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lation Criteria of ENFU SIN, DAL, AH on the Translation Methodology of Myeongri Classical

명리고전(命理古典) 번역(飜譯) 방법론(方法論)에 관한 엄복(嚴腹)의 신(信)·달(達)·아(雅)의 번역 기준 연구(硏究)

  • Received : 2019.12.17
  • Accepted : 2020.01.15
  • Published : 2020.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examples of a group of interpretations while biased toward the translation of the manuscripts of Myeongnology, and to apply the criteria of the translation of the manuscripts of Myeongnology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SIN(信), DAL(達), and AH(雅) of EOM-BOK. Since the original author's intention should be faithfully reflected,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book should b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required at that time based on the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SIN(信), the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DAL(達) and the AH(雅)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gant interpretation. Translation i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implementing equivalence in the intentions of the original author, so the equivalence of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get language should be observed even in the differences of expression. Up until now, the question of the translation of the nouns has mainly focused on the translation of the stylistic system by focusing on trying to overcome the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language. Translation now requires the implementation of semantic equivalence as well as primarily a stylistic approach. This researcher wanted to open a new horizon for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n Myong-hak by presenting a standard for the translation of robes that achieve the intent and equivalence of the original author in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본 논문의 목적은 명리학의 원서 번역에 있어서 직역과 의역에 편중을 두다가 해석의 무리를 범한 예를 찾아서 그에 대해 엄복의 신·달·아(信·達·雅)의 기준에 맞추어 명리학의 원서 번역의 기준을 새롭게 적용하여 보았다. 원서번역은 기본적으로 원 저자의 의도가 충실히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신(信)에 해당하는 직역과 달(達)에 해당하는 의역 그리고 우아한 해석에 해당하는 아(雅)를 기준으로 그때그때 필요한 해석에 적용되어야 한다. 번역은 원 저자의 의도에 등가성 구현이 가장 큰 목적이므로 표현의 상이성 속에서도 출발언어와 도착언어의 등가성은 지켜져야 한다. 지금까지 명리학 번역에 관한 문제는 주로 언어 구조적 차이를 극복하려는데 치중을 하여 주로 문체론적 번역에 치중을 하였다. 이제는 번역은 문체론적 접근뿐만 아니라 의미적 등가성 구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원서 번역에서 원 저자의 의도와 등가성을 잘 이룰 수 있는 엄복의 번역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명리학의 고전 문헌 연구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승.김현덕(2017), 滴天髓闡微, 다산글방
  2. 김기승.나혁진(2018), 명리학사, 다산글방
  3. 김동규(2012), 完譯 滴天髓闡微, 명문당
  4. 김정혜.서소옥.안명순(2013), 滴天髓闡微 上,下, 이담북스
  5. 김효중(1998), 번역학, 민음사
  6. 남기심.고영근(2017), 표준 국어문법론, 도서출판 박이정
  7. 예광해(1999), 滴天髓闡微 상,하, 도서출판 지남
  8. 이석규 외 5인 공저(2002), 우리말답게 번역하기, 역락
  9. 이선종(2003), 적천수천미 해설강의 상,하, 도서출판 장원
  10. 임정환(2006), 제대로 보는 滴天髓闡微 1,2,3,4, 원제역학연구원
  11. 예광해(1998) 적천수천미. 서울: 도서출판
  12. 최기천(2014), 중국어 번역법, 학고방
  13. 최정화(2001), 통역/번역 노하우, 도서출판 넥서스
  14.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5. 문학비평용어사전, 2006. 1. 30. 한국문학평론가협회
  16. 漢韓大字典 (1982), 민중서림
  17. 任鐵樵 增注. 袁樹珊 撰集, 滴天髓闡微, 武陵出版有限公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