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객관식 선다형문항에서 추측이 정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uessing on the Correct Answer in a Multiple Choice

  • 투고 : 2020.01.20
  • 심사 : 2020.01.29
  • 발행 : 2020.01.31

초록

학생의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항들이 평가도구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 선다형 문항은 채점에 있어서 객관성과 신뢰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지만 추측의 요인을 제거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선다형 문항을 질문지와 선택지 사이의 관계에 따라 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하나는 선택지 k개에 대해 추측의 확률이 1/k인 기존의 고전검사이론에서 사용하는 유형이며 다른 하나는 부분적 지식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유형이다, 제안한 유형에서 부분적 지식의 개수가 i일 때 추측의 확률을 (i+1)/k인 유형이다. 기존 이론에서의 문항 추측도를 기초하여 제안된 유형에 대한 문항 추측도를 유도하였다. 이를 기존의 유형과 제안된 유형에서 추측이 정답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분석하였다. 이는 제안된 유형이 기존의 유형보다 문항 추측도가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Various items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that identify the student's abilities accurately to confirm the completion of learning. Among them, the multiple choice item has the advantages of high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scoring, but it cannot remove the factor of guessing. In this paper, the multiple choice item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estionnaire and the choices. One is the type used in the classical test theory with the probability of guessing 1/k for k choices and the other is the novel proposed type which introduces the concept of partial knowledge. In the proposed type, the probability of guessing when the number of knowledge i is (i+1)/k for k choices. Based on the assumptions of the previous theories about multiple choice items, we derive the guessing parameter about the proposed type. And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guess on the correct answer in the existing type and the proposed type. This shows that the proposed type has more question guessing than the existing type.

키워드

참고문헌

  1. J. Miles (1973). Elimination The Guessing Factor in The Multiple Choice Tes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3. 637-651. https://doi.org/10.1177/001316447303300313
  2. https://ko.wikipedia.org > wiki > 고전검사이론.
  3. 이종성 (1986),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교육평가연구, 제 1권 1호, 183-194
  4. 성태제 (1991), 문항반응이론, 양서원, 서울
  5. https://ko.wikipedia.org > wiki > 문항반응이론.
  6. 한영식.김명소 (2014), 선다형 적성검사에서의 선택지 위치, 선택지 지문 길이와 문항진술유형에 따른 문항 특성 차이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15권 제6호, 3609-36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6.3609
  7. 이태욱.최현종 (2015). 정보교과교육론. 한빛아카데미.
  8. 김종서 외 3 (2007),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9. Klaus D. Kubinger, Christian H. Gottschall(2007). Item difficulty of multiple choice tests dependant on different item response formats - An experiment in fundamental research on psychological assessment. Psychology Science, 49. 361-374.
  10. Jay L. Devore (1990).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ing and the Science, 3rd, Brooks/cole,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 of elimination of the choice by partial knowledge on the guessing parameter in the selection-type item vol.24, pp.4, 2021, https://doi.org/10.29221/jce.2021.24.4.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