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바다와 하늘에서의 국가관할권 침해에 대한 제한적 대응의 국제법적 의의

Moderate Response to Infringements on Maritime and Airspace Jurisdiction and Its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 김여은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Kim, Yeo-Eun (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 International Relations)
  • 투고 : 2020.01.09
  • 심사 : 2020.01.30
  • 발행 : 2020.02.28

초록

강대국에 의해 둘러싸인 한국의 바다 및 하늘 관할권은 이웃국가들로부터의 빈번한 침범에 노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은 매우 "점잖은" 것에 머물고 있다. 왜 한국은 국가관할권의 침해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함에 그치는 것인가? 그 대답은 국제법에 있다. 이 글은 바다 및 하늘에서의 국가관할권에 대한 국제법 상 제한의 내용을 살펴보고, 국제공동체의 평화와 공영을 위해 국제법이 국가관할권에 일정 한계를 설정하며, 무력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불가피함을 확인한다. 그렇다면 국제법은 국가관할권의 수호를 방해할 뿐인가? 이 글은 국제법이 약소국의 국가관할권 수호에 힘이 되어줄 수 있으며, 그 과정에 전략적·외교적 노력이 요구됨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노르웨이와 필리핀이 국제법 제도를 통해 자국의 주장을 관철시킨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에게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겠다.

Surrounded by powerful states, Korean maritime and airspace jurisdiction is constantly exposed to intrusions by its neighbors. Korean government has been, however, exercising significant degree of moderation in response to the occasions. This is where my research starts off: why does Korean government implement only mild measures, which sometimes seem to be insufficient, to infringements on maritime and airspace jurisdiction? I found the answer from the principles and rules of international law: to promot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placed limitations on state rights and prohibited use of force. This point will be elaborated in the paper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restriction and the history of the relevant principles.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I explore what strategy could be employed by a state to protect its jurisdiction under present international legal regime. Interestingly, international law, which restricts state jurisdiction, at the same time provides opportunities for lesser powers to protect their state jurisdiction. In the meantime, diplomatic efforts are required. I offer examples of Norway and Philippines, who successfully upheld their arguments against powerful states via international legal regim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순, 국제법론(제19판) (서울: 삼영사, 2017).
  2.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이론과 사례(제9판) (서울: 박영사, 2019).
  3. 김부찬, 국제법 특강: 국제법의 쟁점 및 과제 (서울: 보고사, 2014).
  4. Martin Dixon, Textbook on International Law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Michael Akehurst, A Moder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London; Boston: Allen & Unwin, 1984).
  6. Norman Rich, Great Power Diplomacy since 1914 (Boston: McGraw-Hill, 2003).
  7. L.F.L. Oppenheim, "International Law: Volume I, Peace." in R. Jennings and A. Watts eds, Oppenheim's International Law (Harlow, Essex, England: Oxford, 1992).
  8.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9. 박윤일.정삼만, "미.중 해양패권 경쟁과 '회색지대전략'," KIMS Periscope 제142호 (2018).
  10. 안한별, "독도의 실효적 지배와 해양 전략자산으로서의 국제법," Strategy 21 통권 제38호(2015).
  11. 이기수.최진혁,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응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5권 제3호(2016).
  12. 이인희, 방공식별구역에 관한 국제법적 연구: 한반도와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5).
  13. 정봉규, "중국 어선의 불법조업에 대한 우리나라 수산자원의 보호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8권 제6호(2016).
  14. "일본 독도 위협 증가... 日 순찰 함정 독도 출현 전년대비 30%$\uparrow$," 세계일보 (2019.9.19).
  15. "'다케시마 영유권 침범' 난데없이 끼어든 일본," 경향신문 (2019.7.23).
  16. "서해 NLL 해상 불법조업 중국어선 작년보다 61% 증가," 연합뉴스 (2019.7.16).
  17. "볼턴 방한 날, 의도된 도발... 러.중 군용기 7시간 KADIZ 넘나들어," 경향신문 (2019.7.23).
  18. "北이 쏜 단거리 미사일 2발, 중.러 KADIZ 침범지점 떨어졌다," 중앙일보 (2019.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