 기관분화 단계별 기관분화 관련 유전자발현 및 식물의 기관분화 관련 유전자)

  • Ye-Jin Lee;Eon-Yak Kim;Chang-Hyu B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34-34
    • /
    • 2023
  • 화본과 식물인 홍띠(Imperata cylindrica 'Rubra') 식물체의 기관분화 단계별 시료를 작성하여 이들 몇가지 기관분화에 관련된 유전자의 각 단계별 기관분화체에서 유전자존재와 발현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의 기관분화에 관련된 유전자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일부 유전자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조사된 기관분화 관련 유전자중 탈분화 관련 유전자로는 FIF, RAP2-4 (WIND1) 유전자 등이, shoot 분화 관련 유전자로는 WUS, 부정근 분화관련 유전자로는 OsSCR, WOX11 등, 체세포배발생 관련 유전자로는 BBM1, SERK1, LEC1B, MEA 유전자 등이다. 이들 유전자중 RAP2-4(WID1), FIE, BBM1, SERK1, OsSCR, WOX11, WUS, LEC1B 유전자 등 8종의 기관분화 관련 유전자를 대상으로 화본과 식물의 기관분화의 각 단계별 기관분화체를 작성하여 PCR을 통하여 유전자(gDNA)의 존재여부를 확인한 결과 공시 유전자 모두 홍띠의 각단계 기관분화체에서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유전자를 사용하여 화본과 식물의 각단계별 기관분화체에 대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각단계 기관분화체에서 모두 발현하였다. 5종류 총 15개체의 기관분화 단계별 분화체에서 캘러스 발생 유전자인 FIE는 모식물체 1번을 제외한 14개의 식물체에서 모두 관찰되었으며, 뿌리 발생 유전자인 WOX11은 15개의 모든 식물체에서 탐색되었으며, 체세포 발생 유전자인 LEC1B는 15개 식물체에서 모두 발현하였으나 비교적 약하게 발현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식물 기내발생시 기관분화관련 유전자의 동향을 파악하여 식물발생학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

F9 기형암종 세포의 분화에 따른 small GTP-binding protein변화

  • 박혜성;이준승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1
    • /
    • pp.40-48
    • /
    • 1994
  • 세포분화에 따른 Small GTP-binding protein의 역할을 밝히기 위하여 Retinoic acid(RA)와 dibutyryl cyclic AMP(dbcAMP)로 분화를 유도한 F9 기형암종세포의 형태적인 변화와 함께 Small GTP-binding protein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RA와 dbcAMP를 처리한 세포는 분화유도 5일경(초기 분화 단계)에 분명한 세포의 경계를 보이기 시작하여 7일경(분화 후기 단계)에는 거의 모든 세포가 등근 분화된 형태로 전환되었다. 이 분화과정 동안 세포막에는 많은 microvilli와 lamellopodia 같은 구조물이 나타났다. 아울러 초기 분화 단계에 많은 량의 laminin이 발현되었으며 분화 후기에 microtubule의 재분포가 관찰되었다. 세종류의 Small GTP-binding protein(25 23, 21 KD)이 F9 세포의 막성분과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세단백질 모두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Small GTP-binding protein이 F9 세포의 분화에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n Volcanoes Monitoring and Disaster System of Japan (일본의 화산감시 및 분화대응 특성)

  • Jang, Eun S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8-188
    • /
    • 2011
  • 작년 아이슬란드에서의 화산폭발로 발생된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이동하면서 유럽 공항 곳곳의 항공기 수천 편이 운항 중지되기도 하였다. 한반도내의 백두산은 약 1000전(서기 946년~947년 경) 대규모로 분화하였고, 서기 1903년, 소규모 분화한 후, 앞으로 수년~수십 년 사이에 폭발적인 분화를 재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백두산 분화 시, 아이슬란드 화산폭발 때보다 훨씬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백두산 화산에 대한 현지 자료의 수집과 꾸준한 모니터링(감시, 관측) 자료의 분석과 재해 예상 범위 및 대응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으며 108개 활화산의 화산재해 방재에 관하여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일본에서의 화산감시 및 분화대응 시스템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화산재해대책을 수립하기위한 시사점들을 고찰하였다. 화산의 평균적인 분화 간격은 풍수해나 지진 등 다른 재해에 비해 길기 때문에 일본 기상청에서는 과거1만년 이내에 분화한 증거가 있는 화산이 활화산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백두산은 약 1000년 전에 분화한 뒤 최근 분화의 전조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과 북한에 인접하여 있으므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피해는 예상되지 않으나, 우리나라에 일본과 같은 활화산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였던 화산재해란 어떠한 것이며, 향후 잠재적인 분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백두산폭발로 인한 재해의 종류를 미리 예상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경우 계속적인 감시와 관측을 통한 분화예보, 경보를 발령하고 분화 시 즉각적인 방재정보를 전달, 지역주민들이 빠르게 인지, 주의하도록 화산재해 대책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중국과 북한에 인접한 백두산에 대한 관측 자료가 거의 없고, 연구를 위한 접근 또한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분화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권에서는 벗어난다할지라도 계절적인 기상장의 영향 및 아직 예측 불가능한 백두산의 잠재적인 폭발규모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경우에 대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화산재해 방재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두산 폭발로 인한 재해위험범위를 가시화하고, 분화 시에 대한 구체적인 가상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화산재 및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시뮬레이션, 기후변화에 끼치는 영향 등을 포함하는 화산재해대책을 미리 세워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재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PDF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백두산의 역사시대 분화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해석)

