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주변국 입장, 한국 해군에 대한 함의

The Stances of Neighboring States to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Navy

  • 투고 : 2020.01.09
  • 심사 : 2020.01.30
  • 발행 : 2020.02.28

초록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의"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언급 후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2019년에 미 국방부는"인도·태평양 전략", 미 국무부는"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 공동 비전 추구"를 발표했다. 미국 외교/안보의 핵심인 국방부와 국무부에서 짧은 기간(약 6개월) 내 동일한 전략 (인도·태평양 전략) 을 구체화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한 것은 이례적이다. 미 국방부와 국무부 보고서에서 미국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구현을 위해 미국 자체의 노력 뿐만 아니라 동맹 및 파트너국의 협력과 책임분담, 동참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태평양 주변 국가들은 자국의 이익에 따라 적극 참여 또는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동참 요구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결정함에 있어 참고사항이 될 수 있는 주변국의 입장과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시 장·단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인도·태평양"이라는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뒷받침하는 주요 수단은 해군력이 될 것이므로,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한국해군의 역할을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In 2019,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and the U.S. Department of State issued two reports to announce their plan to fulfill "free and open Indo-Pacific". Two reports commonly insisted on the support and participation from allies and partners to maintain security and stability in the Indo-Pacific. In response to this, neighboring states in the Indo-Pacific, including Japan, Australia, India, ASEAN, and Taiwan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stances based on their national interests. South Korea, too, has not clearly announced its position because they need to consider the alliance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is report focuses on the stances of neighboring states to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expected pros and cons of the participation of the strategy.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name of strategy, the Indo-Pacific, naval power will be a main instrument to implement the strategy. Thu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role of naval power in the Indo-Pacific strategy.

