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ement and Effect Analysis of 'Star-Car' Program of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Focused on the Scientific Cultural Isolated Regions

한국천문연구원 '스타-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과학문화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3.29
  • Accepted : 2020.04.1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tar-car' operational program combining with the STEAM program and the PEST method for motiv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belonged to less favored areas in terms of scientific culture to get an interest in astronomy and appropriately forming scientific concepts of Astronomy and Space and, subsequentl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s to be feasible, 5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set a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rogram through a workshop, developed a draft with respect to a mobile astronomical observatory program of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and then complet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rough one trial application. Th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in the study applied the STEAM program and target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isolated regions of the scientific cul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mobile astronomical observator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mproved as a program which stimulated the curio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ll grades towards the Astronomy and Space. Second,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consisted of 11 periods in total; one period was for the presentation of the situation, five periods for emotional experience, the other five periods for creative desig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were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general. Judging from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mobile astronomical observatory program is expected to enhance learners' core competencies.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문화 소외지역 초등학생들의 천문우주에 관한 동기유발과 천문우주 과학개념의 올바른 형성을 위해 STEAM 프로그램 및 PEST 방법을 적용한 '스타-카'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이동천문대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한 후, 1회의 시범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하였으며, 과학문화 소외지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은 초등 전 연령이 함께 할 수 있는 천문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으로 개선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상황제시 1차시, 감성적 체험 5차시, 창의적 설계 5차시의 총 11차시로 구성하였다. 셋째,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 결과는 대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핵심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8). 제4차 과학관 육성 기본계획(2019-2023).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권난주, 안재홍(2011). 이동과학차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현장과학교육학회지, 5(2), 164-173.
  3.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216-225.
  4. 명전옥(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5.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6. 박영신, 문공주, 황요한(2019).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74-290.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74
  7. 신명렬, 이용섭(2011).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20-31. https://doi.org/10.15523/JKSESE.2011.4.1.020
  8. 우연택(2009). 교육격차 분석 및 교육복지 향상방안 연구: 강원도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병욱(2012). 천문중심 현장체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황북기, 최정훈 (2009).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한 이동과학교실의 특징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8(1), 1-8.
  11. 이윤수, 김형범(2019).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82-9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1.82
  12. 이재호, 백상호(2015).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천문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5(5), 697-709. https://doi.org/10.9722/JGTE.2015.25.5.697
  13.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 내용 분석과 문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4. 조성호(2018). 웹 기반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미술관 연계 감상 프로그램 연구: 문화소외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하늬(2009). 전라남도 이동과학교실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채희인, 노석구(2013).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17. 허정임, 오금환, 박정한(2010).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지, 27(1), 185-203.
  18. Ausubel, D. P. (2000).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knowledge: A cognitive view.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Bronfenbrenner, U. (1977).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32(7), 513-531. https://doi.org/10.1037/0003-066X.32.7.513
  20. Jacobs,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1. Jeong, J., Kim, H., Chae, D., & Kim, E. (2014). The effect of a case-based reasoning instructional model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in climate change unit.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0(5), 427-435.
  22. Minstrell, J. (1992). Facets of students' knowledge and relevant instruction. In Duit, R., Goldberg, F., & Niedderer, H. (Eds.), Research in physics learning: Theoretical issues and empirical studies (pp. 110-128). Germany: Institute for Scienc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Kiel.
  23. Redish, E. F. (2003). Teaching physics with the physics suite. Hoboken, NJ: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