  • Yun, Sung-Hy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6
    • /
    • pp.456-469
    • /
    • 2013
  • This study is performed to find out the eruptive events of the historical period recorded in literature, which have been recognized and regarded as ones from Mt. Baekdusan, and to make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eruptive events. Since the Millennium eruption, more than 31 eruptive events have been discovered, most of which are Plinian eruptions with volcanic ash that dispersed into the regions in the vicinity of the volcano. The 1903 record includes the event of the phreatomagmatic or vulcanian eruption that occurred within the Cheonji caldera lake. Based on the eruption records of the historical period and the 2002 precursor unrest to volcanic eruptions, Mt. Baekdusan has been evaluated and regarded as an active volcano that has the potential to erupt in the future.

Genetic Stability of the Plant-materials Induced in the Process of in vitro Organogenesis of Japanese Blood Grass (화본과 식물의 기내 기관분화 단계별 기관분화체의 유전적 안전성)

  • Ye-Jin Lee;In-Jin Kang;Chang-Hyu B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35-35
    • /
    • 2023
  • 안정적인 유묘의 확보는 스마트작물생산을 위한 공정육묘 생산에서도 중요하며, 기내배양시 유전적 안정성이 높은 유묘의 대량증식은 유묘생산과 공정육묘생산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기내배양시 배양과 정에서 존재하는 체세포영양계변이(somaclonal variation)라는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본과 식물인 홍띠(Imperata cylindrica ‘Rubra’)로부터 기관분화 단계별 재분화체를 작성하여 기관분화 시 기내재생체의 유전적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ISSR 마커에 기반하여 유전적 변이성을 조사하고자 7종류 총 21개체의 기관분화 단계별 재분화체 및 재분화식물체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유전적 다형성은 기관분화 단계별 재분화체 및 순화 재분화체에서 대조구인 모식물체(1.4%) 대비 같거나 높게 나타나서 재분화체에서 유전적 안정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Jaccard 계수(Jaccard coefficient)로 총 21개체들 간의 유전적 유사도 지수를 평가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0.747~1.0 사이에 분포하며, 평균 0.868로 나타났다. ISSR 마커 밴드에 기반하여 평균연결법(Average linkage method)으로 군집 분석한 결과, 모든 개체는 유사도 지수 0.809 ~ 1.000 내에 분포하였다. 유전적 유사도 지수 0.809에서 2개 그룹으로 유집되었으며, 모식물체와 실내재배, 노지재배 재분화 녹색 식물체가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화본과 식물의 기내배양에서 기관분화 시 존재하는 체세포영양계변이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들 기관분화에 따른 기내재생체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자료는 향후 기내식물의 안정적인 대량번식에 있어 유익한 배경을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암세포 분화인자의 검색 및 그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 김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50-50
    • /
    • 1993
  • 최근의 암치료용 제제는 암세포의 분화를 재개시켜서 정상적인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약재개발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F9 EC세포주에 의한 분화인자 스크리닝 시스템을 확립하고 나아가 새로운 분화 유도인자를 스크리닝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F9 EC세포의 세포 배양조건을 먼저 확립하였으며 retinoic acid에 의한 F9 EC세포의 분화유도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확립하였다. 1 단계: F9 EC세포에 스크리닝할 물질의 단독처리 2 단계: 스크리닝할 물질에 dibutyryl cyclic AMP(dbc-AMP)와 theophylline을 첨가하여 처리 3 단계: 분화 marker유전자의 발현조사 그리고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천연 식물 및 해양동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분화인자의 검색을 시도한 결과, saponin, steroid 및 glycolipid계열의 물질이 분화인자로서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 PDF

Effect of Fe3$^+$ on Differentiation of Chick Embryonic Myoblasts Cultured in nitro (배양계배 근원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Fe3$^+$의 영향)