키워드

참고문헌

  1. 송은희. 인도.태평양 시대 '동아시아 지역주의' 가능성과 한계.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8.
  2. 우정엽. 미.중 패권전쟁 하 한반도 안보 :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9.
  3. Australian Department of Defense. 2016 Defense White Paper. https://www.defence.gov.au/WhitePaper/Docs/2016-Defence-White-Paper.pdf(검색일: 2019년 11월 1일).
  4. Harold et al. The Thickening Web of Asian Security Cooperation Deepening Defense Ties Among U.S. Allies and Partners in the Indo-Pacific. https://www.rand.org/pubs/research_reports/RR3125.html (검색일 : 2019년 11월 15일).
  5. Ian Speller. Understanding Naval Warfare. New York: Routledge, 2014.
  6. John Mearsheimer.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New York: W.W Norton & Company, Inc., 2001.
  7. U.S. Department of Defense. Indo-Pacific Strategy Report. https://www.state.gov/wp-content/uploads/2019/11/Free-and-Open-Indo-Pacific-4Nov2019.pdf (검색일: 2019년 9월 30일).
  8. U.S. Department of State. A Free and Open Indo-Pacific: Advancing a Shared Vision. https://www.state.gov/a-free-and-open-indo-pacific-advancing-a-shared-vision(검색일: 2019년 11월 4일).
  9. 강선주. "미국의 인도-태평양 구상" 실현과 전망."IFANS FOCUS (2018년 6월 15일).
  10. 권태환. "미국의 인도.태평양 정책이 한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자유 제534호 (2018년 2월).
  11. 김정현, 김을영. "중국의 해양패권도전과 미국의 대응전략." 한국해양안보논총 제2권 제1호 (2019년 6월).
  12. 김현욱.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IFANS FOCUS (2019년 6월 18일).
  13. 박창권. "트럼프 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전략논단 제27호 제2호(2017년 봄/여름).
  14. 설인효.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전개방향과 시사점." 국방논단 제1740호 (2019년 1월 7일).
  15. 신성호.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대응." 군사논단 제95호(2018년 가을).
  16. 이대우.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반도." 정세와 정책 제12호(2019년 7월 2일).
  17. 유상범.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정책 : 현상진단과 전망." 국방연구 제62권 제2호 (2019년 6월).
  18. 이상엽. "미 인도.태평양 전략의 국제정치학적 해석." Strategy 21 제45호(2019년 8월).
  19. 이상현.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국제정세 및 한반도에 대한 함의." 국가전략 제24호 제2호(2019년 여름). https://doi.org/10.35390/SEJONG.24.2.201805.002
  20. 이수형.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과 우리의 전략적 방책." Issue Briefing 제17-23호(2017).
  21. 최원기. "인도-태평양 전략'의 최근 동향과'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IFANS FOCUS (2018년 9월 4일).
  22. 최원기. "최근 인도의 외교전략." IFANS FOCUS (2019년 8월 9일).
  23. 하영선, 전재성. "인도.태평양을 둘러싼 미.중의 포석 전개와 한국의 4대 미래 과제." EAI 논평 (2019년 6월 25일).
  24. Ashley Leeds and Sezi Anac. "Alliance Institutionalization and Alliance Performance." International Interactions, Vol. 31, No, 3(2005).
  25. Brian Harding. "The Trump Administration's Free and Open Indo-Pacific Approach." Southeast Asian Affairs, Vol. 2019(2019).
  26. David Scott."The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of Japan's 'Indo-Pacific' Strategy." Journal of Asian Security and International Affairs, Vol. 6, No. 2(2019).
  27. Denny Roy. "Taiwan's Potential Role in the Free and Open Indo-Pacific Strategy: Convergence in the South Pacific." NBR Special Report, No. 77(2019년 3월).
  28. Rory Medcalf. "Indo-Pacific Visions : Giving Solidarity a Chance." Asia Policy, Vol. 14, No. 3(2019년 7월).
  29. Valery Kistanov. "Japan's Indo-Pacific Strategy as a Means of Containing China." Far Eastern Affairs, No. 2, Vol. 46(2018).
  30. 이서항. "미국의 '인도.태평양' 구상과 한국의 과제." KIMs Periscope 제105호 (2017년 12월 1일).
  31. 이장훈. "인도 . 태평양 전략 vs 일대일로, 문정부의 선택은?" 주간조선 (2019년 6월 10일 ).
  32. 이재현.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전략 보고서'(2019) 평가." KIMs Periscope 제162호 (2019년 6월 21일).
  33. 홍규덕.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 외교...접점 찾아야." 중앙일보 (2019년 7월 10일).
  34. Anthony B. Kim. "Why South Korea Is Key to America's Indo-Pacific Strategy." https://www.heritage.org/asia/commentary/why-south-korea-key-americas-indo-pacific-strategy(2019년 7월 22일).
  35. ASEAN. "ASEAN Economic Integration Brief." https://asean.org/storage/2019/06/AEIB_5th_Issue_Released.pdf (검색일 : 2019년 10월 8일).
  36. CIA factbook. "India." 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in.html (검색일 : 2019년 11월 10일).
  37. Howard Wang. "Taiwan's Security Role in the U.S. Indo-Pacific Strategy." The Diplomat (2019년 6월 27일).
  38. Mie Oba. "ASEAN's Indo-Pacific Concept and the Great Power Challenge." The Diplomat (2019년 7월 17일).
  39. Park Cheol Hee. "South Korea is a Hesitant, but Friendly, U.S. Ally in the Indo-Pacific." https://www.cfr.org/blog/south-korea-hesitant-friendly-us-ally-indo-pacific(2019년 3월 26일).
  40. Prashanth Parameswaran. "ASEAN's Role in a U.S. Indo-Pacific Strategy." https://www.wilsoncenter.org/sites/default/files/2018-09_aseans_role_parameswaran.pdf(2019년 10월 18일).
  41. Premesha Saha. "ASEAN's Indo-Pacific Outlook: an Analysis." https://www.orfonline.org/expert-speak/aseans-indo-pacific-outlook-an-analysis-52542 (2019년 11월 3일).
  42. Tang Siew Mun. "ASEAN Found Its Voice with the Indo-Pacific Concept." South China Morning Post (2019년 6월 24일).
  43. Teddy Ng. "US Carriers Conduct Warfare Drills in Philippine Sea to Support Free and Open Indo-Pacific." South China Morning Post (2019년 10월 12일).
  44. U.S. 7th Fleet Public Affairs. "U.S., Allied Forces Launch Inaugural Pacific Vanguard Exercise." https://www.c7f.navy.mil/Media/News/Display/Article/1855881/us-allied-forces-launch-inaugural-pacific-vanguardexercise(2019년 5월 23일).
  45. U.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the Free and Open Indo- Pacific (FOIP): Issues for Congress." https://fas.org/sgp/ crs/row/IF11052.pdf (검색일 : 2019년 11월 12일).
  46. U.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The Trump Administration's Free and Open Indo-Pacific: Issues for Congress." https://crsreports.congress.gov/product/pdf/R/R45396(검색일 : 2019년 10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