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f Tae-eum-in Prescriptions and JinYuan Era Prescriptions using Databas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태음인 처방과 금원 시기 처방 비교

  • Kim, SungWon (Dept. of Medical Clasics and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uk University) ;
  • Lee, ByungWook (Dept. of Medical Clasics and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uk University) ;
  • Kim, KiWook (Dept. of Medical Clasics and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uk University)
  • 김성원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 이병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 김기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Received : 2020.01.14
  • Accepted : 2020.01.29
  • Published : 2020.02.25

Abstract

Objectives : To compare the herbal ingredients of the prescriptions in 「Newly Selected Twenty-four Key Formulas applied to Tae-eumin(新定太陰人病應用要藥二十四方)」 chapter of the Shinchuk edition of the 『Donuisusebowon』 and those from the texts of the Four Great Doctors of the Jin Yuan period. Methods : The herbal ingredients of the 『Donuisusebowon』 and those from 『Huangdisuwen Xuanminglunfang(黃帝素問宣明論方)』, 『Lanshimicang(蘭室秘藏)』, 『Suwenbingji Qiyibaomingji(素問病機氣宜保命集)』, 『Shanghan Biaoben Xinfaleicui(傷寒標本心法類萃)』, 『Piweilun(脾胃論)』, 『Neiwai Shangbianhuolun(內外傷辨惑論)』, 『Shanghanzhige(傷寒直格)』, 『Shanghanxinyao(傷寒心要)』, 『Sanxiaolun(三消論)』 were entered into the database. Next, formulas which included the herbal combination pattern of Tae-eumin formula were determined. Results : Among the 27 Tae-eumin formulas including edited versions, those that showed similar pattern among those in the JinYuan texts were the following 12: Gegenjiejitang(葛根解肌湯), Reduohanshaotang(熱多寒少湯), Gegenchengqitang(葛根承氣湯), Gegentaichengqitang(葛根大承氣湯), Gegenshaochengqitang(葛根小承氣湯), Mahuangpobiaotang(麻黃發表湯), Bufeiyuantang(補肺元湯), Zaojiaodahuangtang(皂角大黃湯), Guadisan(瓜蒂散), Shexiangsan(麝香散), Shichangpuyuanzhisan(石菖蒲遠志散), Maimundongyuanzhisan(麥門冬遠志散).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 that 44.4% of the Shinchuk edition's Tae-eumin formula patterns could be found in the texts of the Four Masters, Dongmu's assertion that about half of the Tae-eumin formulas has been clarified by the doctors of the Song, Yuan, Ming eras could be understood as true.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욱, 김태열, 이병욱. 본초 목록을 이용한 방제의 본초구성 자동 추출 방법.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 27(3).
  2. 金斗鍾 著. 韓國醫學史. 서울. 探求堂. 1966.
  3. 김성원, 김기욱, 이병욱. 데이터베이스(DB) 를 이용한 상한론 조방의 분석.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 32(1).
  4. 김성원, 김기욱, 이병욱. 의안의 데이터베이스 구조화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7. 25(1).
  5. 김성원. 태음인 처방에 관한 연구-database를 이용한 용례분석-. 동국대학교대학원. 2019.
  6. 김정훈, 이병욱. 본초 조합을 이용한 방제의 유방분석 DB 구축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8. 21(1).
  7. 김태열, 김기욱, 김병철, 이병욱. 본초 제조공정의 DB화를 위한 형태소 분석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6. 20(1).
  8. 동의학연구소 편집. 사상의학(7). 서울. 여강출판사. 1997.
  9. 박대식, 이부균, 이병욱. 방제의 본초 중량비를 활용한 방제 비교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3. 21(2).
  10. 박찬영, 이병욱, 김기욱. 침구갑을경의 용어 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3. 26(3).
  11. 박한수, 이병욱, 이부균. 군신좌사 개념을도입한 방제 검색 및 비교 시스템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4. 22(2).
  12. 백유상. 송대 이전 한의학 처방 약물 DB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9. 22(2).
  13. 백진웅, 이병욱. 방약합편 수록 처방 내의 약물 조합 빈도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 23(2).
  14. 송영섭, 양동훈, 박영재, 박영배.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대변과 약물간의 연관성 분석.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12. 16(2).
  15. 송일병 외. 개정증보 사상의학 서문. 서울. 집문당. 2004.
  16. 오월환, 김기욱, 이병욱, 김은하. 태평혜민화제국방과 소문선명론방과 난실비장의 방제구성 비교.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 27(4).
  17. 劉完素 著, 진주표 주석. 三消論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서울. 법인문화사. 2007.
  18. 劉完素 著, 진주표 주석. 傷寒標本心法類萃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서울. 법인문화사. 2007.
  19. 劉完素 著, 진주표 주석. 素問病機氣宜保命集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서울. 법인문화사. 2007.
  20. 劉完素 著, 진주표 주석. 黃帝素問宣明論方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서울. 법인문화사. 2007.
  21. 李杲 著, 진주표 주석. 蘭室秘藏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서울. 법인문화사. 2007.
  22. 李杲 著, 진주표 주석. 脾胃論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서울. 법인문화사. 2007.
  23. 李濟馬 著, 권건혁 편집. 辛丑本東醫壽世保元 <李濟馬全書>. 서울. 반룡. 2002.

Cited by

  1. 태음인 처방의 본초 조합 용례 분석 - 중요 고문헌을 중심으로 - vol.33, pp.1, 2020, https://doi.org/10.15521/jkmh.2020.3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