  • 유병제;지승완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4
    • /
    • pp.610-617
    • /
    • 1991
  • 계배 근원세포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F3+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철이 없는 배양액은 근원 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따라서 근원세포의 분화에 철과 transferrin (Tf)은 필수적이다. 또한, 철 대신에 Co2+가 부착된 Tf가 첨가된 배양액에서도 근세포의 분화가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Lysosomotrophic amine(chloroquine, $\mu$M 수준;ammonium chloride, mM 수준)은 근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 근세포 분화의 철에 대한 의존성은 분화됨에 따라 둔화되었다. 세포내로의 T니 수송량은 MEM과 8102배양액에서 비슷하였고, 근세포가 분화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Lysosomotrophic azine은 최소한 3시간이 내에서는 세포내로 수송되는 Tf의 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A Simple Embryonic Stem Cell-Based in vitro Differentiation System That Recapitulates Early Erythropoietic Events in the Mouse Embryo (생쥐 배아에서의 초기 적혈구 분화를 재현 할 수 있는 배아주 세포에 기초한 간단한 시험관내 분화체계)

  • 김철근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9 no.3
    • /
    • pp.239-247
    • /
    • 1996
  • An embryonic stem (ES) cell-based in vitro model system was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a simple differentiation of embryoid bodies (EB) in the suspension medium is useful to dissect early erythropoiesis.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iating EBs were monitored for their differentiation potential to generate hematopoietic cell types by general morphology, benzidine staining and two-step colony assays, and expressivity of several erythroid marker genes by the RT-PCR analysis for total cellular RNA prepared from the differentiating EBs. Every ematopoietic lineage cells were generated from the differentiating EBs with reproducible frequencies, similar to the other sophisticated differentiation protocols. Furthermore, the globin gene switching in differentiating ES cells paralleled the sequence of events found in the mouse embryo, and such that their expression was activated by at least 12 hrs later than those of erythroid-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GATA-1 and Tal-1 The erythropoietic differentiation program initiated reproducibly and efficiently in this simple differentiation system in a suspension culture, such that this system may be useful for dissection of the molecular events of early erythropoiesis.

  • PDF

원자간력현미경(AFM)을 활용한 SH-SY5Y Neuroblastoma 세포의 분화 전후 세포막의 Stiffness 변화 연구

  • Gwon, Sang-U;Yang, U-Cheol;Jeon, Gwang-Deok;Lee, Ji-Eun;Lee, Hui-Su;Jeong, Jin-Gwon;Hong, Hyeon-Min;Lee, Jeong-Min;Choe, Pu-Reum;Jang, Ju-Hui;Choe, Yun-Gyeong;Jeon, S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99-599
    • /
    • 2013
  • 최근의 원자간력현미경(AFM)은 생체물질을 대상으로 여러 구조적 형상뿐만 아니라 물리적 특성 측정이 가능하여 바이오분야에 다양이 활용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신경세포로 분화 인지에 대한 연구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AFM의 한 기능인 Force-Distance curve 측정법을 활용하여 신경암세포주라 불리는 SH-SY5Y를 대상으로 분화 전과 후의 세포막의 stiffness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막의 stiffness값은 시료표면과 맞닿은 AFM 탐침에 계속적으로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질 시 AFM 캔티레버의 구부러짐 정도로 측정된다. SH-SY5Y는 RA (retinoic acid) 처리에 의해 분화유도 되었으며, 생물학적 방법인 western blotting법을 통해 분화여부를 확인하였다. 측정영역은 AFM topography 이미지 상에서 roughness가 가장 낮은 분화 전과 후 SH-SY5Y의 핵 주변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영역 내에 여러 부분의 분화 전후 세포막의 stiffness 값을 측정하여 통계화한 결과, 분화 전과 후 세포막의 stiffness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화 전 SH-SY5Y 세포막의 stiffness는 0.79445 N/m인 반면, 분화 후 SH-SY5Y 세포막의stiffness는 0.60324 N/m로 확인되었다. 이는 분화 전에 비하여 분화 후 SH-SY5Y 세포막의 stiffness가 약 24.07% 감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생물학적 복잡한 방법이 아닌 간단한 방법으로 세포의 stiffness의 변화 측정을 통한 세포의 분화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여러 줄기세포의 특정세포로 분화여부 판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icropropagation by Leaf and Meristem Cultures of Pelargonium citrosa Van leenen (구문초 (Pelargonium citrosa Van leenen)의 잎과 정분열조직배양에 의한 미세증식)

  • 은종선;고정애;김영선;김명준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1 no.4
    • /
    • pp.247-252
    • /
    • 1994
  • The effects of explant sources,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let differentiation from leaf blade, petiole, and meristem tissue of Pelalgonium citrosa were investigated under illumination or in dark condition Leaf blade explants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s medium containing 2,4-D and kinetin did not form callus or organ. But those cultured on medium with NAA and BA produced callcus and shoots. Dark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than light condition to callus induction and showed that some of shoot were differentiated directly from leaf blade explane. Callus proliferated vigorously on meristem tissue after 7 days of culture, and multiple shoots were obtained Sum callus on medium with 0.5 mg/L NAA and BA. Roots formed readily from about 80% of the shoots cultured on medium with 1.0 mg/L NAA. Regenerated plantlets regenerated had phenotypically normal leaves and roo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