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asons fo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of the Work-Learning Parallel Program

중소기업 일·학습병행제의 훈련 참여 이유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9.12.23
  • Accepted : 2020.01.13
  • Published : 2020.01.31

Abstract

In this study, parallel work-learning training, which was started in 2013 as a pre-employment promotion polic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raining. As a time when variou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encourage company participation,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work-learning parallel.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parallel work-learning in Chungn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ason for the company's participation in parallel work-learning was firstly, 84% of government subsidy received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Second, 66% of workers were able to pay less than regular workers, and thirdly, it was easy to hire new employees in the field. 26%, 17% of them were invited by acquaintances for no particular reason.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participation in the work-learning parallel training contributes to the management costs, management of employee turnover,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ests and estimates by conducting studies on regions, occupations, gender, wages, and years of service in Korea.

본 연구는 2013년에 선 취업 후 진학 정책으로 시작된 일·학습병행 훈련은 많은 기업참여가 훈련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업참여 장려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시기로서 본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에 참여 기업의 참여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에서 일·학습병행에 참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참여이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인과 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기업의 일·학습병행 참여 이유로 첫째, 교육훈련비 등 정부지원금 수령이 84%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로, 일·학습병행 근로자가 일반근로자보다 급여를 적게 줄 수 있어서가 66% 나타났으며, 셋째로는 현장직의 신입 사원 채용이 용이해서가 51%,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인력을 양성이 필요해서 26%로, 특별한 이유는 없이 지인 등의 권유가 17%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일·학습병행제 훈련참여가 경영의 운영비, 직원의 이직관리, 인력양성 등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을 전국을 대상으로 지역별, 직종별, 성별, 임금별, 근속연수별 등의 연구를 실시하여 검정과 추정을 세분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임경화.박윤희.장경택.김나연(2014),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육성 및 제도화 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
  2. 김은수.임상호(2016), ",중소기업의 자격부여형 일.학습병행제 참여가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1권 2호, pp.95-101. https://doi.org/10.21186/IPR.2016.1.2.095
  3. Becker, G. S. (1964).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 강원석(2019), "일.학습병행제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업무몰입,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찬준(2017),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중도 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http://news1.kr/articles/?3686937
  7. https://c.q-net.or.kr/cmn/info/comContentsPage.do?contentsId=A20B10C10.
  8. 한국산업인력공단 http://www.hrd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