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in Experiments of Earth's Revolution by School Level

  • 투고 : 2020.11.30
  • 심사 : 2020.12.21
  • 발행 : 2020.12.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공전을 학습할 수 있는 8가지의 실험 방법을 조사 또는 개발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6명에게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록 한 후,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을 선택하고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자리가 달라지는 실험, 중·고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의 스펙트럼을 비교하는 실험, 대학교에서 외행성의 역행운동이 효과적이라고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직접 체험의 가능 여부, 교과 내용과 연계되는 정도, 배경지식과 고차원적인 사고의 정도를 실험 선택의 이유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experiments of Earth's revolution and which experiment is effective by school level. Researcher investigated and developed eight experiments for students to learn Earth's revolution. Twenty six pre-service teachers did these experiments, discuss about them, chose an effective experiment of Earth's revolution and wrote the reason why. As a result, they thought that an experiment of seasonal constellations is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experiment of seasonal star's spectrum is effectiv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an experiment of the superior planets' retrograde motion is effective for university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gave reasons such as hands-on experience, connection with textbooks, background knowledge and higher-level thin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 맹승호, 이기영(2019).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81-494.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481
  3.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5(7), 519-531.
  4. 신윤주, 안유민(2020).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글과 그림에서 드러나는 설명 유형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4(1), 1-14. https://doi.org/10.21796/JSE.2020.44.1.1
  5. 이진하(2004). 중학교 '지구의 자전과 공전' 단원에 대한 상호작용형 WBI설계 및 구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최원호(2012). 학생 중심 비유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지구와 달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한제준, 채동현(2018).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모양'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2), 107-115.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2.107
  8. 한제준, 채동현(2019).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자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52-260.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52
  9. Adams, J. P., & Slater, T. F. (2000). Astronomy in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8(1), 39-45. https://doi.org/10.5408/1089-9995-48.1.39
  10. Baxter, J. H. (1991). The national curriculum: A challenge for astronomer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2(2), 147-157.
  11. Brunsell, E., & Marcks J. (2005). Identifying a baseline for teachers' astronomy content knowledge. Astronomy Education Review, 3(2), 38-46. https://doi.org/10.3847/AER2004015
  12. Chen, C. H., Yang, J. C., Shen, S., & Jeng, M. C. (2007). A desktop virtual reality earth motion system in astronomy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3), 289-304.
  13. Durant, J., Evans, G., & Thomas, G. (1989)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Nature, 340(6), 11-14. https://doi.org/10.1038/340011a0
  14. Mant, J., & Summers, M. (1993). Some primary-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Earth's place in the universe.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8(1), 101-129. https://doi.org/10.1080/0267152930080107
  15. Nussbaum, J., & Novak, J. D. (1976). An assessment of children's concepts of the earth utilizing structured interviews. Science Education, 60(4), 535-550. https://doi.org/10.1002/sce.3730600414
  16. Sneider, C., & Pulos, S. (1983). Children's cosmographies: Understanding the earth's shape and gravity. Science Education, 67(2), 205-221. https://doi.org/10.1002/sce.3730670209
  17. Vosniadou, S., & Brewer, W. F. (1992). Mental models of the Earth: 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Cognitive Psychology, 24(4), 535-585. https://doi.org/10.1016/0010-0285(92)90018-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