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xual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s and Insight on Unfinished through Psychodrama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성폭력 행위자들의 성경험역사와 아동기외상의 통찰에 관한 현상학 연구

  • Received : 2020.03.31
  • Accepted : 2020.04.23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study has verified the process of helping actors recognize their sexual problems linked to sexual violence cases through early sexual experience history, and exploring and insighting the stuck feelings of sexual violence actors through psychodrama, which focuses on expressing behavior and emotion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ivided into sexual violence cases and perceptions of actors, actual insights through psychodrama, and dealt with past biblical history related to actors' events and events, exploration of childhood trauma, and insights and changes in emotions through psychodrama.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y showed low self-understanding levels and frequent use of defense mechanisms against sexual violence cases in an environment related to cases involving sexual offenders, and were aware of the problematic factors affecting the cases in the course of their daily lives, but did not take them seriously. Second, there were many distorted masculinity and adult sites related to participants' biblical experience history. In the early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it was often viewed as a sexual object rather than an emotional exchange with a lover, and the contents of the initial Bible experience were linked to actual sexual violence cases committed by participants. Third, childhood trauma of participants through psychodrama led to rapidly changing family circumstances and abuse by fathers. Fourth, the actual content of emotions represented by anger in the early stages of psychodrama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rocess of sadness, pain, regret and longing for a departing mother leading to objective insight into emotions through the catharsis process.

본 연구는 행위자가 성폭력 사건과 연결된 자신의 성적문제를 초기성경험역사를 통해 인지하도록 돕고, 행동과 감정의 표현에 중심을 두는 사이코드라마를 매개체로 성폭력 행위자들의 고착된 감정을 탐색하고 통찰하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연구문제는 행위자들의 성폭력 사건과 인지,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실제적인 통찰의 과정으로 나누어서 구성되었으며 행위자들의 사건, 사건과 관련한 과거의 성경험역사와 아동기 외상의 탐색,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감정의 통찰과 변화를 다루었다. 연구를 기반으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 행위자들의 사건과 관련된 환경에서 낮은 자기이해 수준과 성폭력 사건에 대한 잦은 방어기제 사용을 보였으며, 일상생활의 과정에서 사건에 영향을 주는 문제적 요인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의 성경험역사와 관련하여 왜곡된 남성성과 성인지가 많이 나타났다. 초기 성행위 경험에서 연인과의 감정적 교류보다는 성적인 대상으로서 보는 경우가 많았으며, 초기 성경험의 내용은 참여자들이 저지른 실제 성폭력 사건과 연결되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참여자들의 아동기 외상은 급격히 변화한 가정환경과 아버지에 의한 학대로 연결되었다. 넷째, 사이코드라마의 초기 과정에서 분노로 대변되는 감정의 실제 내용은 슬픔이나 고통, 아쉬움, 떠나는 모친에 대한 그리움은 카타르시스 과정을 통해 감정에 대한 객관적인 통찰로 연결되는 과정을 밝힌 것에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순(2009). 여대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모형구축,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고영애(2002), 심리극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공성숙, 배재현(2013), 아동기의 심리적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와의 관계에서 집단 따돌림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제 22호, 193-204.
  4. 공수자(2003), Newman의 실무연구방법론을 근거로한 성폭력 피해자의 건강경험,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이해, 서울:학지사.
  6. 김수동, 이우경(2003), 사이코드라마의 치료적 측면,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제1호, 109-132.
  7. 김수동, 이우경(2004), 사이코드라마의 이론과 적용, 서울:학지사
  8. 김태명(2011), 성폭력범죄의 실태와 대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제87호, 5-44.
  9. 김영환, 정상문, 홍상황, 박은영(2002), 수형자의PAI 프로파일과 범법행위 예언지표, 한국심리학회,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 21호, 941-954 .
  10. 김은영(2012), 여성청소년의 성적학대경험. 가출. 폭력적 비행. 그리고 성관련 비행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교정담론, 제 6호, 233-272..
  11. 김은혜(2009), 사이코드라마가 주는 자기개방 및 상담의 효과분석,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 12호, 41-54
  12. 김응지(2012), 부부강간죄의 체계적 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혜(2011). 아동기 성폭력 경험의 회복 과정에 간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14. 김헌성(2011),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 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14호, 1-14.
