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ustaina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사회적 협동조합의 특성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9.12.20
  • Accepted : 2020.01.13
  • Published : 2020.01.31

Abstract

Korea's social cooperatives were enacted by law in December 2012. However, it is in the process of being settled and has not been established institutionally. So social cooperatives are fai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se failures. To this end, this study distinguished between co-operatives and social co-operatives.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were identified. That is why we want to help our social cooperatives in Korea. The result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domestic social co-operatives to be sustainable, the seven principles of co-operatives must be observed. In particular, the sixth principle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form a social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o communicate with local cooperatives. Their communication is less likely to fail because they can share management support information, education, promotion, and strategie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plan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government but also to general enterprises in order to support social co-operatives. Third, related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designed and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to promote social cooperatives. Fourth, public relations should be promoted through campaigns to inform the public that the meaning of social cooperatives is for the public good. In addition, the government needs to build a program that fosters professionals who can foster social co-operatives. In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s possible ways to develop social co-operatives in Korea, and provides support to the Korean government.

한국의 사회적 협동조합은 2012년에 법으로 제정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정착되는 과정에 있으며 제도적으로나 개념적으로 확립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사회적 협동조합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패를 좀 더 줄이고자 본 연구는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의 차이점과 특성, 개념을 파악하여 한국의 사회적 협동조합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사회적 협동조합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협동조합의 7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제6원칙에서 사회적 협동조합의 연합회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협동조합 간 소통을 통해서 경영지원 정보와 교육, 홍보, 전략 등을 공유함으로써 실패하는 확률을 낮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사회적 협동조합의 판로지원을 위해 정부차원뿐만 아니라 일반기업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협동조합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의 관련정책이 통합적으로 설계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해 사회적 협동조합의 의미가 공익에 목적이 있음을 알리는 캠페인을 통해서 대중에게 홍보를 해야 하며, 정부는 사회적 협동조합을 육성할 수 있는 정책전문가 육성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의 사회적 협동조합의 지속가능한 방법과 정부의 지원책 등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협동조합에게는 내부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정부에게는 지원책에 관한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협동조합연구소(2014), 제1회 협동조합정책 열린세미나, 정부의 공공시장 확대정책과 협동조합의 진입방안 자료집.
  2. 류창호(2015), 협동조합기본법상 협동조합의 조직과 구조, 아주법학, 8(4), 287-320.
  3. 이준호.김동준.장승권(2013), 협동조합의 핵심역량과 신뢰기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 전략: 충북괴산군 불정농협 사례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 대회 논문집.
  4. 박광동(2015), 사회적협동조합의 현황과 법적 과제. 아주법학, 9(3), 63-86.
  5. 김복태.이은국.정수형(2013)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에 따른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캐나다 퀘벡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57-84.
  6. 나카가와 유이치로(2002) 협동조합 운동의 새로운 조류: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과 영국 커뮤니티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학회, 20(1), 127-136.
  7. 이희완(2013), 우리나라 사회적 협동조합의 제도적 특성과 과제. 제도와 경제, 7(2) 205-225.
  8.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이트 http://www.socialent erprise.or.kr/index.do
  9. 김신양(2012),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열린 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생협평론 (7), 24-38.
  10. 강민수(2012),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협동조합, 도시문제, 통권 (527), 19-24.
  11. 강민수(2014b), 왜 협동조합 교육인가? 협동조합네트워크 통권 (64), 15-25.
  12. Carlo Borzaga(2012), The Concept and Practice of Social Enterprise. Lessons from the Italian Experience,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Research, 2(2), 85-102. https://doi.org/10.1515/irsr-2012-0019
  13. 장종익(2014), 협동조합 비지니스 전략 : 협동조합의 개념⋅비지니스 모델.사례, 서울: 동하: 디자인커서.
  14. 장종익(2011), 협동조합의 규모화와 조직전략, 한국협동조합연구, 29(2), 17-38. https://doi.org/10.35412/KJCS.2011.29.2.002
  15. 김기태(2012), 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적 기업 활성화에 대한 비전, 카리타스 사회적 기업 심포지엄발표 자료집, 15-38.
  16. 이철진(2017), 돌봄사회서비스와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응성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미형(2014),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3(3), 91-119.
  18. 장종익(2013), 이탈리아, 몬드라곤, 프랑스 노동자 협동조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협동조합연구, 31(2), 209-230.
  19. 송재일(2014), 협동조합법제에서 협동조합간 협동: 협동조합 섹터의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협동조합경영연구, 40(0), 35-71.
  20. 임선희(2016), 사회적 협동조합 방식의 돌봄서비스 공급에 대한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강예은(2014), 한국 사회적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요소의 추출과 사례적용,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논문.
  22. Zamagni, S. and Zamagni, V. (2009), La Cooperazione, 송성호 옮김(2012), 협동조합으로 기업하라 ,한국협동조합연구소: 북돋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