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andscape Improvement in Rural area : Focu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rural household's garbages and farming wastes

농촌지역 주거환경 및 경관개선을 위한 기초적 연구 : 농촌 생활쓰레기 및 농업폐기물 처리 실태에 관한 고찰

  • Han, Ju-Heon (School of Industrial Design &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TECH) ;
  • Kim, Ji-young (School of Industrial Design &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TECH) ;
  • Kim, Tae-Ik (School of Industrial Design &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TECH) ;
  • Park, kwang-Bum (School of Industrial Design &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TECH)
  • 한주헌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건축공학부) ;
  • 김지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건축공학부) ;
  • 김태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건축공학부) ;
  • 박광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건축공학부)
  • Received : 2019.10.22
  • Accepted : 2020.02.07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aspects of rural villages, which are based on agriculture, to regenerate a disappearing rural village. The lifestyle and living conditions in this area were examined and the field survey of this area was carried out. The main negative factors at the rural landscape and living environment, such as rural households garbage, compost piles, and farming wastes, were found. An improvement plan of the landscape in this area was then determined. The disposa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garbage types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with the residents directly. Through this survey, the current negative factors in landscape were checked and various improvement methods were assessed. Based on this, an institutional framework about landscape improvement of a village was developed, and a fundamental resource that can improve the environment of rural communities by this system is suggested.

본 연구는 도시 집중화에 밀려 점점 축소되고 사라져 가는 농촌의 재생을 위하여 농사를 주업으로 생활해 오고 있는 전통적인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도시생활에 비하여 거주여건이 불편하고 정비되어 있지 못한 농촌지역의 생활공간, 환경 및 정주 여건을 현재의 농촌환경 및 경관의 측면에서 문제점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농촌 지역주민들의 생활공간을 직접 관찰 조사하고 경관 및 환경의 저해요인으로 나타나는 내용을 파악, 정리하고 이들과 지역주민들과의 상관성, 정주 여건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농촌 경관 및 거주환경의 주된 저해요인으로 파악된 생활 쓰레기의 부적절한 처리, 두엄의 존재, 여기저기 쌓여있는 각종 쓰레기더미 및 영농폐기물 등에 대한 현황을 현장 조사하고 이에 대한 처리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마을주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의 쓰레기처리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쓰레기의 유형별 처리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농촌 마을 경관 및 환경 저해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 살기 좋은 농촌 마을, 생활공간으로의 재생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 S. Park, 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Preference of Rural Villag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P103-108, Feb 2018. https://doi.org/10.14577/kirua.2014.16.1.103
  2. H. C. Park, Rural village plan on Consideration of Rural landscape and Localism,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of Architectural Design. 2008.
  3. Jun, J. H., Jeju clean house 10 years. "The convenience of wastes discharge and, Consideration of Urbanscape "atoz@yna.co.kr Associate news, 2016
  4. Japan, hayama-machi, "Hayama-machi waste treatment master plan", Environmental Division in Hayama-machi, 2018.
  5. Hosiyama Yukio, sizentono kouseito machitukuri, hokuju Publishers, 2005.
  6. Cheongju City Sangdang ku, homehage, waste discharge method, http://www.cheongju.go.kr/sangdang/contents.do?key=998, June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