  15. 박수병(2015), 사이코드라마의 치료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윤주(2017). 연극을 활용한 청소년 여성폭력 인식개선 방안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7. 박희석(2002), 대학생 우울집단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와 사이코드라마의 치료 효과,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18. 박희석․, 임수진(2002).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 우울집단의 우울. 사회적지지. 자존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 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 5호, 93-115.
  19. 엄정순(2009). 성폭력행위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 여성가족부(2010), 성폭력 가해자 교정.치료 프로그램 매뉴얼, 여성가족부
  21. 여운철, 박정일, 윤정숙(2011). 성범죄자 재범방지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개발연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제 12호 1-4
  22. 유재두(2009). 성범죄자와 일반인의 성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유재두, 송병호(2009). 성범죄자와 일반인의 강간통념 비교연구, 한국공안 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 36호, 135-165
  24. 윤일수(2012), 사이코드라마의 개입과 치유 효과,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 제 37호, 85-116.
  25. 윤일수(2015). 소시오드라마를 통한 성의식의 변화양 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성폭력 가해자 교정.치료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사이코 드라마,소시오 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 18호, 33-57.
  26. 이정희(2003). 심리극을 경험한 대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의 변화분석,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 6호, 15-40.
  27. 전은희(2004), 사이코드라마가 미혼모의 우울.충동성.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조미경(2014). 청소년 우울감소를 위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조은숙(2018). 사이코드라마 현장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경험과정,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논문.
  30. 천해리(2018).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경험과 적응에 관한 현상학 연구,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최명기(2012), 트라우마테라피-심리학, 상처입은 마음을 어루만지다, 서울: 좋은책만들기
  32. 최헌진(2010), 사이코드라마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3. 채규만(2006), 성행동심리학, 서울: 학지사.
  34. 홍숙선(2014). 성폭력 가해대상에 따른 대상관계 차이 분석,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esk Reference To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SM-5. 권준수 번역(2018). DSM-5 간편 정신질환 진단통계편람. 서울: 학지사
  36. Bell hooks(2004), The Will to Change. 이순역 번역(2017). 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 서울: 책담
  37. Eva Leveton(2010). Healing Collective Trauma Using Sociodrama and Drama Therapy, 박우진 외(2015)번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38. Tian Dayton(2004). The Living Stage. 김세준 번역 (2012). 상담 및 집단치료에 활용하는 사이코드라마. 서울: 시그마프레스.
  39. Jacob Levy Moreno, Zerka T. Moreno(2011). Psychodrama - Second Volume. 손창선 외 번역 (2015). 사이코드라마-정신치료의 토대. 서울: 아카데미아.
  40. John Bowlby(1988),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김수임 외 번역(2014). 존 볼비의 안전기지-애착이론의 임상적 적용. 서울: 학지사.
  41. Zerka T. Moreno(2000). Psychodrama, Surplus Reality and the Art of Healing. 황헌영 번역(2005). 사이코드라마와 잉여현실. 서울: 학지사
  42. Zoran Djuric. (2006). Psychodrama: A Beginner's Guide. 최윤미 번역(2007). 사이코드라마가이드. 서울: 시그마프레스
  43. Adam Blatner(1973), Acting-in; Practical Applications of Psychodramatic Method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44. Clark Moustakas(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45. Groth.A.N, Birnbaum.H. (1979), Men who rape: The psychology of the offender. New York: Plenum Press.
  46. Hall G.C.N, Hirschman, R.(1991). Toward a theory of sexual aggression A quadripartite mode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2-669
  47. Kellermann. P. F(1985).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rapeutic factors in psychodrama. Journal of Group Psycotherapy. Psychodrama & Sociometry. 123-132.
  48. Kellermann. P. F(1992). Focus on psychodrama: Therapeutic aspects of psychodrama. London: Cromwell Press.
  49. Murphy,W.D, Barbaree, H.E(1994). Assessment of sex Offenders by Measures of Erectile Respons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Decision Making, Safer Socity Press. Brandon
  50. Roger. K. F(1981). The effects of psychodrama and group therapy on emotional state. Biola College
  51. Woodworth M1, Freimuth T, Hutton EL, Carpenter T, Agar AD, Logan M.(2013). High-risk sexual offenders: an examination of sexual fantasy, sexual paraphilia, psychopathy, and offence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