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발명가 3인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방식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reativity Factors, Family Backgrounds and Parenting Styles of Korean 3 Inventors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through Narrative Inquiry

  • Received : 2020.07.24
  • Accepted : 2020.11.06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발명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능력은 미래 사회에 필수적인 능력이므로, 이러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발명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과서에 등장하는 3명의 한국 발명가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 방식을 특정하고, 3명의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명의 발명가들은 모두 지적 호기심, 독창성, 생산적 사고능력, 정교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대부분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가정에서 태어났고, 자신을 지지해주는 사람이 있었다. 또한 이들은 부모들은 자녀와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가졌고, 자녀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녀의 창의성을 가장 먼저 발견하였다.

According to many researches, invention education relates to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which are essential in future. So effective invention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is to analyze creativity factor, family background and parenting style of three korean inventors in elementary textbooks through narrative inquiry and find similarities. As a result of study, all three inventors had intellectual curiosity, originality, productive thinking and sophistication. And they were born in wealthy families and had a member who support them. Also, their parents had secure attachments to the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ir education and were the first person who found their creativity.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0년 전주교육대학교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References

  1. 권문희(2009).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위인 10인의 영재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양육방식특징에 대한 질적 분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자(2014). 교과서 큰 인물 이야기 13, 정약용. (주)한국헤르만헤세.
  3. 박상우, 유영길(2012) 역사적 발명가를 기초로 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243-264.
  4. 송종호(2007). 교과서에 나오는 큰 인물 이야기, 장영실. 서울: (주)한국헤밍웨이.
  5. 윤병배, 김진모(2012). 발명 영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1-25.
  6. 이종범, 정진철, 이윤조(2012). 발명영재의 창의성 요인구조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3), 181-194.
  7. 장인옥(2010).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와 교사 역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정용채(2002). 우수 테마 위인 동화, 최무선. 서울: (주)한국갈릴레이.
  9. 정진현(2010). 초등 발명영재 판별을 위한 관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3), 199-219.
  10. 채동현, 김은정(2014).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외국 발명가 5인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방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234-252.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2.234
  11. 최유현 외(2010). 발명영재 요인의 타당화.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347-371.
  12.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13. Cropley, A. J., & Urban, K. K. (2000). Program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creativity.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481-494.
  14. Czarniawska, B. (2004). Narratives in social science research. London: Sage.
  15. Gladwell, M. (2008). Outlier. Penguin UK.
  16.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 677-682. https://doi.org/10.1037/0003-066X.51.7.677
  17. Torrance, E. P. (1977). Creativity in the classroom.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al Association.