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근대 여성기독교인의 영성형성과정 연구 : 황에스터와 어윤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iritual Formation Process of Modern Christian Women : Focusing on Hwang Ester and Eo Yoon Hee

  • 투고 : 2020.11.30
  • 심사 : 2020.12.26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글은 근대 여성기독교인의 영성형성과정을 황에스터와 어윤희를 중심으로 연구한 글이다. 먼저 기독교 영성의 개념을 맥그래스(McGrath)의 정의 "기독교 영성은 진정으로 의미 있는 그리스도인의 존재에 대한 탐구이며, 기독교의 근본적인 개념들을 함께 묶어주어 삶과 연관시키는 것으로 기독교 신앙의 범위와 규범 안에서 살아가는 삶의 총체적인 경험이다"로 보며 '그리스도인의 존재'와 '총체적인 경험'에 초점을 두어 그리스도인의 존재됨은 제자됨으로, 총체적인 경험은 그 범위를 시민사회로 확장하여 시민됨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황에스터와 어윤희의 생애사를 통해 이들 여성의 영성을 제자됨과 시민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성의 제자됨과 시민됨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참된 제자됨은 바른 시민됨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article studies the spiritual formation of modern Christian women in the cases of Hwang Ester and Eo Yoon-Hee. I take McGrath's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as my starting point, namely, "Christian spirituality concerns the queset for a fulfilled and authentic Christian existence, involving the bringing together of the fundamental ideas of Christianity and the whole experience of living on the basis of and within the scope of the Christian faith." I center the terms of Christian existence and whole experience of living from McGrath's text, and understand Christian existence to relate to being a disciple and whole experience of living to relate to being a citizen. This study looks at the life history of Hwang Ester and Eo Yun-Hee, and looked at the spirituality of these women with the focus on discipleship and citizenship. Thus, I find that, for modern Christian women, becoming a disciple is inseparable from becoming a citizen. Also, I can see that, in modern women's spirituality, being a true disciple leads to becoming a right citizen.

