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wheat varieties, among 8 domestic cultivates, that are suitable, for use as grain feed at paddy fields in the Honam region. The seeds of wheat were sown and harvested in Wanju County. Among the wheat varieties, "Jojoong" was the earliest for its heading date on April 15, and it showed the earliest day for the maturing date on May 24. The heading date of "Baegjong" was the same as that for "Keumkang" on April 18, and the maturing date was one day later than that for "Keumkang" on May 29.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eading and maturing dates among the 8 wheat varieties. The lowest number of spikes/㎡ was 513/㎡ of "Goso", and the highest number of spikes/㎡ was 974/㎡ of "Chongwoo". The spikes/㎡ and yield of "Baegjon" was 542kg/10a and it was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among the 8 wheat varietie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DM (dry matter) and CP (crude protein) on rumen digesti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8 wheat varieties. Furthermore, rumen digestibility of DM and CP, and the nutrients valu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corn. The domestic 8 wheat varieties for grain feed, with their high nutrient qualities, could eventually replace imported grain feed and wheat grain feed. These 8 varieties are cost-effective feed and paddy field fodder for livestock farmers.
본 연구는 호남지역 유휴 논토양에서 곡실 사료용 밀 생산에 적합한 품종 선발을 위해 국내산 총 8개(금강, 조경, 백중, 수안, 청우, 고소, 호중, 조중)의 품종을 선택하여 전북 완주군에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파종 및 수확하였으며,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일반성분 및 반추위 소화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험품종 중 출수기는 "조중"이 4월 15일로 가장 빨랐으며, 성숙기 또한 5월 24일로 가장 빨랐다. "백중"의 출수기는 4월 18일로 "금강"과 같았고, 성숙기는 5월 29일로 하루 늦었지만 전 시험품종 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경수는 "고소"가 513개/㎡로 가장 적었으며, "청우"가 974개/㎡로 가장 많았다. "백중"의 경수는 901개/㎡로 시험품종 중 경수가 많은 품종에 속하며, 수확량은 542kg/10a으로 가장 많았다(p<0.05). 일반성분 분석, 반추위내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 평가에서 시험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옥수수보다 높은 영양 가치와 소화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8개 밀 품종은 공히 수입곡물을 대체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료자원이며, 수확량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여 곡실 사료로의 이용성을 확대하면, 논경지이용효율 증대와 더불어 축산농가 사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