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ustaina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
Du, Cheng-L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ang, Sug-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Bae, Sung-Pil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Choi, Ho-Gyu (Kongju National University) |
1 | 장종익(2013), 이탈리아, 몬드라곤, 프랑스 노동자 협동조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협동조합연구, 31(2), 209-230. |
2 | 송재일(2014), 협동조합법제에서 협동조합간 협동: 협동조합 섹터의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협동조합경영연구, 40(0), 35-71. |
3 | 임선희(2016), 사회적 협동조합 방식의 돌봄서비스 공급에 대한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 | 강예은(2014), 한국 사회적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요소의 추출과 사례적용,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논문. |
5 | Zamagni, S. and Zamagni, V. (2009), La Cooperazione, 송성호 옮김(2012), 협동조합으로 기업하라 ,한국협동조합연구소: 북돋움. |
6 | 한국협동조합연구소(2014), 제1회 협동조합정책 열린세미나, 정부의 공공시장 확대정책과 협동조합의 진입방안 자료집. |
7 | 류창호(2015), 협동조합기본법상 협동조합의 조직과 구조, 아주법학, 8(4), 287-320. |
8 | 이준호.김동준.장승권(2013), 협동조합의 핵심역량과 신뢰기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 전략: 충북괴산군 불정농협 사례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 대회 논문집. |
9 | 박광동(2015), 사회적협동조합의 현황과 법적 과제. 아주법학, 9(3), 63-86. |
10 | 김복태.이은국.정수형(2013)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에 따른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캐나다 퀘벡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57-84. |
11 | 김신양(2012),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열린 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생협평론 (7), 24-38. |
12 | 나카가와 유이치로(2002) 협동조합 운동의 새로운 조류: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과 영국 커뮤니티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학회, 20(1), 127-136. |
13 | 이희완(2013), 우리나라 사회적 협동조합의 제도적 특성과 과제. 제도와 경제, 7(2) 205-225. |
14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이트 http://www.socialent erprise.or.kr/index.do |
15 | 강민수(2012),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협동조합, 도시문제, 통권 (527), 19-24. |
16 | 강민수(2014b), 왜 협동조합 교육인가? 협동조합네트워크 통권 (64), 15-25. |
17 | 김기태(2012), 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적 기업 활성화에 대한 비전, 카리타스 사회적 기업 심포지엄발표 자료집, 15-38. |
18 | Carlo Borzaga(2012), The Concept and Practice of Social Enterprise. Lessons from the Italian Experience,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Research, 2(2), 85-102. DOI |
19 | 장종익(2014), 협동조합 비지니스 전략 : 협동조합의 개념⋅비지니스 모델.사례, 서울: 동하: 디자인커서. |
20 | 장종익(2011), 협동조합의 규모화와 조직전략, 한국협동조합연구, 29(2), 17-38. DOI |
21 | 이철진(2017), 돌봄사회서비스와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응성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2 | 조미형(2014),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3(3), 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