키워드

참고문헌

  1. 3.1 여성동지회 문화부(1980). 한국여성독립운동사. 서울: 3.1 여성 동지회.
  2. 고원석 (2019). 현대 기독교교육 방법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3. 김경일 외 4인 (2015). 한국 근대 여성 63인의 초상. 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4. 김도일 (2019). 가정. 교회. 마을 교육 공동체. 서울: 도서출판 동연.
  5. 김인수 (2004).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상).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6. 김홍성 (1969). 어윤희 장로의 기념교육관. 새가정, 173, 109-111.
  7. 김현숙 (2019). 근대 초기 기독교 여성과 기독교적 여성교육. 기독교교육논총, 59, 17-58.
  8. 박상진 (2018). 기독교 교육과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9. 박용규 (2014). 평양 대부흥이야기. 서울: 한국기독교사연구소.
  10. 박용옥 (1982).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11. 박용옥 (1996). 한국 여성 항일운동사 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12. 박용옥 (2001).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서울: 지식산업사.
  13. 박용옥 (2009). 여성운동. 천안: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4. 박정신 (1997). 근대 한국과 기독교 그 만남, 물림 그리고 엇물림의 사회사. 서울: 민영사.
  15. 박찬일 (1963). 숭의 60년사. 서울: 숭의여자중고등학교.
  16. 서정자(편) (2004). 박화성 문학전집-열매 익을 때까지, 새벽에 외치다. 서울: 푸른사상.
  17. 송호근 (2013). 시민의 탄생: 조선의 근대와 공론장의 지각 변동. 서울: 민음사.
  18. 숭의100년사 편찬위원회 (2003). 숭의 100년사, 1903-2003. 서울: 학교법인 숭의학원
  19. 신형섭 (2013). 제인 밴의 상징적 예배언어가 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들. 기독교교육논총, 36, 319-341.
  20. 양금희 (2004). 영성형성의 변형적 이미지를 통해서 본 기독교교육적 변형의 과제. 장신논단, 21, 355-376.
  21. 양금희 (2018). 하나님 나라를 꿈꾸는 기독교 통일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2. 양미강 (1989). 일제하 한국 기독교 여성운동에 관한 연구: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3. 오성춘 (1989). 영성과 목회-기독교 영성훈련의 이론과 실제-.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4. 유해룡 (2009). 영성과 영성신학, 장신논단, 36, 303-331.
  25. 윤석준 (2015). 시민의 탄생: 조선의 근대화 공론장의 지각 변동. 사회과학논총, 17, 113-125.
  26. 윤정란 (2003). 한국 기독교 여성운동의 역사: 1910년-1945년. 서울: 국학자료원.
  27. 윤혜영 (1997). 기독교 여성 민족운동가 황애덕에 관한 연구-일제시대 활동을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8. 이규민 (2001). 청소년기 회심과 자아정체성 형성의 상호역동성에 관한 연구. 종교연구, 23, 117-148.
  29. 이덕주 (2013). 한국교회처음여성들. 서울: 홍성사.
  30. 이순자 (2000). 떠난 자리가 아름다운 고아들의 어머니. 믿음, 그리고 겨레사랑.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31. 이장락 (2007). 민족대표 34인 석호필: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Frank W. Schofield). 서울: 바람.
  32. 이채옥 (1962). 어윤희 여사의 생애를 더듬어. 새가정, 9(2), 52-55.
  33.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1994a). 梨花百年史(1886-1986).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34.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1994b). 이화 100년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5. 장병욱 (1979). 한국감리교 여성사, 1885-1945. 서울: 성광문화사.
  36. 장신근 (2015). 하나님 나라와 지역교회의 교육: "공적 교육공동체 모델"을 중심으로. 장신근(편), 하나님 나라와 지역교회. 143-192.
  37. 조은하 (2007). 사역회와 기독교 여성교육. 기독교교육논총, 14, 189-220.
  38. 조은하 (2014). 최용신의 농촌 계몽운동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기독교교육논총, 38, 147-171.
  39. 정상호 (2013). 시민의 탄생과 진화: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춘천: 한림대학교출판부.
  40. 정운찬 (2004). 스코필드: 조선을 치유한 의사. 김승태 외 2인(편), 강한 자에는 호랑이처럼 약한 자에는 비둘기처럼. 336-351.
  41. 주선애 (1978). 장로교 여성사.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여전도회 전국연합회.
  42. 추영수.중앙30년기념편찬위원회 (1971). 구원(久遠)의 횃불. 서울: 중앙여자중고등학교.
  43. 최윤배 (2015). 깔뱅의 경건으로서 영성. 제 3차 종교개혁기념학술강좌, 1-23.
  44. 최은희 (1991a). 한국 근대여성사 (상). 서울: 조선일보사
  45. 최은희 (1991b). 한국 근대여성사 (중). 서울: 조선일보사
  46. 최은희 (1991c). 한국 근대여성사 (하). 서울: 조선일보사
  47. 최은희 (1991d). 한국 개화여성 열전. 서울: 조선일보사
  48. 최은희 (1991e). 여성 전진 70년. 서울: 조선일보사
  49.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1999). 한국교회 전도부인 자료집.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5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0). 믿음, 그리고 겨레사랑.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51.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자료연구회 (2011). 기독신보 사설 자료집.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52. 황신덕 (1984). 황신덕선생유고집 무너지지 않는 집을. 서울: 추계황신덕선생기념사업회.
  53. 황애덕 (1931). 대구여감의 0141호. 동광. 27, 48-49.
  54. 황애덕 (1946). 3.1 운동과 여성의 활약. 신천지, 1946년 1-3호, 142-148.
  55. 황애덕 (1972a). 황무지를 헤치며(유고집). 신여성, 1972년 4호, 188-191.
  56. 황애덕 (1972b). 황무지를 헤치며(유고집). 신여성, 1972년 5호, 183-185.
  57. 황애덕 (1972c). 황무지를 헤치며(유고집). 신여성, 1972년 6호, 192-195.
  58. 황애덕 (1972d). 황무지를 헤치며(유고집). 신여성, 1972년 7호, 208-213.
  59. 황애덕 (1972e). 황무지를 헤치며(유고집). 신여성, 1972년 8호, 194-197.
  60. Baird, W. M. (1907). The spirit among pyeng yang students. The Korea Mission Field, 5, 65-67.
  61. Coleman, J. A. (1999). 두 가지 교육: 제자직과 시민직. 김도일 역. 제자직과 시민직을 위한 교육. 67-121.
  62. McGrath, A. E. (2006). 기독교 영성 베이직. 김덕천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1999 출판)
  63. Stokes, C. D. (2010). 미국감리교회의 한국역사 1885-1930. 장지철, 김흥수 역.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원저 1947 출판)
  64. The korea mission field. 영인본. (1905-1925). 1-25.
  65. Underhill, E. (2004). Mysticism. Oxford: Oneworld.
  66. Underhill, E. (2009). 신비주의의 본질. 안소근 역. 서울: 누멘. (원저 1996 출판)
  67. Wilber, K. (2007). Integral spirituality. Boston& London: Integral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